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 무침 할때..

꼬마 조회수 : 2,160
작성일 : 2012-11-13 23:11:32

시금치를 데친 후 찬물에 헹구고나서 자연적으로 물기가 빠질때 까지 기다려야 할지,

아니면 손으로 꾸욱 짜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생전 처음 시금치 나물을 무쳐보았는데 제대로 한건지 모르겠네요.

(다행히 맛은 괜찮았어요..)

IP : 211.247.xxx.24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구성원
    '12.11.13 11:13 PM (101.235.xxx.206)

    ㅋㅋㅋ 물기 살짝 짜주세요..너무 꽉 짜면 맛 없더라구용..

  • 2. 꼬옥
    '12.11.13 11:14 PM (223.33.xxx.5) - 삭제된댓글

    짜주세요
    다신 넘 힘주심 뭉개집니다

  • 3. 아직도더워
    '12.11.13 11:15 PM (223.33.xxx.5) - 삭제된댓글

    글고보니 드뎌 포항초 섬초 나올 시기네요
    흐미 좋아라^^

  • 4. ...
    '12.11.13 11:23 PM (211.199.xxx.168)

    물기 짜줘야 해요.

  • 5. 적당히 물기 빠지도록 채에
    '12.11.13 11:27 PM (219.251.xxx.147)

    받쳐두다 나물 무치기 직전에 무리하지 말고 꾹 짜는 느낌으로 짜고 무치세요,
    참기름, 소금, 깨 간거요.
    마늘이나 파 다진거 안넣어도 되는데 넣을거면 소량만

  • 6. ...
    '12.11.13 11:47 PM (1.177.xxx.233) - 삭제된댓글

    시금치는 군내가 나는 나물이 아니니 물에 담궈 울기면 안되는 건 아실겁니다.
    그러고 물기가 있는 상태로 두면 질척이게 되니까
    그냥 바로 물기를 짜주셔야 해요.

    짜선 뭉그러지면 안되니까 잘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삶기를 너무 많이 하셔도 안되지요. 적당히.

    한쪽손에 시금치 일정량을 잡으시고 양손을 크로스되게 잡으셔선 손등이 볼록해진 상태가 되는 모양으로
    되게 만드셔선 제법 꼬옥 짜주시면 됩니다. 뭉그러지게 눌르시면 안되구요.

    물기 잘 없애신 다음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전 아주 맛있는 집에서 담근 국간장이 있어서 그거 넣고 참기름 깨소금 넣어 무칩니다.
    그러나 국간장 없으시면 그냥 소금 넣고 하셔도 담백하니 좋답니다.

    가끔 마늘 넣으시고 하시는 분들도 계셔요.
    전 근데 마늘 넣을때는 또 고추가루까지 넣어서 좀 진하게 해버리거든요.

    슴슴한 옛날식 시금치엔 마늘 안넣는 게 나은 거 같습니다.

    (손은 굳이 말씀드리자면 양손이 서로 수직관계가 되게 잡으시면 됩니다.)

  • 7. 꼬마
    '12.11.14 12:07 AM (211.247.xxx.249)

    ...님//
    제가 바로 님이 말씀하신 양손이 서로 수직관계가 되게 잡고 짰어요.
    양념 넣은것도 똑같구요. (제게도 엄청 맛있고 귀한 국간장이 있습니다.ㅋㅋ)
    정답을 맞춘거 같아 뿌듯하네요.

    근데 시금치를 짰더니 뽀글뽀글 거품물이 나와서 조금 당황 --'

  • 8. ...
    '12.11.14 12:47 AM (1.177.xxx.233) - 삭제된댓글

    꼬마님 이미 주무시러 들어가셨을라나 싶지만 글 남깁니다^^

    원래 잘 알고 계시군요~~아주 잘하신 거 맞습니다. 짝짝짝.ㅎ

    그러고 시금치 짤 때 뽀글거리는 약간의 거품물 당연합니다. 원래 그러니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요리 잘 하시는 꼬마님이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6702 이 야상패딩 너무 비싼가요? 11 야상 2012/11/29 3,769
186701 너무 웃겨서ᆞᆢ 2 ㅋㅋㅋ 2012/11/29 1,234
186700 강아지 겨울산책 14 초보강아지맘.. 2012/11/29 3,977
186699 수영 강사 이럴 경우 방법이 뭘까요? 9 금*구 수련.. 2012/11/29 3,808
186698 與 “최소 200만 표 이상 승리” 자축, 일부선 “살얼음판“ .. 8 세우실 2012/11/29 1,754
186697 안후보 사퇴에 관한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역시나 11 청산유수 2012/11/29 2,758
186696 몰라서 그럽니다 조언 부탁 드립니다.. 수능...... 2012/11/29 889
186695 겨울 아이템들 중 잘 산것 vs 못산것 13 겨울 아이템.. 2012/11/29 5,173
186694 역사다큐 [백년전쟁], 드디어 무료 공개!(이승만/박정희 편).. 2 어화 2012/11/29 907
186693 진성준 대변인, 문재인 후보 이산가족 상봉 관련 브리핑 6 abcdef.. 2012/11/29 1,510
186692 공지영 단식기도한다네요 8 ... 2012/11/29 3,057
186691 8년여만의 구매..스테파넬 패딩 문의 4 추운겨울 2012/11/29 2,394
186690 박지만 빌딩에 텐프로 룸살롱이 성업중!! 8 프레시안 2012/11/29 2,454
186689 정시 상담요 2 사노라면 2012/11/29 1,597
186688 저 소심하게 자랑 & 질문좀 할게요~ 2 치킨좋아 2012/11/29 1,050
186687 목소리가 나이들어 보이게 들렸으면 좋겠어요... 8 목소리 2012/11/29 1,514
186686 제왕절개 하신 분들 중 피하지방 흘러나온 경험 있으신 분 4 나는나 2012/11/29 3,129
186685 처마, 의자, 식칼... 다음은 또 뭐련지 3 징글징글 2012/11/29 1,334
186684 석류 어떻게 먹는게 좋을까요? 6 k,, 2012/11/29 2,190
186683 공정보도 없는데 공명선거가 가능? 1 도리돌돌 2012/11/29 717
186682 전기요금 누진세가 엄청나네요 7 전기세 2012/11/29 3,500
186681 똑딱핀삼켰어요 2 궁금이 2012/11/29 1,107
186680 나로호 카운트다운이 중단됐다네요 에효~ 3 에고 2012/11/29 1,497
186679 좋은정보(?) 저도 하나 드려봐요~~^^ 4 늘도움만 받.. 2012/11/29 2,440
186678 100만원 이하로 해외여행 가려면 어디로? 동남아중에서요.. 7 해외여행 2012/11/29 2,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