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거주 목적의 집을 사려고 합니다.. 조언좀 주세요..

... 조회수 : 2,526
작성일 : 2012-11-01 16:16:38

글을 다시 쓸께요.. 주저리 주저리 써서..

경기도 외곽입니다..

 

국민은행 시세 2억 1천만원 아파트 1층 매물가 1억 8천만원입니다.

대출은 1억정도 받으려고 하고있고 이율은 4% 초반이라고 합니다.

 

두 부부 한 달 평균 600~700 정도 벌고 있구요. 저는 프리랜서라 일정치 않고 남편은 실수령 290만원정도 받아옵니다..

5살 아이 하나 키우고 있어요..

 

실거주 목적으로 사는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IP : 222.121.xxx.183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11.1 4:23 PM (121.88.xxx.239)

    대출 몇 프로로 받으시나요? 월 이자가 약 50정도 나오실거 같은데..

    월 수입과 지출을 써주셔야 가능할거 같아요. 그리고 이자 + 원금상환하려면 적어도 한달에 200정도는 갚아야 할거 같은데..

  • 2. ...
    '12.11.1 4:24 PM (222.121.xxx.183)

    월 수입은 평균 600만원 정도 됩니다..
    지출은... 창피하네요.. 잘 모르겠어요..

  • 3. ..
    '12.11.1 4:28 PM (110.14.xxx.253)

    월수입이 600 이면 충분히 사셔도 되는 것 같은데요~! 지출을 600 하시는 게 아니라면..

  • 4. ...
    '12.11.1 4:33 PM (220.72.xxx.168)

    집은 거주의 확실한 필요가 있을 때 사는게 맞죠. 원글님처럼...
    상환 능력은 원글님이 계산해 보셔야 확실하죠. 지출은 잘 모르겠다, 이러시면 안되구요.
    날 잡아서 계산기 두들겨 보세요. 피상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완전히 달라요.
    금액 계획을 정확하게 세워서 타당할지 아닐지를 결정하셔야 해요.

    그리고, 혹시 사시는 동안에 집값이 떨어져도 괘념치 않으시다면 사시라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어느 동네일지 모르겠으나, 앞으로 향후 집값이 오르리라는 기대는 셈에 넣지 마세요.
    혹시나 오르면 좋고, 내리더라도 내가 살았던 시간, 추억에 대한 감가상각으로 생각하신다면
    사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5. ..
    '12.11.1 4:33 PM (222.121.xxx.183)

    창피하지만.. 저희 부부 돈 개념이 없어요. 그리고 제가 제대로 돈 벌기 시작한게 얼마 안됩니다.
    그리고 돈 벌어서 계속 빚 갚았어요.
    남편이 결혼 2년 만에 지방 발령받아서 이사하고 다시 서울로 발령받아 이사하고 이러느라 생활이 안정되지 못했어요.
    이사하면서 조금씩 빚이 생겼는데 벌어서 갚고 벌어서 갚고 그랬구요.
    제가 아이낳고 하면서도 돈 안벌고 지출은 줄이지 않아서 빚도 있었고 그랫네요..

  • 6. 원글
    '12.11.1 4:35 PM (222.121.xxx.183)

    그리고... 제 성향이 돈 필요하면 일 열심히 하는 스타일이긴합니다.. 그래서 집을 살까 싶은 맘도 들었구요.
    나가야 할 돈이 많으면 그만큼 일을 많이 합니다.. 프리랜서이다보니 일을 많이 하면 수입도 느는거구요..

  • 7. 그럼
    '12.11.1 4:40 PM (121.88.xxx.239)

    집 사세요.

    원글님같은 스탈은 빚이 있어야 좀 더 열심히 돈 벌고 아끼는 스타일이신거 같아요.

  • 8. ..
    '12.11.1 4:55 PM (211.234.xxx.248) - 삭제된댓글

    그래도 지출이 어느정도되는지는 알아야 집을 사죠.지출과 저축이얼마나 되는지 모르는 상태면 거기다가 대출이자와 원금 더해지면 완전 마이너스일텐데 어디서 어느정도 아껴야 대출원금이자갚을수 있을지 계산해보세요.님이 규칙적으로 돈 버는것도 아니니 더더군다나 계획적인 소비와 저축이 가능할때 집사셔야지 한두달 이자 밀리면 되지 이런 생각으로 구입하시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9. .........
    '12.11.1 4:58 PM (112.148.xxx.242)

    시세 21000인아파트에 일반적인1층이라면 그다지 저렴한 편이 아니라고 여겨집니다
    특별한1층이라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요
    요즘같이 매수자 우위인 시장에서는 중간층을 좀더 저렴하게 구입하도록 하시는게 더 낫습니다

  • 10. 적극
    '12.11.1 5:12 PM (203.234.xxx.155)

    찬성이에요.
    합해서 6-700 이면 상환 충분할것 같구요.
    그정도 벌이에 대출이 큰것 같지는 않은데 이 기회에 절약해서 잘 쓰시는 방법도
    생각해 보시구요. 부럽습니다..

  • 11. ..
    '12.11.1 5:22 PM (116.32.xxx.211)

    부동산통해서 한 오백 더깎아보세요!
    햇빛잘들어오는지 앞에 시끄럽지않은지 낮에 밤에 다 가보시구요..
    한명버는거 다 저축하면 3년이면 갚겠네요. 홧팅

  • 12. 또띠야
    '12.11.1 7:36 PM (211.234.xxx.84)

    1층 사실집 해는 잘들어오나요? 저희집이 1층인데 해가들어오는 축복받지 않은 집이라 장마때면 곰팡이 때문에 항상 씨름합니다...딱 반지하느낌ㅜㅜ 잘선택하고 사세요~

  • 13.
    '12.11.1 10:38 PM (211.203.xxx.204)

    어떻게 지출을 모를 수 있죠?
    지출 정도부터 가계부 써보시고, 남는 돈은 얼마인지 보시고 천천히 결정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453 안철수, 박근혜에게도 단일화제의? 2 진짜? 2012/11/11 1,305
175452 독도 백악관청원 오늘까지랍니다 1 두분이 그리.. 2012/11/11 460
175451 해피콜 동주맘 2012/11/11 579
175450 코미디언 김미화씨가 책을 하나 발간했다고하네요 기린 2012/11/11 1,062
175449 아이유 일부러 사진 올린거 아닐까요? 24 2012/11/11 19,137
175448 3대 기획사 농락한 아이유 라네요 ㅎㅎ 3 퍼온글 2012/11/11 11,907
175447 중학교에는 반마다 부회장이 있나요? 3 요즘 2012/11/11 680
175446 빵 반죽과 거품기 용도로 쓸 수 있는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반죽 2012/11/11 910
175445 학교선택 좀 도와주세요..ㅠ 9 은행나무 2012/11/11 2,040
175444 내곡동 특검, 청와대 압수수색 영장 발부받아 1 세우실 2012/11/11 566
175443 세계 유일무이한 화장실 공원.swf 수원시 2012/11/11 1,103
175442 휘슬러압력솥으로 삼계탕하다 망했어요 6 리기 2012/11/11 10,205
175441 '이미지'이야기가 나와서... 2 주변에 2012/11/11 660
175440 연주회 표 사달라는데 어떻게 해요. 3 도와주세요 2012/11/11 871
175439 요새 삐용이는 뭐하나요? 궁금해요 2012/11/11 650
175438 신뢰와 원칙마져 무너진 박근혜 이랬다 저랬다 뭐하나 일관성없는... 6 호박덩쿨 2012/11/11 635
175437 대학생 같은 남학생이 제차 보고 똥차라고 7 모닝~ 2012/11/11 2,866
175436 스타벅스 메뉴 좀 추천 해주세요 5 스타벅스 2012/11/11 1,864
175435 윤하와 아이유 노래중에 좋아하는 노래 추천해봅니다 2 추천곡 2012/11/11 647
175434 아이유는 자신의 최대 가치를 상실한게 맞고 이제부터 정말 힘들어.. 6 .. 2012/11/11 3,568
175433 지겨우시겠지만 패딩한번 봐주세요.. 12 .... 2012/11/11 3,362
175432 아이돌 관련 명언..? 7 아이돌 관련.. 2012/11/11 1,964
175431 강아지가 헥헥대는걸 멈추지않아요 13 강아지 2012/11/11 7,360
175430 아이유 수지 둘다 안이뻐요 22 ㄴㄴ 2012/11/11 8,216
175429 아베크롬비랑 아베크롬비 핏츠랑 차이 1 jjiing.. 2012/11/11 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