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세계에 전세 있는 국가는 우리밖에 없을겁니다 예외야 있을수도..

루나틱 조회수 : 2,150
작성일 : 2012-10-15 09:59:59
왜냐면 전세가 가능한 구조는 
부동산이 절대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오른다는 가정 하에 그리고 그게 실제로 이루어저야 생길수있는 
제도가 전세입니다.
생각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몇년간 돈을 집주인에게 맞겨 놓고 이사갈때 100프로 찾아간다는게 얼마나황당합니까
근데 그게 당연시되고 가능했던건.. 집값이 오르니까 그돈으로 보통 부동산에 재투자 하는거죠 부동산 담보 대출은
이자가 비싸니까... 하지만 전세는 이자가 0프로니까요
IP : 49.145.xxx.10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15 10:01 AM (118.32.xxx.3)

    전세계가 없다고 우리도 없애라는것은 어묿성설..

    김치가 전세계없다고 없애야 하나요...

  • 2. ...
    '12.10.15 10:04 AM (222.106.xxx.75)

    원글님 말은 그게 아니고, 예금금리가 낮아지면 소유자입장에서는 전세를 들일 아무런 이유도 없어지기 때문이죠.

  • 3. 금리가 낮아지고
    '12.10.15 10:13 AM (182.218.xxx.186)

    집값이 안오른다면
    당연히 전세는 없어집니다.

  • 4. 전세는 지금도
    '12.10.15 10:15 AM (218.51.xxx.84)

    많이 없어지고있어요
    반전세가 얼마나많은데요

  • 5. 전세
    '12.10.15 10:55 AM (202.124.xxx.8)

    우리나라의 전세제도는 독득한게 사실이죠. 외국인들은 이해할 수 없으니까요.
    그런데 우리나라 전세제도가 생겨난 이유는 다른나라에 비해 장기 주택담보대출제도가 없었기 때문이죠.
    지금도 전세끼고 집산사람들이 많기때문에 전세는 없어지기 어렵습니다. 월세로 돌리기 힘들죠. 한꺼번에 내줄 돈이 없으니. 다만, 재계약시 추가 인상분에 대해서 월세로 받는 경우는 많아질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전세가 없어진다는 것은 다주택자가 집을 판다는 것으로 집값이 떨어지고 정상적인 시장상황으로 돌아간다는 신호로 봐야할 것입니다.

  • 6. 없어질거라고
    '12.10.15 10:58 AM (211.63.xxx.199)

    집값이 안정이 되서 오를일 없어진다면 저도 전세 제도는 없어질거라고 봐요.
    재산을 불리기위해 집을 여러채 사서 전세 주는 일 따위는 안할겁니다.
    차라리 한,두채 사서 월세를 놓는게 이득이죠.
    하지만, 땅 좁은 대한민국에 집값이 영원히 안정이 될까? 그게 의문입니다.
    도시국가인 싱가폴과 비교해보면 아직도 우리나라 집값보다 많이 높거든요. 상상이상 집값이나 월세가 비싸요.
    적어도 우리나라가 성장을 하는 동안 성장지수만큼은 오르지 않을까란 생각도 해봅니다.

  • 7. 싱가폴
    '12.10.15 5:35 PM (202.124.xxx.8)

    싱가폴 집값 무지 높지요. 지금도 올라서 정부에서 대책 내놓고 있구요.
    근데 싱가폴 집값 높은 이유중 하나(다른 이유도 많이 있습니다.)가 외국인 특히 중국인들도 돈 있으면 비교적 쉽게 주택을 살 수 있다는 거죠.
    전 사실 우리나라도 무리하게 집값 올리려고 주택시장도 외국인에게 아무런 제약 없이 개방할까봐 그게 겁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691 대추차... 3 2012/10/15 1,666
167690 '경제민주화' 우려하던 기업인들, 문재인 만난 뒤 2 합리적인 ,.. 2012/10/15 1,878
167689 옛날에 다리 바람나는 기계로 마사지해주던 샵들 없어졌나요?.. 2012/10/15 1,232
167688 이 시간에 국대나 아딸 떡볶이 가면 다 떨어졌겠죠? 4 지금 2012/10/15 1,893
167687 코스트코가 드디어 소송을 냄 56 ... 2012/10/15 10,630
167686 약고추장만들때, 돼지고기 다짐육으로해도 되죠?? 3 배고파 2012/10/15 1,988
167685 현미밥 관련 너무 궁금해서요.. 3 현미^^ 2012/10/15 1,937
167684 6개월된 아기랑 침대에서 잘려구 해요 3 아이사랑 2012/10/15 1,673
167683 서유기 고전 영화 있지 않나요? 4 손오공 2012/10/15 1,170
167682 장조림 팁좀 주세요^^ 5 내인생의선물.. 2012/10/15 1,594
167681 온누리 상품권? 1 보너스 2012/10/15 1,713
167680 변기 밸브 교체 비용 어느 정도 드나요?? 3 ... 2012/10/15 3,873
167679 *마트 가격을 안 지키네요.... 3 약속 2012/10/15 1,620
167678 대치동 삼성래미안 어떤가요 2 .... 2012/10/15 3,645
167677 넋두리 2 Common.. 2012/10/15 914
167676 정봉주 가석방 무산 기사가 6 미쳤어..... 2012/10/15 2,324
167675 올해 김장 언제쯤 하실건가요? 2 김장 2012/10/15 1,667
167674 장조림 국물이 너무 적어요 방법좀 알려주세요 1 나무 2012/10/15 1,151
167673 교정만으로 입이 들어갈수있나요? 11 교정 2012/10/15 3,499
167672 모바일 상품권? 2 선물 2012/10/15 967
167671 어릴 때 초등학교 졸업자인 할아버지가 모든 호기심과 질문에 1 ....... 2012/10/15 1,080
167670 컴퓨터 시간(?) 되돌리는 법 5 급해요 2012/10/15 3,744
167669 떠먹는 플레인 요거트를 사먹는데 3 ,... 2012/10/15 2,706
167668 누구에게든 사랑받고 싶어하는 우리 아이 9 별빛한개 2012/10/15 2,804
167667 집구입한지 두달만에 누수..어떻게 해요?? 3 대구사람 2012/10/15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