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계에 전세 있는 국가는 우리밖에 없을겁니다 예외야 있을수도..

루나틱 조회수 : 1,609
작성일 : 2012-10-15 09:59:59
왜냐면 전세가 가능한 구조는 
부동산이 절대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오른다는 가정 하에 그리고 그게 실제로 이루어저야 생길수있는 
제도가 전세입니다.
생각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몇년간 돈을 집주인에게 맞겨 놓고 이사갈때 100프로 찾아간다는게 얼마나황당합니까
근데 그게 당연시되고 가능했던건.. 집값이 오르니까 그돈으로 보통 부동산에 재투자 하는거죠 부동산 담보 대출은
이자가 비싸니까... 하지만 전세는 이자가 0프로니까요
IP : 49.145.xxx.10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15 10:01 AM (118.32.xxx.3)

    전세계가 없다고 우리도 없애라는것은 어묿성설..

    김치가 전세계없다고 없애야 하나요...

  • 2. ...
    '12.10.15 10:04 AM (222.106.xxx.75)

    원글님 말은 그게 아니고, 예금금리가 낮아지면 소유자입장에서는 전세를 들일 아무런 이유도 없어지기 때문이죠.

  • 3. 금리가 낮아지고
    '12.10.15 10:13 AM (182.218.xxx.186)

    집값이 안오른다면
    당연히 전세는 없어집니다.

  • 4. 전세는 지금도
    '12.10.15 10:15 AM (218.51.xxx.84)

    많이 없어지고있어요
    반전세가 얼마나많은데요

  • 5. 전세
    '12.10.15 10:55 AM (202.124.xxx.8)

    우리나라의 전세제도는 독득한게 사실이죠. 외국인들은 이해할 수 없으니까요.
    그런데 우리나라 전세제도가 생겨난 이유는 다른나라에 비해 장기 주택담보대출제도가 없었기 때문이죠.
    지금도 전세끼고 집산사람들이 많기때문에 전세는 없어지기 어렵습니다. 월세로 돌리기 힘들죠. 한꺼번에 내줄 돈이 없으니. 다만, 재계약시 추가 인상분에 대해서 월세로 받는 경우는 많아질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전세가 없어진다는 것은 다주택자가 집을 판다는 것으로 집값이 떨어지고 정상적인 시장상황으로 돌아간다는 신호로 봐야할 것입니다.

  • 6. 없어질거라고
    '12.10.15 10:58 AM (211.63.xxx.199)

    집값이 안정이 되서 오를일 없어진다면 저도 전세 제도는 없어질거라고 봐요.
    재산을 불리기위해 집을 여러채 사서 전세 주는 일 따위는 안할겁니다.
    차라리 한,두채 사서 월세를 놓는게 이득이죠.
    하지만, 땅 좁은 대한민국에 집값이 영원히 안정이 될까? 그게 의문입니다.
    도시국가인 싱가폴과 비교해보면 아직도 우리나라 집값보다 많이 높거든요. 상상이상 집값이나 월세가 비싸요.
    적어도 우리나라가 성장을 하는 동안 성장지수만큼은 오르지 않을까란 생각도 해봅니다.

  • 7. 싱가폴
    '12.10.15 5:35 PM (202.124.xxx.8)

    싱가폴 집값 무지 높지요. 지금도 올라서 정부에서 대책 내놓고 있구요.
    근데 싱가폴 집값 높은 이유중 하나(다른 이유도 많이 있습니다.)가 외국인 특히 중국인들도 돈 있으면 비교적 쉽게 주택을 살 수 있다는 거죠.
    전 사실 우리나라도 무리하게 집값 올리려고 주택시장도 외국인에게 아무런 제약 없이 개방할까봐 그게 겁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561 엠비의 추억 보세요... 3 강추~ 2012/10/25 1,063
168560 재즈 음악동호회나 재즈감상회는 어디가 좋은가요? 2 wed 2012/10/25 1,861
168559 82쿡외엔 또 어디 잘... 1 웹웹 2012/10/25 1,035
168558 오후되면 화장이떠요 1 ㄴㄴ 2012/10/25 1,217
168557 10월 25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10/25 765
168556 정말 순한 아가 키우신 맘들 있으세요? 17 쌍둥맘 2012/10/25 2,103
168555 점입가경 경제민주화 밴드닥터 2012/10/25 388
168554 창의수학은 뭔가요 강사 2012/10/25 1,108
168553 원두커피 2잔 분량 포장 판매하는 곳 없을까요? 2 검은나비 2012/10/25 1,023
168552 내년 5세되는 아이,유치원 알아봐야하는데 어떤 것들을 봐야하나요.. 6 ## 2012/10/25 1,147
168551 한 브랜드에서만 옷을 사는 경우.... 다들 있나요? 5 .... 2012/10/25 2,092
168550 10시에 특검 출석하라했는데 안하네? .. 2012/10/25 1,315
168549 출입증 안 빌려줬던 회사 동료... 회사 나오니까 더 화나요ㅠ 7 아무리생각해.. 2012/10/25 2,296
168548 경제민주화의 참뜻 콜롬비아 2012/10/25 400
168547 어른 여성의 시속 6키로는 어느정도 감으로 걸으면 되나요? 8 시속 6키로.. 2012/10/25 2,532
168546 요새 예금금리..어디가 그래도 나은가요? 너무낮다 2012/10/25 834
168545 경제민주화라는 이상한 바람 학수고대 2012/10/25 381
168544 받아쓰기... ........ 2012/10/25 459
168543 엄마 가방 좀 골라주세요.. ~ 3 가방 결정 .. 2012/10/25 891
168542 그분(대통령출마하신분)은 딱 태권도 2단입니다. 1 그분 2012/10/25 889
168541 가을이 싫다..... 끄적끄적.... 2012/10/25 518
168540 빌리부트 캠프 3일째에요 8 힘들어 2012/10/25 2,344
168539 지주식 재래김 염산 처리 김의 차이점 아시면 알려 주세요 그리고.. 3 철분의 보고.. 2012/10/25 1,816
168538 대한통운 택배...물품을 안가져다줘요.. 5 ㅇㅇㅇ 2012/10/25 1,106
168537 이번 경제위기는 상황이 간단하지 않을 듯 1 ㅠㅠ 2012/10/25 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