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식밥상은 왜 개인접시를 놓지 않을까요?

가을하늘 조회수 : 5,829
작성일 : 2012-10-07 16:46:42

 

 한식밥상이 국과 찌게, 반찬 등을 각자 덜어서 개인접시에 놓고 먹을 수 있게 했으면 좋겠어요.

 지금 한정식 집 가 봐도 걍 공통그릇밖에 없고 남 젓가락 왔다갔다 비위생적이예요.

 또 그 방식이 전통도 아니더라고요.

 어른 된 뒤에 안 거지만, 옛날엔 모두 외상차림이어서 개인당 상을 하나씩 다 받아 먹었고요.

 물론 하인들이나 서민층은 아니었겠지만...

 

 한식밥상 집에서 손님접대할 때도 그렇고,

 한정식집도 그렇고 개인접시 줘서 각자 덜어먹도록 했음 좋겠어요.

 국이나 된장찌게 같은 것도 그렇고요.

 위장 헬리코박터 균도 한국인이 90% 이상 보유하고 있다는데,

 다 이런 식사방식 이 원인인 탓도 클 거예요.

IP : 222.104.xxx.207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7 4:48 PM (175.120.xxx.108)

    개인접시 안주는 식당은 없었는데..
    한정식은 말할 것도 없고.. 분식집에서도 달라고 하면 바로 줘요..

  • 2. 한정식
    '12.10.7 4:48 PM (211.246.xxx.51)

    개인접시 다 주는데.. 안주는데가 어디인가요?
    그리고 안주면 달라고 하면 되죠

  • 3. 원글이
    '12.10.7 4:50 PM (222.104.xxx.207)

    상차림 할 때부터 그렇게 나왔으면 좋겠다는 뜻이랍니다.
    개인접시 달라고 해야 주니깐요...

  • 4. ......
    '12.10.7 4:50 PM (175.120.xxx.108)

    다시 읽어보니 반찬도 다 개인접시에 담아서 나오길 바라시는 거 같네요..
    근데 한정식은 대부분 서빙하는 분이 개인접시에 나눠줘서 젓가락 같이 넣을 일은 거의 없었어요..

  • 5. ???
    '12.10.7 4:50 PM (59.10.xxx.139)

    저희집은 개인접시 다 쓰는데..음식점도 요즘은 다 줘요

  • 6. ..
    '12.10.7 4:51 PM (175.117.xxx.95)

    저도 외국처럼 요리 하나에 집게든, 숟가락이 딸려 나오면 좋을 것 같아요.
    이번 명절에 가족들 차례후 같이 식사 하는데 똑같은 음식을 여러 접시에 나눠 담고, 각자 젓가락으로 헤집는게 이제 제 목소리 낼만큼 연차가 흘러 저절로 담에는 부풰식으로 했으면 좋겠다 했네요.
    그럼 설거지 감도 적게 나오고 남은 음식도 위생적이고...

  • 7. 그러니까요
    '12.10.7 4:52 PM (211.246.xxx.51)

    상차림할때 개인접시 다 준다고요
    안주는델 못봤는데 안주는데는 어디인지?

  • 8. .....
    '12.10.7 4:55 PM (124.54.xxx.201)

    윗님들~ 개인접시가 나오긴 하지만, 그거야 찌개나 전골 덜어먹는 개인접시죠.
    소소한 반찬까지 덜어먹는 개인접시가 아니구요.

    진정한 개인접시가 되려면
    내 먹던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오는게 아니라
    부페처럼 반찬 그릇 자체에 집게가 있어야 해요.

  • 9. 원글이
    '12.10.7 5:01 PM (222.104.xxx.207)

    고급 한정식도 뷔페식 상차림으로 바뀌었음 좋겠어요.
    큰 그릇에 덜어먹을 수 있는 집게 놔 두고
    개인접시 놔 두고, 국이랑 찌게 국물 있는 건 당연히 개인 국그릇에 덜어 먹게 하고,
    그리고 중국집처럼 회전식 테이블이라서 음식들이 빙글빙들 돌아서
    손님들 앞에 공평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그렇게 하는 게 편할 것 같아요.

    한식 상차림 고객편의가 아닌 것 같아요, 글로벌 시대에....

  • 10. 물고기
    '12.10.7 5:03 PM (220.93.xxx.191)

    걘적으로는 외상차림 이거좋으네요.
    하지만,
    집에서 하려니 접시 장난아니게 나오겠네요
    한식은 반찬이 많아서 그런것같아요~!!

  • 11. ..
    '12.10.7 5:05 PM (58.227.xxx.56)

    우리나라 식사법 문제 많은 것 사실입니다.

    한 마디로 야만인 식사법이지요.

    연속극에서 보여주는 가정 상차림을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 여러가지 반찬을 쭈~욱 차려놓고

    다 같이 먹고 남으면 분명히 버리지 않고 다 냉장고에 넣어 놨다가 그거 다시 꺼내먹고...

    선진국 선진국 하지만 개선해야할게 너무 많은 아직은 갈길이 먼 우리나라라고 생각함.

    식탁문화는 정말 바뀌어야합니다. 각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식탁풍경까지도 ...

    모든 음식은 개인이 각 각 따로 먹는 문화로 변해야...

  • 12. 원글이
    '12.10.7 5:08 PM (222.104.xxx.207)

    집에서 식사할 때나 손님 접대할 때도
    다 같이 이 젓가락, 저 젓가락 휘저어 가며 먹고 남은 건 다시 냉장고로 고고~
    특히 국물있는 찌게 종류는 웩~

    윗분 말씀대로 좀 아닌 것 같아요.

    서양처럼 큰 그릇에 반찬 놔 두고 집게 놔 두고 개인접시나 그릇에 덜어 먹는 문화가 정착했음 좋겠네요.

  • 13. 원글이
    '12.10.7 5:19 PM (222.104.xxx.207)

    저는 한식상차림-양반들은 외상으로 먹었다고 들었어요.
    한 사람당 상이 하나,
    손님이 셋이면 상도 셋 이렇게요.

    저희 외가에서도 그렇게 했다고 들었고요.
    지금처럼 우~같이 먹는 상차림은 전통상차림이 아닐 수도 있어요 .

    다 같이 먹는 밥상-그거야 어느 나라나 하층민들은 그렇게 먹잖아요.

    아님 잘 아시는 분이 댓글 달아 주시면 좋겠네요.

  • 14. 식문화님 동감
    '12.10.7 5:23 PM (175.197.xxx.55)

    저도 윗댓글에 동감입니다.

    여태까지 잘 먹고 산 세월이 얼마인데 "웩"이란 표현도 서슴치 않고 ...

    정말 이건 아니지 싶습니다.

    개선했으면 좋겠다는 이해가 가지만!

  • 15. 일단
    '12.10.7 5:24 PM (14.52.xxx.59)

    한국은 계급사회였기때문에 전통상차림은 계급별로 다양합니다
    일일이 개인상 받는 양반에 잘사는 중인부터
    바가지에 넣고 다 섞어먹는 천민상도 있겠지요
    지금 일반적으로 개인접시 조금 쓰고 찌개 같이 먹는건 아마 60년대 정도의 상차림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지금 왠만한 집들도 딱 자기식구 아니면 찌개도 다 따로 먹지 않나요???
    원글님 글이 일단 지금 시대하고도 잘 안 맞는것 같아요
    김가네 분식도 개인접시 주는 시대인데요

  • 16. ..
    '12.10.7 5:24 PM (58.227.xxx.56)

    몇 개 위 식문화님.

    우리 식문화는 상당히 비 위생적이라구요..

  • 17. ..
    '12.10.7 6:39 PM (211.106.xxx.243)

    비위생, 웩이라고 하기전에... 원래 각상문화였데요 앙증맞은 작은 상에 각자 먹었지만 전쟁이나 정치적인 문제때문에 찢어지게 가난해져서 그렇게 못하고 살았겠죠 가난이 문화를 바꾼건가.. 그래서 밥상머리에서 숟가락으로 반찬 퍼먹지 말아라, 젓가락 입으로 빨지 말아라고 가르치죠 젖가락질 할때 입에다 안 넣으면 더러울 일은 없죠 겸상일때 찌개먹을땐 아무래도 침이 묻겠지만... 오랜 문화를 가진나라면 어디라도 그렇게 현대인들의 기준으로 약점이 있기 마련이죠 인류가 있던 이래로 세균이라는걸 안지가 얼마나 됬다고..

  • 18. ﹕﹕﹕
    '12.10.7 6:49 PM (180.231.xxx.35)

    우리나라도같이 떠먹는 식문화바뀌어야하는건
    정말맞아요
    너무 더러워요

  • 19.
    '12.10.7 8:52 PM (87.152.xxx.234)

    음식집는 큰 젓가락하고 찌개 각자 떠먹을 수 있게 하는 작은 국자 하나만 더 놓으면 되는데 말이죠;; 저희집은 각자 덜어 먹어요.

  • 20. 음..
    '12.10.8 3:15 PM (210.94.xxx.89)

    집에서 음식 드실때 남은 거 다시 냉장고에 넣으시나요? 그런 건.. 음.. 연세 많으신 할머니들이나 그러시죠.

    처음부터 조금만 덜어내고 남은 거, 젓가락 닿은 거는 모두 버립니다.

    보통.. 이렇게 하시는 거 아닌가요? ㅠㅠ

    웅.. 저는.. 명절에 저희 어머님만 남은 음식 다시 냉장고에 넣고 그러시는 줄 알았어요.

    멘붕.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283 목 아플때 쓰는 제 비법이에요 10 편도선염? 2012/10/17 7,785
165282 독감주사 몇 살때까지? 6 ㄷㅗㄱ 2012/10/17 1,352
165281 초등 선생님이 한 학교에서 7년 근무가능한가요? 5 ... 2012/10/17 3,196
165280 폭음이냐 매일음주냐에 묻어가는 질문? 그럼 운전은? 1 .. 2012/10/17 487
165279 오전내내 신의 다시보기.... 12 신의 2012/10/17 2,319
165278 아이들 신발은 안더럽다고 생각하는걸까요?? 23 제가이상한건.. 2012/10/17 2,404
165277 아이있으신분들 , 다들 어떤 태몽 꾸셨나요? ^^ 15 태몽태몽 2012/10/17 4,888
165276 유권자로서 대통후보를 의심하는것이 잘못인가여? 8 .. 2012/10/17 690
165275 카톡리스트와 비교질문입니다. 1 애니빵 2012/10/17 598
165274 급질-일요일에 한 간장게장 오늘 저녁에 먹어도 되나요? 2 2012/10/17 941
165273 중성화 수술이 후 기니피그 성격이 많이 변했어요. 4 가을이네요... 2012/10/17 3,301
165272 “봉은사 앞 무료불교CD, 알고보니 목사 설교” 4 세우실 2012/10/17 1,063
165271 밤고구마 보관 어찌해야 하나요? 5 호박이좋은데.. 2012/10/17 1,667
165270 ‘가라오케 칼부림’ 김성수 전처 사망…채리나는 화 면해 16 무서워 2012/10/17 18,614
165269 제주도 동문시장.. 전화번호 알아내서 귤 사면 쌀까요? 5 .. 2012/10/17 2,341
165268 지금 외출할껀데요~ 어떤 차림으로 나가야 되나요? 5 날씨 2012/10/17 1,391
165267 물이 오염되었을까요 8 비맞지말자 2012/10/17 766
165266 웬 '바람둥이'가 아침부터 카톡을 잘못 보냈네요. 3 딱 걸렸어... 2012/10/17 4,592
165265 뇌쪽 관련해서 명의 의사선생님이 누구신가요? 부탁드립니다. 2 .. 2012/10/17 892
165264 정말 비열한 중국 종자들... 3 !!! 2012/10/17 808
165263 감말랭이 1 먹고파 2012/10/17 914
165262 동성 친구와 관계 끊는 법은 뭘까요 12 ... 2012/10/17 6,985
165261 김재철 책임회피, "내가 출장 간 사이 이진숙이…&qu.. 1 .. 2012/10/17 943
165260 연봉2천에 널널한 일자리 어떠세요? 13 어떻게생각하.. 2012/10/17 4,375
165259 배추 한포기당 적당한 고춧가루 양은 얼마나? 3 2012/10/17 4,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