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며느리 밥은 아예 떠 놓지도 않는 시어머니도 있어요.

ㅍㅍㅍ 조회수 : 3,786
작성일 : 2012-09-24 01:01:02

제가 신혼 때 울 시어머니는 며느리인 제 밥만 안 퍼주시더라구요. 식사 준비하다가 마지막에 어머님이 밥 푸셔서 밥상 차리고 물이랑 컵 챙기고 뒷정리 좀 하고 가서 먹을라고  보면 제 밥만 없었어요. 황당..

황당 보단 민망함이랄까? 밥 먹어야지 하고 앉았는데 제 밥 없는것도 모르고 앉아버린 거에 대한..

남자들은 모르더라구요. 열심히 쳐묵쳐묵하고있고..

 

게다가 제가 밥 퍼와서 밥을 먼저 떠 먹었는데 상놈이 밥 먼저 먹는 거라고.. 양반은 국먼저 먹는거라고..

울 집안에 비하면 정말 족보도 없어 보였는데..

남편은 그때도 귓구멍이 막혔나 쳐묵쳐묵하고있고..

 

임신 했다고 맛있는거 먹으러 가자고 해 놓고 샤브샤브 먹으로 4인이 가서 3인분만 시키고 고기 넣자마자 시아버지와 남편에게 다 꺼내주어서 전 고기한점 못먹었네요. 게다가 저는 원래 많이 먹어서 4인분 시켜도 더 추가할 판인데 딱 3인분만 시키는 건뭔지.. 식당에 민폐라고 생각들었어용..

 

뭐 지금은 제 목소리가 점점 커져서 이정도 대우는 받지 않습니다만..옛날 생각하면 몇년전까진 화났었는데 이젠 피식 웃음만 나네요..

 

IP : 218.209.xxx.145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구
    '12.9.24 1:10 AM (219.255.xxx.221)

    정말 서운하실만 하네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며느리 밥을 안뜰까요.. 정말... 욕이 나와서 저 혼잣말로 했습니다.. ㅠㅠ
    시부모님도 남편도 모두모두 정말 화나네요!!!!!
    일전에 울 시어머님이 생선을 먹는데 저에게 가시있는데만 특별히 떼어서 제 밥 위에.. ㅎㅎ
    다행히 시아버님과 남편이 어머님의 행동을 제지...
    지금은 울 어머님도 예전같이 며느리 하대하는 행동은 많이 줄었어요.. 저두 목소리 많이 커졌구요.. 제 남편은 결혼초기에 어머님이 좀 구수하고 말을 뱉어버리는 성격인걸 알기에 시댁가면 약간 긴장하고 있었습니다...

  • 2. 정말
    '12.9.24 1:23 AM (115.41.xxx.171)

    그런 시모가 있다는거에요? ㅜㅜㅜㅜ

  • 3.
    '12.9.24 1:41 AM (110.35.xxx.54)

    그런 시모 여기 한 분 추가요. 저도 전에 82 에 글도 올렸었더랬죠. 울 시어머니도 이상하게 밥 안 퍼주시드라구요. 그래서 제가 밥 푸려고 노력합니다...

  • 4. 스뎅
    '12.9.24 2:12 AM (180.228.xxx.32)

    미친시모 정말 많네요..ㄷㄷㄷ

  • 5. 에혀
    '12.9.24 2:25 AM (58.225.xxx.223)

    제 시모는요??
    한번도 떠 주신적도 없고 밥 해준적도 없어요

    결혼하면서부터 손끝에 물 한방울 안묻히려 하더군요 며느리가 그야말로 자기 몸종인줄 알고
    결혼 2년차인데도그랬어요
    지금도 밥이든 설거지든 제 차지에요 그러니 시댁 안가려고 하죠

  • 6. ^^저희
    '12.9.24 5:02 AM (61.43.xxx.76)

    시모두그래요 밥두안푸고 넌니가퍼먹어라 아님음식점가서 꼭그래요

  • 7. ^^저희
    '12.9.24 5:03 AM (61.43.xxx.76)

    이번가서 지를려고요 어머니 또 판타스틱 시랜드만드시네요

  • 8. ,,
    '12.9.24 6:20 AM (118.33.xxx.211)

    정말 시모를 떠나 이상한 사람들이 다 있네요
    저도 며느리있지만 밥이 있어도 새로 해서 주는데..

  • 9. ...
    '12.9.24 6:34 AM (122.36.xxx.75)

    나이들어 뒷방늙은이 되면 그 서러움 어찌 감당 하실려는지 ... 마음에 안들더라도
    현명한사람은 저렇게 행동안하는데 참 못 된 어른이네요

  • 10. 놀라워요..
    '12.9.24 8:38 AM (218.234.xxx.76)

    최근 밥과 시어머니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올라오는데 정말 놀라워요.
    방송작가들 82에 상주하는 것 같던데 한번 다뤄보심이..

  • 11. ㅎㅎㅎ
    '12.9.24 9:11 AM (58.125.xxx.108)

    우리 시어머니는 절대 밥! 자체를 안 차려주세요.
    명절 때 며느리들이 해 놓을 때 빼고는 주말이나 기념일 날 찾아가도 꼭 짜장면 불러 주고 나가서 먹자...하시죠. 음식솜씨가 원래 없긴 하지만 그래도 성의라도 보이면 좋을 텐데...
    집밥..이라는 개념조차 없어요.

  • 12. ㅎㅎ
    '12.9.24 9:44 AM (211.246.xxx.175)

    저도 먹는걸로 치사하게 서러움 당해봐서 아는데 기분 더럽죠. 외며느리인데 무슨 식모 취급에 부엌일 시키는건 당연하고 밥먹는것 조차 하대 당하니 기가 막혀 밥이 입으로 들어가는지 코로 들어가는지 모를지경이에요.
    우리 남편 친정가서 대접받는거 반의 반만이라도 받아도 시댁에 이런 기분 안들텐데...다행히 남편이 이런 상황 알고 이해해줘서 미안해하네요. 시댁 가면 많은 양의 음식을 만드는데도 가기전에 그냥 밖에서 미리 간식 먹고 가요. 그낭 귀막고 눈감고 하루종일 일만하다 오는 기분으로 갑니다.

  • 13. 진짜 별꼴이네요
    '12.9.24 1:25 PM (125.177.xxx.190)

    그런 시모들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러신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184 말 없는 박근혜, 말 하는 문재인 7 국감 2012/10/05 2,102
163183 요즘책들 4 독서 2012/10/05 1,241
163182 택배 이럴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4 xorqo 2012/10/05 1,451
163181 케네스레이디는 어떤 연령을 타겟으로 하나요? 1 린컴퍼니 2012/10/05 3,447
163180 강남구 이사 1 예나 2012/10/05 1,648
163179 초1 아이가 생일파티 초대를 못받았네요.., 씁쓸... 34 공주만세 2012/10/05 11,880
163178 시력교정 핀홀 안경 아시는 분 계세요? 4 천사 2012/10/05 13,419
163177 살빼려면 요가는 아니고 커브스가 날까요? 4 요가는살이찌.. 2012/10/05 3,197
163176 코스트코서 르크루제 할인 혹시 하나요? 2 궁금 2012/10/05 1,410
163175 박근혜가 대통령되면 할것 11 gh 2012/10/05 1,554
163174 불산/방사능이 퍼지는 와중에 MSG는 애교죠 5 상대적으로 .. 2012/10/05 1,201
163173 미국으로 책을 보내야 하는데 저렴한 방법을 찾고 있어요 1 둘둘 2012/10/05 1,137
163172 명절증후군도 잘사는집은 해당사항아닌가봐요 ㅠ 5 ,,,, 2012/10/05 3,466
163171 이런말은 어떤 느낌이들까요? 3 잔잔한4월에.. 2012/10/05 1,367
163170 채반이나 소쿠리같은거 사고 싶어요. 1 채반 2012/10/05 1,290
163169 언니네 개업 ㅠㅠ 9 속상한 동생.. 2012/10/05 3,708
163168 정권바뀌면 해주어야 할것과 하지 말아야 할것. 6 ㅇㅇㅇㅇㅇㅇ.. 2012/10/05 873
163167 대박난 돼지갈비요..양념에 재워서 냉장고에서 얼마나 둬도 될까요.. 6 ... 2012/10/05 3,439
163166 9개월 아기 이유식때문에 미치겠습니다 10 미쳐미쳐! 2012/10/05 9,126
163165 MSG? 우리나라 전통음식이 오히려 몸에 해롭습니다. 70 ㅇㅇ 2012/10/05 11,133
163164 카스는 요물인것같아요..좋기도하고 나쁘기도하고~ 8 카카오스토리.. 2012/10/05 2,862
163163 msg 보다 더 나쁜건 정제소금, 정제설탕 11 f 2012/10/05 2,631
163162 이하늬 살을 왜이리 뺀걸까요.. 27 애엄마 2012/10/05 18,041
163161 50전후이신 분들께 물어요... 3 민스맘 2012/10/05 2,501
163160 마당있는 집은 김치냉장고 없어도 될까요? 10 장독대 2012/10/05 1,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