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파'는 요리에서 어떤 맛을 내나요?

ㅇㅇ 조회수 : 4,287
작성일 : 2012-08-28 23:13:35

예를 들어 마늘이나 생강, 양파는 각각의 이유가 있는 것 같은데, 파는 무슨 효과를 내나요?

사실 저희집에 파가 많이 들어왔는데 파를 어디에 넣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아니 어디다 넣어야 할지 모르겠다기보다 왜 넣는지 모르겠다, 는 기분^^;;

근데 상하기 전에 먹으려고 저녁 된장찌개에 잔뜩 넣었어요. 그래도 된장찌개가 별로 달라지지 않던데

보통 어디에 넣으시나요?

전 볶음밥에도 넣고 찌개에도 엄청 넣고 라면에도 넣어요. 근데 넣을때마다 항상 넣으나마나 한 거 같아요&&;

IP : 115.136.xxx.29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스뎅
    '12.8.28 11:15 PM (112.144.xxx.68)

    느끼하거나 기름진 요리에 주로 넣어요 싱그럽(?)잖아요^^

  • 2. ...
    '12.8.28 11:18 PM (119.67.xxx.202)

    시원한 맛?
    파를 넣어야 할 곳엔 넣어야 맛있긴 해요.

  • 3. 아돌
    '12.8.28 11:20 PM (116.37.xxx.225)

    푸른 부분은 살짝 데친 후에 육개장 끓여드세요.
    우리 아이 말로는 파 맛이 사는 것은 육개장 밖에 없대요.^^
    가장 많이 쓸 수 있고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메뉴인것 같아요.
    흰 부분은 동글동글 썰어서 한팩, 손가락 길이만큼 썰어서 한팩...뭐 이런식으로 얼려두심
    이래저래 오랬동안 쓸수 있어서 좋아요.
    푸른 부분이 너무 많으면 살짝 데쳐서 물기 짠 뒤에 육개장 한번 끓일 분량으로 소분해서 냉동시키심 되고요.
    이참에 맛간장이나 이런저런 고기 육수 같은 것 많이 끓여놓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4. 저도 왜 해야하는 지 모르겠는 숙제 같았는데...
    '12.8.28 11:22 PM (14.40.xxx.61)

    다른 음식에서는 아직도 잘 모르겠는데....
    떡볶이에 넣었더니 확 맛이 살더라구요~ㅎㅎ

  • 5.
    '12.8.28 11:22 PM (59.6.xxx.120)

    파맛이라?
    연애편지 쓸 때보다 더 어려운 것 같네요...^.^

    그래도 육개장을 비롯한 각종 국(미역국 제외)에서 파가 안들어가면 뭔가 빠진 것 같고요.
    특히 전이나 어묵 찍어먹는 간장의 맛은 파맛이라는....

  • 6. 대한민국당원
    '12.8.28 11:33 PM (116.121.xxx.151)

    파 맛이라? ㅎ
    쬐끔은 미안한 마음이지만 닭끓인 물이나 소를 끓인 물만 먹을 때랑(소금은 당연;;), 그것 하나에 파 하나 더 했을 뿐인데 하는 개운함이 느껴지죠. 닭육수 그저 드셔보시고, 거기에 파하나 첨가해서 드셔 보시길~

  • 7. 파향..
    '12.8.28 11:37 PM (210.183.xxx.205)

    파향을 정말 못느끼세요? 기름에 파만 넣고 볶아 보세요 그럼 어떤 냄새인지 잘알게 되실거에요 아님 요리에서 파만 빼보시던가요..된장찌개야 워낙 된장 향이 강한 음식이니까 좀 그렇구요..설렁탕이나 곰국 드셔보셨음 잘 아실건데..

  • 8. ㅇㅇ
    '12.8.28 11:38 PM (115.136.xxx.29)

    그렇군요- 제가 설렁탕이나 곰국 같은 국을 잘 안먹어서 몰랐나봐요 댓글들을 읽으니 아 그렇구나 싶네요^^

  • 9. ㅇㅇ
    '12.8.28 11:42 PM (39.115.xxx.90)

    우리나라 음식들...특히 국물이나 찌개 음식에 파 빠지면 도무지 맛이 안나요. 양파의 들큰함과 또 다른 시원하고 단맛?

  • 10. 달큰
    '12.8.28 11:43 PM (110.70.xxx.92)

    일단 믹으면 달큰한맛이 제일 큰거 같고
    생으론 칼칼??
    에이 모르겄다요ㅎㅎ

  • 11. ..
    '12.8.28 11:44 PM (175.116.xxx.107)

    시원한맛(국)과 비쥬얼(무침,찌게 등등)을 담당해요 ㅋㅋ

  • 12. 저는
    '12.8.28 11:48 PM (110.70.xxx.85)

    오히려 생강맛을 모르겠어요
    절대 안 사요 ㅎㅎㅎ 초밥집 생강도 왜 먹는지 신기

  • 13. 파조아
    '12.8.28 11:48 PM (125.128.xxx.93)

    파의 특성은 특유의 향기+매운맛 아닐까요?
    느끼하거나 누린내나기 쉬운 음식-삼계탕, 곰탕 등에
    빠지면 아쉬운 정도가 아니라 없어선 안되는 재료죠.
    입맛이 길들여져서 그런지 맛이 밍밍한 듯 하다가도
    파, 마늘이 들어가면 맛나다고 느껴져요.^^

  • 14.
    '12.8.28 11:51 PM (223.62.xxx.75)

    감칠맛 단맛 시원한맛 기름진 느끼함 덜어줌 파향의 풍미느낄수있으며 원래의 음식맛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킵니다. 중요한것은 평소 직접 드셔보시고 느껴보세요

  • 15. .....
    '12.8.29 12:30 AM (211.196.xxx.50)

    콕 꼬집어 하나만 이야기 한다면 단맛 업글이요.
    약간 덧붙여보자면 풍미가 산다고 해야 하나요. 음식맛의 층이 달큰하게 풍부해져요.
    양파보다 조금 더 폭 넓은 달큰함이요.
    맛을 지층으로 표현하면 마늘도 풍미를 깊게 하긴 하는데 맛 지층의 윗부분을 담당한다면
    파는 약간 아래 부분 을 담당하고 좋은 소금은 맛의 넓이를, 깨는 맛의 표면에 자리한다고나 할까요.
    그런데 파를 넣으면 맛이 갑자기 툭 떨어지는 음식도 있어요.
    뒷맛이 짧고 담백해야 하는 그런 음식으로 완성해야 하는데 파를 넣어서 뒷맛이 질질 길어지는 경우요.
    만고강산 제 생각입니다.

  • 16. ㅇㅇ
    '12.8.29 12:38 AM (222.107.xxx.79)

    하물며 라면에도 파 몇조각 넣으면 확 많있어 진다는..

  • 17. ^^
    '12.8.29 12:59 AM (221.141.xxx.184)

    단 맛, 시원한 맛, 향도 내주고 냄새도 잡아주고 ^^

  • 18. 감칠맛
    '12.8.29 1:44 AM (218.232.xxx.80)

    전 감칠맛이라 표현하겠어요. 언젠가 김치찌개 끓이고 '맛이 뭔가 2% 부족하다' 라고 생각하면서 파를 넣었더니 그 2%가 채워지던데요.^^

  • 19. ,,
    '12.8.29 11:35 AM (72.213.xxx.130)

    하물며 라면에도 파 몇조각 넣으면 확 맛있어 진다는.. 22222 절대 공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199 동양매직 음식물냉동처리기...지를까요 말까요ㅠㅠㅠ 21 ㅇㅁ 2012/09/14 2,683
155198 미셀오바마 연설 들으니, 그런 영부인 둔 미국 부럽네요 3 영부인 2012/09/14 3,740
155197 후배가 결혼하는데 맘이 좀 그래요 29 .... 2012/09/14 7,805
155196 케빈에 대하여를 보고...[감상후기] 17 잔잔한4월에.. 2012/09/14 6,517
155195 결혼할때 집안 좋다는 건...구체적으로 무슨 뜻인가요? 30 애매 2012/09/14 9,223
155194 걱정많고 예민한 사람. 피에타 못볼까요? 16 심약한이 2012/09/14 2,502
155193 그냥 ...철수. 7 .. 2012/09/14 1,318
155192 하와이 4박에 마우이섬가는건 무리일까요? 6 rhtju 2012/09/14 2,686
155191 돼지 뒷다리살 소금구이 해먹어도 될까요? 3 ,,, 2012/09/14 2,339
155190 면세한도액이 얼만가요? 2 해외여행 2012/09/14 1,383
155189 마늘 보관법 3 보따리아줌 2012/09/14 1,903
155188 문재인이나 안철 수 찍으면.... 17 그네언니.... 2012/09/14 1,996
155187 쁘띠 스카프..?(손수건..?) 50*50 사이즈 어떤가요..?.. 2 ....? 2012/09/14 1,665
155186 두어달쯤에 선본남자가 계속 전화를 해요 10 .. 2012/09/14 3,440
155185 가수 송시현을 기억하시는 분 계실까요? 7 .... 2012/09/14 2,755
155184 나꼼수 같은 정치 시사 프로가 있을까요? 2 미국도 2012/09/14 958
155183 전세계약전 주의사항 문의드려요 2 Regina.. 2012/09/14 943
155182 저녁 국하나 놓고 먹음 안되나요? 10 뭐 먹고 사.. 2012/09/14 2,437
155181 박그네의 정체는...? 1 ㅇㅇㅇㅇ 2012/09/14 1,049
155180 화초 키우기 취미이신분 없나요? 7 ㅇㄴㅇㅇㄹ 2012/09/14 2,457
155179 불닭볶음면 먹지마세요 32 와진짜 2012/09/14 10,311
155178 아는분이 집싸게 팔고 경매로 집사서 이사가네요.. 4 집사기 2012/09/14 4,276
155177 여자 친구 코치 백 사주려고 하는데요 (질문) 7 .... 2012/09/14 2,986
155176 대체 이거는 어찌 보관해야 안무르는거지요? 9 양파 2012/09/14 1,583
155175 새누리는 슬슬 안철수파 문재인파로 나누려고 하겠죠?? ㅋㅋㅋ 5 속보인다 2012/09/14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