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필독]청계재단은 MB의 빚갚기 목적?

나무 조회수 : 1,685
작성일 : 2012-08-24 17:37:18

http://board.wassada.com/iboard.asp?code=freetalk4&mode=view&num=544900&page=...

 

사진이 올라가지 않아 링크를 복사 합니다.

 

[이 글은 '아이엠 피터' 님이 쓰신 글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자신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여 만들었던 '청계재단'이 다시 이명박 대통령의 빚 갚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런 결과가 나올 것이라 필자는 예견은 했습니다.
그것은 청계재단이 설립될 때부터 저는 청계재단 자료를 찾으면서, 도저히 장학재단이라고 할 수 없는 증거들을

봤기 때문입니다.

자료를 찾다가 작년에 올린 글에서도 지적했지만, 청계재단은 겨우 올해서야 서울시교육청의 감사를 받았습니다.
2009년에 설립했던 장학재단 사업실적 자료가 지금에서야 나온 것입니다.
우선 이명박 대통령의 빚 갚기용으로 전환됐다는 청계재단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장학재단? 대통령 빚 갚아주는 재단?'

이명박 대통령은 자신 소유의 서울 서초동 영포빌딩과 대명주빌딩,양재동 영일빌딩을 청계재단에 내놓았습니다.
2009년 청계재단의 총자산은 456억9000만원이었습니다.
이 당시 금융자산은 53억300만 원이었는데, 이중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천신일 전 세중나모 회장에게 30억 원을 빌린 뒤

은행에서 대출받아 갚았던 부채가 있었습니다.
청계재단은 은행에서 50억 원을 대출받아 이명박 대통령의 빚을 갚았습니다.



청계재단은 이명박 대통령이 내놓은 건물들의 임대료 수입을 통해 매년 12억 이상의 수입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명박 대통령의 빚을 갚느라 받은 대출금 이자로 한 해 2억6천만 원이상을 사용했습니다.
장학재단이 대출받을 수 있고, 이자도 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장학재단이 원래 운영수익의 70% 이상을 장학사업에 쓰도록 명시되어 있지만(현금자산운용 수익기준), 청계재단은 20,6%만 사용할 수 없던 이유가 대출금 때문이라는 점입니다.

지난 2년간 청계재단이 장학금으로 지급된 총액은 11억 9,780만 원이었지만, 그 중의 절반 이상인 6억 원은 이명박 대통령의 사위 조현범이 사장으로 있는 한국타이어의 기부금입니다.

청계재단은 2011년에 13억4,974만 원의 임대료 수입을 올렸습니다.
2010년보다 1억 원이상 수입이 더 들어왔지만, 오히려 장학금 수혜학생은 447명에서 408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결국, 돈은 더 많이 생겼지만 장학금 혜택은 줄어드는 비상식적인 장학사업을 했던 것입니다.

이런 청계재단의 운영을 보면 결국, 말이 장학재단이지 이명박 대통령의 빚을 갚기 위해 설립된 재단이 아니었느냐는 의혹과 과연 올바른 장학사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이명박 대통령 만들기 프로젝트'

필자가 청계재단에 주목했던 이유는 원래 이명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선 후보 시절 공격받았던 재산 형성 문제점을 '전 재산 사회 환원'이라는 도구로 돌파했기 때문입니다.

1996년 주간조선은 이명박 의원의 비서였던 김유찬으로부터 '프로젝트 PLP(President Lee Plan)' 일명 이명박 대통령 만들기 플랜에 대한 문건을 제보받아 보도합니다.
김유찬은 이명박 대통령의 신한국당 시절 비서로 이명박 선거법 위반 및 피의자 도피 의혹을 폭로했던 인물이었습니다.

이 문건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이명박을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이 담겨져 있었습니다.



비록 이 문건의 계획처럼 이명박은 1997년에 대선 후보로 지명되지는 않지만, 서울시장 후보, 대선 후보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은 문건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 문건에서 가장 이명박의 약점이었던 재산문제를 돌파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PLP(President Lee Plan)에서는 『이 의원의 재산문제를 능동적으로 돌파하기 위해 재산의 사회 환원을 검토하고, 인간적 포용력을 보여주는 문제를 검토하자』는 문구가 있었습니다.
이명박을 향한 네거티브 공세를 이겨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었습니다.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는 150억대 도곡동 땅 은닉과 처남 김재정의 명의로 전국에 수십만 평의 땅을 매입했다는 의혹을 '전재산 헌납'이라는 초강수로 맞섰고, 결국 BBK를 비롯한 그의 도덕성 문제는 대선의 걸림돌이 되지 못했습니다.

대통령이 되기 위한 계획 단계부터 이명박은 자신의 약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고민했던 사람입니다.
그렇다면 결국 그가 만든 청계재단도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 철저한 계획 속에 담긴 전략일 뿐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정치인의 말, 그 진실을 찾아야 한다'

MB가 한나라당 대선 후보로 전 재산 사회 헌납을 약속하고 대통령에 당선된 뒤에 많은 국민은 약속을 지키는 대통령이라고 그를 믿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청계재단 이사장이자, 이명박 대선후보 후원회장이었던 송정호 전 법무부 장관은 청계재단 출범 초기부터 '돈이 부족해, 장학사업이 줄어들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청계재단이 기금을 가지고 운영하는 방식이 아니라 건물을 임대해 나온 수익으로 장학금을 지급방식은 애초부터 문제가 많았습니다.
매년 10억 원 이상의 건물 관리 비용(건물 관리 인건비,수도광열비,공과금,수선비 등)이 들어가기 때문에 건물을 팔아 그 돈으로 장학기금을 마련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그러나 청계재단은 서울시교육청이 건물을 팔아 부채를 갚고 제대로 장학사업을 진행하라는 권고안을 따르지 않고 있습니다.

부동산 명의는 바뀌었지만, 대통령 친인척이 관리하고 있다면 결국 그 재산도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에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는 청계재단이 부동산을 매각하지 않고 버티는 모습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현재 청계재단 감사는 주정중 삼정컨설팅 회장입니다.
그는 15대 대선 당시 한나라당이 국세청을 통해 대선 자금을 불법모금한 일명 '세풍'사건에 연루됐던 인물입니다.
다시 PLP로 넘어가서 이명박 대통령 만들기에서 2번을 보면 '차선으로 가장 유력한 후보를 지원'이라는 항목이 나옵니다.

당시 15대 대선 후보는 이회창 후보였습니다.
이회창은 2002년 서울시장 선거시절 이명박 서울시장 후보 지원유세에 적극적이었던 인물이었습니다.

청계재단의 홈페이지는 2년이 지나도록 공지사항 하나만 올라오고 나머지는 그저 재단 소개와 이명박 대통령이 어떻게 살아왔는지에 찬양하는 글로 도배되어 있습니다. 장학금을 주기 위한 재단인지, 이명박 대통령을 홍보하는 홈페이지인지 구별이 되지 않을 정도입니다.

설립자의 이야기를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닙니다.
장학금을 주기 위한 신청이나 안내문,관련 자료가 거의 없으면서, 설립자 홍보만 하는 것이 문제라는 점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국회의원 시절부터 '재산은닉의 귀재'라는 평가를 받았던 인물입니다.
청계재단이 지금 장학재단으로 활동한다고 볼 수 없는 이유가 재단 설립이 대통령에 당선되기 위한 술수였고, 재산을 파는(환원) 것이 아닌 '위치 이동'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

정치인의 말과 행동을 그때는 몰랐지만, 언젠가는 왜 그런 말을 했고, 행동했는지 깨닫는 증거를 찾게 됩니다.
그래서 정치인의 과거가 중요하고, 그들이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를 꼭 조사하고 눈여겨봐야 합니다.

IP : 147.6.xxx.2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파사현정
    '12.8.24 5:48 PM (114.201.xxx.192)

    곽노현교육감으로 인해 교육비리 그렇게 많이 밝혀냈고 줄어들었다고 하네요.
    서울시에 있는 교육재단도 샅샅히 조사하면 아마 엄청난 비리가 다 나올듯.

  • 2. 존심
    '12.8.24 6:22 PM (175.210.xxx.133)

    거지발싸개같은*

  • 3. 당연
    '12.8.24 7:04 PM (168.154.xxx.35)

    내 그럴줄 알았어.

  • 4. 정말
    '12.8.24 7:28 PM (211.223.xxx.94)

    무엇 하나 인간적이고 반듯한 게 하나도 없네요.
    얼마나 험하게 살았으면 하는 짓마다 이럴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9131 도시가스도. 카드되나요??? 8 고정 2012/08/31 2,072
149130 흡혈진드기 아시나요? 3 너무가려워요.. 2012/08/31 3,144
149129 깻잎 삭히기 질문 2 보리 2012/08/31 6,774
149128 신용불량자도 해외여행 갈수있나요 6 여행 2012/08/31 4,363
149127 친구한테 메세지를 하면 꼭 일주일뒤에 답장을 해요. 정상이라고 .. 11 에라잇 2012/08/31 3,546
149126 마이클럽에 사람정말없네요 4 화이트스카이.. 2012/08/31 2,773
149125 밖에서 누가 고추를 말리는데요 4 ... 2012/08/31 1,891
149124 전기료 누진제의 불공평 17 유감 2012/08/31 3,055
149123 아기는 관심없는데 제가 사고 싶은 장난감들이 있어요. 9 아웅 2012/08/31 2,210
149122 뒷물 꼭 해야하는건가요? 5 므므므 2012/08/31 4,550
149121 예쁜 라디오 사고 싶어요 .... 2012/08/31 1,351
149120 (무플절망)금인레이가 떨어졌는데 잇몸에서 고름이나요 3 해바라기 2012/08/31 2,327
149119 우리나라에도 표범이 살았군요 4 억척엄마 2012/08/31 1,618
149118 가슴이 너무 아프고 손이 떨려서 일이 눈에 안들어 오네요.. 12 엘리216 2012/08/31 4,449
149117 응답하라 1997 울면서 웃으면서 보네요. 11 아.. 2012/08/31 3,130
149116 성폭행당한 아이 엄마랑 성폭행범이랑 새벽에 같이 pc방에 있었다.. 159 엄마 2012/08/31 29,870
149115 발등이 스치듯이 아려요.. 증상 2012/08/31 999
149114 나주 성폭행범은 이웃집 20대남 15 2012/08/31 3,747
149113 핸드폰, 유심카드가 인식이 안된다고하는데.. 몹쓸 고장일까요??.. 자장자장잼잼.. 2012/08/31 3,033
149112 걸그룹 섹시댄스추고 포털에 선정적인 떡밥기사들도 꼴보기 싫어요 .. 4 희망2012.. 2012/08/31 1,475
149111 우리나라 여자중에 성추행 안당해본 사람이 있을까요? 118 dd 2012/08/31 32,306
149110 세상에 참 염치없는 사람 많네요. 9 참... 2012/08/31 3,290
149109 과연 실비보험이 좋은 걸까요? 13 실비보험 2012/08/31 3,253
149108 공부방 수업료는 환불이 안되다더데요 6 !.. 2012/08/31 5,076
149107 류마티스 치료에 대해 고민입니다. 8 patien.. 2012/08/31 3,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