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형아파트를 팔고 주택에 전세로 가고 싶은데..

주택에 살고 싶어요 조회수 : 2,574
작성일 : 2012-08-22 12:37:53

지방에 사는 5인 가족입니다.

작은 소형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아이들이 어릴때 주택에서 살아보고 싶어서 매매를 하기로 했어요.

마침 집 근처에 20년 된 주택이 전세로 나와있어서, 집이 팔리면 그쪽으로 가면 좋겠다.. 하고 있는데..

좀처럼 집이 나가질 않네요.

같은 평수에 비싸게 내어 놓은 집은 2억 천이고, 저희집은 1억9천 500에 내어놓았어요.

한 다섯분 정도 보신것 같은데, 연락이 없네요.

 

주택은 전세가 2억 정도인데, 그동안 거의 손보지 않고 살았던데다가 지금 집이 비어있어서 무척 지저분한 편입니다.

주인이 도배장판이나 싱크대를 고쳐주지 않는 대신 전세금을 좀 빼주기로 했구요. 알아서 살라고 하시더라구요.  

잔디가 깔린 마당도 있고, 계단도 있어서 아이들이 살기엔 좋을 것 같아요.

물론 주택은 아파트와 다르게 무척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하게 살아야 한다고 해서 (제가 좀 게으른 편입니다. ㅠ.ㅠ) 조금 걱정은 되지만 더 나이 들기전에 새로운 환경에서도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구요.

 

지금 아파트는 전세가 1억  4천입니다.

전세를 주고, 대출을 얻어서 주택으로 가는 방법도 생각중인데 그건 가계에 너무 무리가 되지 않을까.. 또 요즘 주택상황을 보면 더 싸게라도 빨리 팔아버리는 게 좋은 건가.. 너무나 고민이 됩니다.

 

혼자서 머리를 싸매고 있다가 이렇게 고민글 올려봅니다.

82님들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IP : 112.153.xxx.19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8.22 12:45 PM (218.236.xxx.183)

    아이들 어릴 때 그런 생각으로 집을 팔지는 않고 전세주고 전세로 갔는데
    계약할 때는 아무말 없더니 들어가 살기 시작하니 바로 집본다고
    사람들이 들락거리더군요. 저희에겐 말도 없이 매매로 내놓고...

    그거 보여주느라고 스트레스 엄청나게 받았고요.
    주택은 아주 잘 지은집 아니면 겨울에 난방비 무지하게 듭니다.
    그렇다고 따뜻하지도 않구요

    제가 살던 집도 집주인이 제대로 짓는다고 지은집인데
    오래돼다보니 창문들이 방한을 제대로 못하다보니
    겨울엔 시베리아 난방비 100만원 들여도 추워서 혼났어요.
    겉으로 보기엔 잔디 깔린 저택 ㅠㅠ

  • 2. ...
    '12.8.22 12:45 PM (59.15.xxx.61)

    잔디 깔린 마당...낭만적인데
    잔디깍기는 누가 하실건대요?
    정말 힘들어요...ㅠㅠ
    조금만 방치하면 금방 수풀림이 되요.

    울 남편왈...
    잔디 잘자라라고 비료주고
    자라면 보기 싫다고 깍아버리고...이거 뭔짓이냐?

  • 3. ...
    '12.8.22 12:47 PM (218.236.xxx.183)

    맞아요. 여름에 비오는게 무서웠네요. 잔디가 쑥쑥 자라서 ㅠㅠ

  • 4. ...
    '12.8.22 12:51 PM (114.205.xxx.142)

    대출금 이자 감당하실정도 되시면 전세로 주고 가시는 것도 좋은 방법인것 같습니다.

    살아보지 않은 주택이시니 1-2년 살아봐야 주택에서 더 살건지 다시 아파트로 들어갈 건지
    결정하기 쉬울 듯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아파트가 편하나 아이들 뛰어놀기에는 주택도 좋아요.

  • 5. 바람
    '12.8.22 12:55 PM (112.153.xxx.195)

    잔디는 주변 다른 집들과 함께 따로 관리하고 있는 것 같았어요.

    첫 댓글님 말씀처럼 난방비도 걱정이 되고.. 사실 금전적으로나 상황적으로나 주택은 무리..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제 인생의 마지막 도전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있었어요.
    지금껏 너무 편안한 삶을 살아왔던 것 같아서요..

    최근에 박경철님 책을 보고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그렇지만 아파트생활만 했던 터라, 주택생활에 대한 로망만 가지고 접근하는 것은 위험하겠다.. 싶어서 글을 올렸어요.
    예전에 주택살던 친구가 쥐잡던 이야기를 해줬던 기억도 나고..-.-;;

    암튼, 전세를 살면 주인의 상황에 따라.. 또 생활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네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6.  
    '12.8.22 1:00 PM (115.21.xxx.185)

    무슨 주택은 사람 살 곳 못 되는 것처럼들 말씀하시는지.
    냉난방비 생각보다 많이 안 나오구요.
    단열 잘 하면 오히려 더 좋아요.
    아파트처럼 위 천정 바닥에서 난방해대서 공기 건조하지도 않구요.

  • 7. 라플란드
    '12.8.22 1:11 PM (183.106.xxx.35)

    주택은.....다른거보다..누수가 젤 골치입니다.
    아주아주아주 잘지어진집이어야 누수가없구요...그외엔 거의 조금씩있는거같아요
    비새는곳 찾는것도 일이고...찾기도 쉽지않지만..찾고나면 또 공사비가 엄청나죠.

  • 8. ..
    '12.8.22 2:15 PM (14.43.xxx.193)

    저 집팔고 주택전세 살고 있는데 한번도 주택 안살아보셨음 많이 힘들어요..
    전 나름 최근에 지은 주택에 왔는데도 덥고 춥고 힘들어요.
    일단 전세주시고 전세살아보신 후에 결정하세요.
    덥썩 팔고 왔다 많이 후회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4861 수학과외샘 어떤분이 나을까요? 3 수학과외 2012/08/22 1,454
144860 이승만, 박정희가 한 짓을 정확히 5 ... 2012/08/22 943
144859 울산 아파트 시세는 어떤가요? 2 부동산 2012/08/22 1,886
144858 아이 성악 레슨하는거 옆에서 듣기 괴로워요. 1 초5맘 2012/08/22 2,054
144857 한쪽코가 항상 막혀있어요 7 젠장 2012/08/22 3,950
144856 쇼핑하기에 가장 좋은 나라가 어딜까요? 13 루이 2012/08/22 3,954
144855 주변에 도박하는분 있으신가요? 6 휴휴 2012/08/22 2,888
144854 감사헌금 질문요 6 .... 2012/08/22 6,760
144853 유치원 중요한가요?? 3 유치원생엄니.. 2012/08/22 1,623
144852 태국여행 다녀오신 분~ 방콕+푸켓 힘들까요? 9 노란달팽이 2012/08/22 2,340
144851 저의 아이 축하해주세요^^ 10 보석비 2012/08/22 3,010
144850 부동산질문 6 잔잔한4월에.. 2012/08/22 1,490
144849 사람속을 알다가도 모르겠네요 7 친구 2012/08/22 2,592
144848 어제 장봤는데 먹을게 없네요. 왜 이럴까 3 나도 2012/08/22 2,586
144847 얼마전 남편이 시어머니랑 살기 위해 별거한다고 글 썼던 사람입니.. 52 자유 2012/08/22 25,357
144846 호주에 대해서 아시는분.. 여행 관련해서 질문드릴께요. 9 호주 2012/08/22 1,218
144845 전업글 보고..저도 전업하다 요즘 남편 도와요. 7 나죽네 2012/08/22 1,751
144844 베란다 바깥쪽 창문 청소에 대하여 8 궁금이 2012/08/22 3,405
144843 곽경택 감독의 미운오리새끼,,꼭 보세요(노짱님 육성 나옴) 5 ,, 2012/08/22 1,566
144842 송파인데요 왠 제트기.. 4 .. 2012/08/22 1,540
144841 제주 중문에 맛있는 음식점 있나요? 4 wopwn 2012/08/22 1,581
144840 노트북 액정 가는거 얼마정도 드나요.. 7 .. 2012/08/22 1,098
144839 환자안전법(일명 종현이법) 제정을 위한 문자청원에 동참해주세요... 유수부쟁선 2012/08/22 1,006
144838 김냉에 1주일된 식빵이 괜찮을까요? 4 식빵이 2012/08/22 1,256
144837 통신사 이동없이 번호만 바꿀 경우, 스마트폰~ 4 무식 2012/08/22 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