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밀양에 갔을때 노인은 내게 말했다 이 정부가 제 나라 국민을 침략하고 있다고

달쪼이 조회수 : 1,692
작성일 : 2012-07-31 20:06:16

좋은 글이라 꼭 함께 읽어봤으면 해서 가져왔어요.
작금의 두물머리 시민 불복종운동이 갖는 의미를 조목조목 잘 풀어내어 써주셨습니다.


고병권 수유너머R 연구원의 프레시안 기고글입니다.

전문은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120730165405 ..






미국에서 '월가점거시위'를 목격하고 돌아온 지 얼마 되지 않아 나는 두물머리를 찾은 적이 있다. 
그때 밭에 꽂혀 있는 푯말에서 인상적인 문구를 보았다. '불법경작단.' 전체 11가구 중 지난 해 7가구가 정부의 회유와 압박을 이기지 못해 떠났을 때, 두물머리 농부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불법경작자'를 자임하며 그 땅에 상추를 심고 고추를 심고 토마토를 심은 것이다. 
"그들이 농부들을 불법경작으로 고발한다면, 우리 모두가 무수하고도 무고한 '피고'가 되자."  
지난 4월에 '두물머리밭전위원회'가 출범했을 때 시민들이 선언한 문장이다.(...)


두물머리에서 기꺼이 '불법경작자'를 자임하며 상추를 심고 고추를 심고 토마토를 심는 사람들을 보았을 때, 나는 작년 11월 17일 뉴욕에서 보았던 한 시위 장면이 생각났다. 뉴욕시 당국이 월가 점거 운동의 상징적 장소인 '리버티스퀘어(주코티공원)'를 기습 철거했을 때 이틀 뒤 수만 명의 뉴욕시민들이 맨해튼 거리로 뛰쳐나왔다. 평소 리버티스퀘어를 점거하고 있던 사람들은 수백 명에 불과했고, 정부는 이들 소수의 점거자들이 전체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공원 이용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정작 시민들은 정부의 철거에 분노를 터뜨리며 도심으로 쏟아져 나왔다. 그날 밤 경찰이 설치한 대형전광판에는 도로에 내려선 사람을 연행하겠다는 문구가 번쩍였고 무장경관들은 수갑을 내비치며 시민들을 위협하고 있었다. 그때 예닐곱의 시민들이 천천히, 경찰에게 보라는 듯 도로에 내려섰다. 한 시민이 도로에 내려서면 그는 인도를 향해 손을 뻗었다. 그리고 나면 또다른 시민이 뛰어와 그 손을 잡고 도로에 내려서고 다시 인도를 향해 손을 뻗었다. 그렇게 해서 그날 수백 명의 시민이 연행되었다.

시민 불복종이었다. 언뜻 보면 그들은 도로교통법을 위반한 '불법보행자들'에 불과하다. 하지만 시민불복종은 개별 법조항을 넘어서 더 근본적인 것에 대한 항의 행동이다. 앞서의 <동아일보> 기자는 '무력한 공권력'이라고 했지만, '공권력', '법의 힘'은 도대체 어디서 오는가라는 물음을 우리는 던져 볼 필요가 있다. 법전에 써 있는 문장들은 그 '힘'을 어디서 가져오는 것일까. 그것은 그 법들을 떠받치고 있는 그 '무언가'로부터 나온다. 그 '무언가'를, 철학자 조르지오 아감벤은 '권위(auctoritas, authority)'라고 했다. 법에 '힘'을 줌으로써 법을 법(실정법)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그 법을 떠받치는 '권위'이다.(...) 


근대 사회는 시민들을 주권자로 내세우는 체제이자 시민들의 복종에 의존하는 체제이다. 그러므로 법에 대한 시민 불복종은 표면상으로는 개별적인 법조항 하나를 어기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법의 근간이 되는 권위에 대한 인정의 철회를 의미하는 것이다. 물론 법의 권위에 대한 인정을 철회해도 공권력이 행사하는 물리력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권위를 박탈함으로써 공권력이 갖는 외견상의 힘은 그대로 있다. 경찰봉과 방패의 힘도 그대로이고 공사용 굴착기의 힘도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사라지는 것은 공권력이 가진 '공적 성격'이다. 그런데 그것이 사라진다면 우리는 공권력과 사적폭력을 구별할 수 없게 된다. 앞서의 뉴욕 시민들은 리버티스퀘어의 철거를 단행한 뉴욕시 당국의 행동에서 공적 성격을 박탈한 것이다. 경찰에 끌려가지만 그 철거를 공무집행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을 불복종을 통해 선언한 것이다. 그런데 공적 성격이 부인된 공권력이란 조폭 등 사적 패거리들이 휘두르는 폭력과 다르지 않다.


몇 주 전에 밀양에 갔을 때 주민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송전탑 설치를 강행하는 한전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정부를 향해 한 노인은 내게 말했다. '이 정부가 제 나라 국민을 침략하고 있다'고. 용산의 철거민들도, 쌍용자동차의 노동자들도, 강정의 사람들도 마찬가지 심정일 것이고, 그들의 고통을 깊이 공감하는 많은 시민들 또한 그럴 것이다. 한 나라의 많은 시민들이 그런 감정을 느끼고 있을 때에도 정부가 '법'과 '공권력'에 대한 복종만을 요구한다면, 사람들은 정부에 부여된 '공공성'을 박탈하게 될 것이다. 즉 법에 힘을 주는 권위에 대한 인정을 철회할 것이다. 
그 순간 정부는 형식상으로만 정부이고 실제로는 더 이상 정부가 아니게 된다. 
시민들에게는 정부가 정부라기보다 제 집단의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일개 패거리로 비치는 것이다.

두물머리에서 나는 이것을 느낀다. 농부는 농부로 남기 위해 법을 어기는데 공동체와 생태라는 공공의 가치를 구현하는 것처럼 보이고, 정부는 법을 지키기 위해 공권력을 행사하는데도 건설업자들의 사적 이해에 복무하는 것 같은 느낌말이다. 지난 40년 간 합법적 점용권을 갖고 친환경 농사를 고민한 사람들에게 그 '점용권'을 간단히 빼앗아 범법자로 만들고, 그런 권리가 마구 허용될 수 없는 것임에도 마치 여기를 허용하면 전국적으로 난리가 날 것처럼 떠들어대는 것(그런 난리가 났을 거면 지난 40년간 이미 무수히 났을 것이다). 게다가 이곳 농부들만이 아니라 여러 시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음에도, 자전거 도로와 잔디공원을 반드시 이곳에 깔아야 한다고, 그것도 조금의 우회조차 할 수 없다고 고집하는 것. 35억이라는 예산을 지금 당장 쓰지 않으면 이 나라에서 사라지는 듯 법석을 떠는 것(이 공사에 쓰지 않으면 국고로 들어가 다른 곳에서 시민들을 위해 쓰일 수도 있고, 최소한 예산을 아끼는 일이라도 될 터인데 말이다). 
내 눈에는 이 모든 것들이 올해 임기가 끝나는 특정인과 이 사업에 관여하는 특수한 이해당사자들을 위한 것으로만 보인다.


정말 안타깝게도 이 정부는 법을 집행하면서 법의 근간을 허물고 공권력을 휘두르면서 그 공공성을 잃어가고 있다. 점차 많은 시민들이 그 권위를 부인해 가는데, 정작 정부와 법의 토대가 무너져 가는데, 그 위에서 칼춤을 추고 삽질을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두물머리의 네 농부는 비록 '합법적 점용권'을 잃고 '불법경작자'가 되었지만 여전히 농부로 남을 수 있다. 
그러나 법의 이름으로 힘만을 과시하는 정부가 있다면 그 정부는 더는 정부로 남지 못할 것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P : 220.120.xxx.82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7.31 8:31 PM (112.155.xxx.72)

    감동적인 글이네요.
    mb는 취임 순간 부터 법치법치 하는데 법이라는 게 결국 국민들,
    특히 힘없는 국민들을 잘살게 하기 위해 만든 거 아닙니까?
    그걸 칼자루를 거꾸로 들고 약한 국민들을 향해 겨누면서
    대기업 토건 업자들 편만 드니.
    법의 정신이 사라졌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602 인생의 꿈이 남자친구가 되어버리면.. 안되는 거죠? 7 belle5.. 2012/08/16 1,880
142601 방송인 김태희, 19일 회계사와 결혼한다 2 호박덩쿨 2012/08/16 5,067
142600 게시판에서 실명을 사용하는 것이 차라리 낫지 않을까요? 4 &*** 2012/08/16 836
142599 자주 먹는 즉석식품 있으세요? 12 탕탕탕 2012/08/16 4,608
142598 신용카드 추천하실만한거 있으신지요 2 영선맘 2012/08/16 1,246
142597 전세 반환금 몇시쯤 주어야 할까요??? 6 별이별이 2012/08/16 1,087
142596 경기도 안산에 사시는분들 중국관 어떤가요? 2 중국관 2012/08/16 1,109
142595 하얀티에 겨드랑이땀때문에 생긴 얼룩 지워지나요? 1 ?? 2012/08/16 2,261
142594 시아버지께서 중풍 증상을 보이셔서 지금 병원에왔어요 10 도와주세요!.. 2012/08/16 2,346
142593 미역을 볶지 말고 끓여보세요 21 노모어쓴맛 2012/08/16 6,226
142592 출퇴근 간병인은 어떻게 구해야 할까요? 3 SOS 2012/08/16 1,823
142591 수시 논술전형 문의 드려요. 4 초록 2012/08/16 1,731
142590 검색해보니 한포진이라는데 5 한포진 2012/08/16 1,764
142589 성북구 종암동 근처에 사시는 분! 2 도움말 부탁.. 2012/08/16 1,535
142588 저도 82에 보답하는 의미로 팁 하나~ 15 초록거북이 2012/08/16 5,089
142587 위 아래 사랑니 동시에 빼 줘야 하나요? 9 00 2012/08/16 12,742
142586 출판, 잡지 관련 구직 정보 볼수있는 곳 3 아세요? 2012/08/16 1,056
142585 여자분들...남자 만나시면.. 6 널보게될줄 2012/08/16 2,527
142584 또다른 냉면육수 비법 - 펌 9 냉냉 2012/08/16 4,655
142583 어제 국기를 달지 않았습니다. 3 방랑자 2012/08/16 998
142582 죽집소개 부탁 드려요~~ 불효부 2012/08/16 604
142581 먹거리x파일 제작진입니다.(쌀국수에 대한 제보부탁드립니다) 38 먹거리 2012/08/16 7,608
142580 옥탑방을 히노끼로 꾸미고 싶은데... 4 탑층 2012/08/16 1,400
142579 ssg푸드마켓 가는 길 알려주세요. 5 ssg 2012/08/16 1,958
142578 식탐하는 아이들 4 중1, 초5.. 2012/08/16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