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학생아이 용돈 얼마씩들 주고 계신가요....

궁금맘 조회수 : 2,184
작성일 : 2012-07-18 14:41:58

아이가 중학교2학년이구요..남학생이에요.

작년엔 일주일에 만원씩 줬었는데요,올 해부터 일주일에 2만원씩을 주고있어요.

그런데 이녀석이 말이 용돈이지..거의 쓰질않고 그냥 다 모으는 눈치더라구요.

그러면서 은근슬쩍 엄마에게 필요한 학용품같은거(물론 작은거)를 사달라 할때도 있어요.

그럴때마다 네 용돈으로 이런걸 사는거다..뭐 이렇게 얘기는 바로바로 해주고있구요.

그런데 다른집 아이들은 보통 얼마씩을 받는지 궁금해요...

 

이녀석이 자기돈으로 뭘 사던지 괜찮다고 생각을 하는 모양인지,

거의 쓰지도 않고 모은 용돈으로 지난 봄엔 70만원짜리 카메라를 사더라구요.

물론 저에게 돈을 주고 인터넷으로 주문을 해달라고 부탁들 한거구요.

이건 아이가 뭐 사진부이기도해서 그냥저냥 별말을 하진 않았어요.

그런데 그 사이 또 돈을 열심히 모으더니 어제는 시계를 하나 사고 싶다고 그러더라구요..--;;

그런데 아이가 시계가 없으면 모를까 선물로 받은 카시오며 지샥..기타 시계들이 서너개가 되어요.

자기용돈이랍시고 경제개념없이 사고싶은걸 맘대로 사는거 전 정말 반대거든요.

이번에도 새로 사고싶단 시계가 18만원 짜리더라구요..ㅠㅠ

 

아이게게 너무 많은(?) 용돈을 주는건지..아~~생각좀 해보면서 앞으론 받은 용돈 어떻게 썼는지,쓸건지

용돈기입장이라도 하나 건네면서 잘 좀 사용하라고 가르쳐볼까봐요..

생각해보니 한달이면 8만원..

일년이면 96만원..이면 거의 100만원 돈..

쓸데없이 쓰게하느니 아예 적금을 들어주는게 훨씬 나을꺼 같단 생각도 들곤 하네요.

이러면 분명 아이가 펄펄 뛰겠지만서도요,,,++

IP : 125.177.xxx.7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7.18 3:06 PM (211.208.xxx.97)

    중3 남학생..한달에 2만원 줍니다.
    가끔 새콤달콤 ^^;; 사먹고, 시험 끝나는 날이나 방학식날 피씨방.
    5천원 이하 준비물 사더군요.
    친척들한테 받는 돈은 다 저금하구요.
    아이 본인 말로도 자기는 돈 안쓰는 편이라고 하는데, 그건 맞아요.
    간이 작아 만원이상은 엄청 큰돈이라고 생각해서 잘 못쓰고요,

    아무리 용돈 모아서 사는거지만
    70만원짜리 카메라, 18만원짜리 시계는 저라도 선뜻 사지는 못할 것 같은데,
    중학생 치고는 통이 크네요..
    요즘 부잣집 여학생들은 명품지갑, 가방, 화장품 쓴다고 하는 말 들으면
    가정형편에 따라 씀씀이 차이 나는건 당연하겠지만 글쎄요...
    풍족한 상황이 평생 계속된다면 별 문제 없겠지만,
    갖고싶은 욕구를 자제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한달 순수 용돈만 8만원이라면
    제 기준에서는 용돈이 많이 풍족합니다.

  • 2. 괜찮은거 같은데요
    '12.7.18 3:11 PM (115.136.xxx.27)

    아이가 자기 먹고 싶은거 안 먹고 모으는건데.. 괜찮지 않을까요?

    오히려 저렇게 돈 아껴서 좋은 물건 사는게 낫지요.
    한달에 8만원이 큰돈이라면 큰 돈이지만.. 솔직히 아이가 군것질만 하려고 들면 요즘 물가로 하루에
    1만원씩은 금방 사먹을껄요.

    햄버거만 해도 4천원쯤하고, 아이들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이 1천원 정도하는데요..
    떡볶이도 3천원쯤하고 말이죠.. 자기꺼랑 친구 하나 사주다 보면 군것질값으로 1주일에 2만원도 모자라요.

    아무렇게나 쓰지 않고 저렇게 모으는게 기특한데.. 저정도는 좀 놔두시면 어떨까요?
    용돈 다 쓰고.. 이거 사줘 저거 사줘 하는 것보다 낫잖아요..

    아니면 심부름을 좀 시키고 용돈을 주시는건 어떨지요?
    음식물 쓰레기나 각종 쓰레기를 버린다던가.. 욕실 청소 시키고 일주일에 2만원 주면 괜찮지 않을까요

  • 3. 파사현정
    '12.7.18 3:32 PM (203.251.xxx.119)

    일주일에 2만원 너무 많네요.
    보통 한달에 3~4만원.

  • 4. 중1
    '12.7.18 4:05 PM (59.16.xxx.25)

    월 3만원 주는데요.. 어른들께 용돈 받는건 허락받지 않은 금액이상은 모두 저금해요
    3만원이여도 쓰기 바빠요^^ 군것질 거리 하나만 사도 2-3천원인데

    전 모아서 큰 거 사는건 괜찮아보여요
    사소한걸 절제할 줄 아는 거잖아요

  • 5. 원글맘
    '12.7.18 5:43 PM (125.177.xxx.76)

    답변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근데 글을 읽고나니 용돈을 넘 넘치게 주는건지 아닌지 더 헷갈리네요~^^;;;
    작년 중1땐 일주일에 만원씩,즉 한달에 4만원씩 줬었거든요.그때도 요녀석이 절대로 쓰질않고 계속 모으기만 하더라구요.
    계속 모으기만하길래 내심 어쭈~!저금을 하려나보네!이런 뿌듯한마음까지 들었었지 갑자기 큰돈된걸로 물건(!!) 주문해달라할줄은 꿈에도 몰랐어요~==;;

    아~~~계속 저런식으로 나올까봐 그게 걱정인거에요.
    사고싶은것이긴하지만,그래도 학생신분에 과한것들도 눈에 보이고 갖고싶기도한게 있을텐데 그때도 자기용돈을 모아서 산거니까 문제가 안된다는식으로 생각을 할까봐서요...

    용돈을 확 줄여볼까요~~~
    음..아직 아이아빠나 아이하고는 의논한 상태가 아니라서 먼저 82님들 의견을 여쭤보네요..
    또 다른집들은 어떤지 계속 궁금해지구요.
    답변주신분들 다시한번 감사드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0366 과천과학관에서 제일 가까운 영화관이 어디인지... 8 영화 2012/08/10 1,375
140365 18평 에어컨에 관한 고민 3 비좋아 2012/08/10 2,081
140364 한복 1 서현엄마 2012/08/10 735
140363 주말마다 5살 아기랑 놀러 다니는데 아기는 힘들었을까요? 12 엄마 2012/08/10 3,658
140362 초등남자아이 책가방 어떤 브랜드 사주셨나요? 1 초등4학년 2012/08/10 733
140361 서울, 전·월세보증금 갈등 원스톱 해결 지원센터 문 열어 샬랄라 2012/08/10 1,133
140360 신기하게 몸에 안좋다는 음식은 입에 안땡겨서 멀리하게 되네요 5 나이드니까 2012/08/10 2,001
140359 스마트폰이 LG꺼 였네요 4 신사의 품격.. 2012/08/10 1,532
140358 [160회] 야권후보들은 정당혁신 입장 밝혀야-김태일의 정치야놀.. 사월의눈동자.. 2012/08/10 742
140357 빗소리가 너무 좋아요^^ 2 비님 2012/08/10 1,300
140356 설겆이하다가 발견한녹조의 흔적 7 녹조라떼 2012/08/10 4,002
140355 열무가 짜요~ 4 열무 ~ 2012/08/10 1,040
140354 지금 거실 온도가 26도..?? 5 ?? 2012/08/10 2,052
140353 ‘친박’들한테 돈 상납하는 새누리당 풍토 샬랄라 2012/08/10 872
140352 4살 아이 뭐라도 시키는게 좋을까요? 3 ... 2012/08/10 1,245
140351 MB “스페인·그리스 반면교사 삼아야”…보편적 복지 반대 16 ... 2012/08/10 1,834
140350 초등영어 고민입니다 1 초등영어 2012/08/10 1,362
140349 리듬체조 선수들요~ 12 궁금 2012/08/10 4,273
140348 데일리백으로 뭘 살까요? 2 40대중반 2012/08/10 2,891
140347 못믿을 대형 종합병원 음식점…무더기 위생 결함 1 샬랄라 2012/08/10 1,251
140346 집 전화벨이 울려서 받으면 삐ㅡ소리만 나요 6 짜증 2012/08/10 8,615
140345 고추가루요.. 4 임은정 2012/08/10 1,601
140344 갤럭시노트 아스팔트에 떨어뜨렸어요... ㅠ 5 ... 2012/08/10 2,522
140343 강원도여행 2 휴가 2012/08/10 1,338
140342 덜 절여진 김치 구제하는법 2 2012/08/10 1,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