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귀농에 대하여 문의좀 하려구요.

귀농 조회수 : 1,665
작성일 : 2012-06-27 16:36:59

저희 부부 60대 중반에 소도시에서 살고 있어요.

아이들도 결혼해서 분가하고 나니 더울 할 일이 없어서 시골에 가서 농사 지으면서 살고 싶은데

난방비가 너무 많이 나올거 같아서 망설이게 되네요.

 

저희는 연금  백오만원정도 나오거든요.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 를  월세를 주면 보증금 4천에60만원 정도 받을 수 있구요.

현재 있는 돈을 1억정도 더해서 한적한 시골에 텃밭 백평쯤 되는  집을(1억오천짜리) 살려구 해요. 

 

가끔  자게에 올라오는 글을 보면 부모님이 농촌에서 사시는 분들 계시던데...

요즈음 시골에서 농사 지으시는 분들 주로 난방을 무얼로 하시나요?

농사 지어서 기름보일러 사용 할려면 경제적으로 많이 힘들거 같아어요.

 

그리고 제가 구입하고 싶은 집이 있는데 그 집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여서 밤에 산짐승이 출몰 할까봐

 걱정도 되더라구요.심야보일러 이구요.

 

닭도 많이 길러서 계란 많이 낳으면 자녀들 과 나누어 먹을려구 하는데 산짐승이 모두 잡아 가겠죠?

이밖에 구입할 집 보러 다닐때 염두에 두어야 할것좀 여러가지 알려 주세요.

 

IP : 1.235.xxx.2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여기 한번 들어가보세요.
    '12.6.27 5:07 PM (110.13.xxx.188)

    http://www.refarm.org/
    전국귀농운동본부예요.
    귀농을 하고자 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있는 곳이니,
    귀농에 대한 많은 정보들을 알 수 있을 거예요.

  • 2. 귀농카페
    '12.6.27 5:07 PM (175.118.xxx.245)

    이곳에서는 원글님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이 부족할 듯해서 귀농카페 추천합니다.

    다음- 귀농사모
    네이버- 지성아빠의 나눔세상

    이 두 곳이 대표 귀농카페이니 가입하셔서 둘러보시면
    많은 정보가 있을거예요.

  • 3. 귀농...
    '12.6.27 5:26 PM (112.184.xxx.53)

    잘 생각해보시고 하셔야 해요.
    카페에서도 속이는 사람들 있으니 조심하세요.
    저도 위에 추천하신 귀농본부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http://www.refarm.org/

  • 4. 난방..
    '12.6.27 6:06 PM (218.234.xxx.25)

    일단 기름이든 심야전기든 태양열이든 있어야 하고.. 화목보일러요.. 펜션에 많이 있는 거..
    그거 일단 떼면 금방 따끈해져요. 끄면 바로 냉장고지만..

  • 5. 프린
    '12.6.27 6:37 PM (118.32.xxx.118)

    저도 한동안 너무 귀농하고 싶어서 제가 여기 저기 알아보고 다녔는데요.
    요즘은 자치단체에 귀농을 알선? 도와주는 담당자들이 있더라구요.
    집을 딱 정해놓고 보시는거면 일단 거기에 문의 해보시고 동네도 정해진거면 거기 전월세로 나온집들잇으니까 소개 받는것도 방법일듯해요.
    귀농카페 자주 다녔는데 요즘은 영업하시는분들도 많고 해서 초보는 좋은정보를 골라내기가 쉽지 않더라구요.
    영업인지 정보인지.
    저는 국산 들깨가 너무 비싸고 믿을수도 없고 해서 찾기도 힘들고 해서 내가 농사지음 이런걱정은 안해도 되지 않을까 했었는데요.
    사실 동물이랑 벌레때문에 극복이 될지 안될지 고민 하다가 마음 접었어요
    처음엔 희망에 차서 다 극복할수 있을것 만 같았는데 자꾸자꾸 생각하다보니 극복이 힘들겠더라구요.

  • 6.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12.6.27 11:39 PM (61.247.xxx.205)

    난방비, 기름 보일러 1년에 3드럼 쓰면 20평 정도 데우는데 충분합니다.
    200리터를 1드럼이라 하는데 보통 매년 27~28만원 정도 하는 걸로 압니다.
    넉넉 잡고 1년에 기름 보일러 떼는데 (난방비로) 100만원 잡으면 충분합니다.
    나무 보일러나 기름과 나무 겸용 보일러도 할 수도 있습니다.

    저도 시골에 농장 갖고 있고, 그곳에 시골 집 갖고 있는 분들 여럿 알고 있는데
    난방비 걱정하는 사람 한 명도 없습니다.
    그 정도로, 물론 도시 보다는 조금 더 들겠지만, 난방비 걱정해서 귀농이나 농장 소유하는데 지장 받는 사람 없습니다.
    그러니 난방비는 걱정 마세요.
    가장 중요한 것이 물입니다.
    요즘 같이 비가 오지 않는 때에도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는지 (가급적 주변에/가까이에 개울이나 하천이나 물을 얻을 수 있는지) 알아 보는 것이 정말 정말 중요합니다.
    물 없으면 생활할 수 없거나 너무 불편하니까요.
    짐승 역시 (사나운) 개 몇 마리로 퇴치/대적할 수 있습니다.

    난방은 조금 더 들기는 하지만 못 살 정도로 (예를 들어 2백만원 이상 든다든가 하는 것은 절대 없으니 걱정 붙들여 매시고) 많이 드는 것은 아니고, 짐승 같은 것도 다 퇴치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 마시고,
    제 생각에 중요한 것들은,
    (1) 물
    (2) 거리 (도시에 거처하면서 주말 농장 비슷하게 주로 주말에만 기거하실 생각이시면)
    (3) 자연 경관 / 소음
    (4) 마을/이웃 분들

  • 7. 오달
    '12.6.28 12:18 AM (1.251.xxx.221)

    ..저두 도움이됩니다.

  • 8. 햇살
    '12.6.28 9:01 PM (61.81.xxx.53)

    요즘 시골도 보통 심야전기 많이 씁니다.
    저도 그렇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1903 7월 18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2/07/18 876
131902 양송이 스프에 밥 말아먹는 사람??? 38 우웩~! 2012/07/18 6,976
131901 시누가 미국서 된장? 간장? 분말을 보냈는데요.. ?? 4 테이맘 2012/07/18 1,863
131900 가스오븐 버너4구 불크기 大1, 中2, 小1로 되어있는 브랜드나.. 3 이상타 2012/07/18 1,006
131899 눈물 흘리며 면도하는 손현주..어쩜 저래요..?? 1 ㅜ.ㅜ 2012/07/18 2,200
131898 1억5천 집 매매하면 복비 얼만가요?? 1 .. 2012/07/18 2,791
131897 닭먹고 오리발 MBC 고액연봉자들. 6 왜돌아오오 2012/07/18 2,003
131896 요새 웨이브 파마하고 브릿지하면 촌스러울까요? 3 ... 2012/07/18 2,197
131895 생닭 손질 질문있어요 2 닭... 2012/07/18 1,257
131894 버스커버스커 "꽃송이가" 노래 분석 14 그냥궁금 2012/07/18 5,761
131893 마우스 피스 사용&보관 어떻게?? 2 --- 2012/07/18 1,355
131892 파이렉스 계량컵 오프라인서 사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1 ,,,, 2012/07/18 2,405
131891 어머니 선물 고르는 중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5 dingda.. 2012/07/18 1,053
131890 Touch by touch 란 노래를 아시는지요?? 27 계피슈가 2012/07/18 5,338
131889 대문에 걸린 술 마시는 남자요.. 3 이혼 2012/07/18 1,824
131888 아무리 온라인이라도 자기 미모, 몸매자랑은 그만하세요. 70 작작 좀 합.. 2012/07/18 14,740
131887 동대문종합상가 의류원단 층이요... 3 ^^ 2012/07/18 2,001
131886 갑자기 장국영의 노래가 떠오르는밤.. 5 ,, 2012/07/18 1,751
131885 중고생 자녀를 두신 분들께 간단한 질문.. 3 간단한 질문.. 2012/07/18 1,798
131884 방관염 증세로 비뇨기과에 갔었는데요.... 13 방광염 2012/07/18 4,615
131883 이런 경우 어느 병원으로 가야해요? 5 잠이 안와요.. 2012/07/18 1,325
131882 시댁 휴가 계획 12 ᆞᆞ 2012/07/18 3,705
131881 '길에서 소변보는...'를 보고요 4 요리는 어려.. 2012/07/18 1,730
131880 이건 아니잖아 7 애엄마 2012/07/18 2,345
131879 자기 자신을 사랑한다는 게 어떤 것인가요? 26 늘 궁금했어.. 2012/07/18 6,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