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머님 초대하려고 하는데 이탤리언 요리 해드리면 싫어하실까요?

....... 조회수 : 3,439
작성일 : 2012-05-09 20:27:36

저는 결혼한지 이제 반년좀 넘은 새댁이에요.

주말에 시어머님을 초대해서 남편과 셋이서 식사를 하기로 했어요.

이번이 어머님이 두번째로 저희집에 놀러오시는 거라 잘해드리고 싶었는데

제가 맞벌이를 하고 있는데다

주말에 부업을 시작했는데, 이번 주에 어머님 모시기로했는데

하필 이번주 토요일에 부업일이 들어와서 금요일에 퇴근하고 들어와 밤새서 일해야할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요리를 좋아하긴 하는데^^;;;뻑적지근하게 해드리진 못할것 같아요.

(그렇다고 이제와서 이런이런 일이 생겼으니 다음번에 오시라고 말씀드리기도 곤란하고..

제가 부업을 하고있다는 것도 모르세요.)

 

그래서 생각한게

카프레제샐러드(모짜렐라와 토마토랑 바질넣은거요), 라자냐, 등심 두툼한거 구워서 야채 적당히 구워 같이 먹구요. 크로아상샌드위치나 아님 타파네드처럼 빵이랑 곁들여 먹을수 있는거 준비하고

과일이나 디저트 미리 간단한것 만들어뒀다 해드릴까 하는데요.

저희 어머님은 60대 초반이신데 싫어하실까요?

저희엄마는 이런 음식 좋아하시는데 어떠실러는지...촌스럽거나 하신분은 절대 아니시구요.

 

차라리 불고기에 잡채하고 국끓이고 나물 두어개만 무쳐서 대접할까요?

그러자니 제가 밑반찬을 잘 안먹어서 남편과 제 도시락쌀 때도 밑반찬류는 거의 안넣을정도로 밑반찬도 없거든요.

당장 일요일에 초대인데 이제와 밑반찬 준비할 생각하니 머리가 지끈하네요(어차피 손도 안가는것들인데 말이에요ㅠ)

그렇다고 저것만 딱 차려놓고 있자니

정말 저희 평소먹는 집밥에 반찬하나 추가하고 수저만 하나 더 놓은것처럼 성의없어 보일까봐 걱정이네요.

혹시 저희 어머님과 동년배인 분들 어떠세요??

이런 요리는 입에 안맞으시거나, 혹은 성의없어 보일수도 있을까요?

IP : 211.49.xxx.211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5.9 8:33 PM (114.202.xxx.130)

    저희 친정어머니 생각해보면 좋아하실 듯 합니다.

    어른들이 한식도 좋아하시지만 의외로 이탈리안 음식 좋아합니다.
    등심스테이크가 들어가기 때문에
    대접 잘 받았다고 생각하실 걸로 생각합니다 .

    저는 괜찮은 거 같은데요.

  • 2. ...
    '12.5.9 8:37 PM (183.98.xxx.10)

    80넘으신 제 할머니도 그렇고, 싫어하시는 노인분 못 봤어요. 삼시세끼 그것만 드시라는 것도 아니고 세상에 이런 음식도 있구나 하고 별식으로 잘 드시던걸요.

  • 3. **
    '12.5.9 8:37 PM (110.35.xxx.71) - 삭제된댓글

    이런 건 그야말로 사람나름이라.....
    어머님 성향은 저희보단 원글님이 더 잘 아시겠지요
    제 생각에 성의없는 상차림이라고 생각하진 않으실 것같지만
    입맛에 맞으실지는....글쎄 알 수가 없네요
    제 주위분들 생각하면 괜찮은 상차림같긴한데....ㅡㅡ;;;
    남편분이나 시누이가 있으면 한번 물어보는게 어떨까요?

  • 4. 원글이
    '12.5.9 8:41 PM (211.49.xxx.211)

    남편은 다 괜찮다고 하는데,,어머니가 좋아하실거라고...
    근데 남편이 워낙 무덤덤하고 무뚝뚝한 사람이라 어머니에 대해서 잘 아는건지 몰라서요.

    시누께 여쭤보기엔,,,제가 부업 시작한 것을 오픈해야하는 것도 마음에 걸리구요.
    그리고 이런 말씀은 좀 그렇지만...
    저희 시누가 요리솜씨가 별로 없으세요..어머님이 시누살림을 봐주시고 계셔서 시누는 요리를 할줄 모르거든요.
    그래서 저희 시누가 절대 나쁜분이거나 꼬인분은 아니지만
    이런얘기 물어보기에 좋은 상대는 아닌것 같아서요..괜히 제가 잘난척하는것으로 보일수도 있을까봐 조심스럽네요...
    저희 남편도 제가 요리잘해서 결혼했다고 할정도로 시댁식구들이 요리를 잘하시는 편들은 아니라서..괜히 말꺼내기가 더 조심스럽네요.

  • 5. ㅇㅇ
    '12.5.9 8:44 PM (112.187.xxx.134)

    남편분에게 물어보면 가장 잘 알거에요.
    남편한테 팁을 얻어 준비하면 시어머니가 나중에 싫다고 내색해도 남편이 원글님 정성 알아줄거구요.

  • 6. ㅇㅇ
    '12.5.9 8:45 PM (211.237.xxx.51)

    저희 친정어머니 생각하면 절대 안좋아하실 음식
    저같으면 너무너무 좋아할 것 같은데요..
    정말 사람마다 다른거에요..

  • 7.
    '12.5.9 8:50 PM (175.114.xxx.11)

    샐러드를 좀 더 맛있는 걸로 하세요.
    나이드신 분들은 카프레제 밍밍하다고 뭔 맛인지 모르겠다고도 하세요.
    좀 더 입맛 당기는 그런 샐러드로 해보세요.
    요리 잘한다시니까 따로 추천은 안하고요 ^^
    샌드위치는 안하셔도 될 거 같아요.
    샐러드-라자냐-등심&야채구이-디져트 하면 근사한데요.
    (저라면 라자냐보다 좀 가벼운 파스타를 할 거 같아요.)

  • 8. **
    '12.5.9 8:50 PM (110.35.xxx.71) - 삭제된댓글

    시누이에게 부업..그런 말은 안해도 될 것같고
    그냥 어머님이랑 집에서 밥 한번 먹으려고 하는데
    양식으로 차려도 어머님 좋아하실까요?...정도로 물어보면 될 것같아요
    혹시 어머님이 한식만 고집하신다면 시누이가 무슨 말이 있겠지요
    그 정도도 물어보기 힘드시면 그냥 묻지 말고 원글님 생각대로 차리세요
    원글님 생각에 촌스러운 분 아니시라니 한끼 식사정도야 즐겁게 드시지 않을까요?

  • 9. 저희엄마
    '12.5.9 8:51 PM (58.232.xxx.93)

    저희 엄마는 좋아하세요.

    46년생이시구요.
    카프레제도 완전 좋아하시고 피자도 좋아하십니다

  • 10. .....
    '12.5.9 8:57 PM (118.38.xxx.44)

    어머니 한분이고 한끼는 괜찮아요.
    새로운 음식 드셔보는거 기분나빠하거나 하지 않던데요.

    어른 여럿 모신 잔치상이라면 아니라 했겠지만
    어머니 한분께 이벤트 상으로는 오히려 더 좋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대로 해서 말만 이쁘게 하세요.
    아니면 전화로 미리 여쭤보시던가요.
    다른 이야기는 빼고 혹시 이런 음식은 어떠세요? 제가 한번 요리해 보고 싶은데요라고.
    아마 좋아하실거에요.

  • 11. 지젤
    '12.5.9 9:00 PM (119.149.xxx.146)

    저도 스파게티랑 스테이크 그리고 새우샐러드 했는데 완전 좋아라 하셨어요. 어른들 잘드시던데요.

  • 12. 글쎄요...
    '12.5.9 9:01 PM (118.137.xxx.204)

    저희 집은 엄마는 저런 음식도 좋아하시는데 시모는 안 드실 거 같아요.
    아직 결혼연차가 좀 되시고 밖에서 함께 외식할 기회도 있고 하면 시어머니 입맛이 대강 짐작 가실텐데
    아직은 잘 모르시겠죠?
    저라면 한식하겠어요. 근데 사실 잡채랑 나물이 손 많이 가잖아요. 전 10년차인데도 아직도 그런거 한 끼에 뚝딱 못 차려내요.
    이럴땐 약간 전문가의 손을 빌려도 괜찮아요. 동네 함 말해보세요. 82분들이 괜찮은 반찬가게들 알려주실거에요.

  • 13. ....
    '12.5.9 9:05 PM (211.49.xxx.211)

    좋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마음이 편해졌어요.
    제딴에는 신경써서 해드리는 건데 혹시 성의없어 보이거나 입맛에 안맞으실까 걱정했는데.
    혹시 입에 안맞으시면 담번엔 또 맛있는 한식 차려드리면 되는거니까
    리플대로 혹시 입에 안맞으시더라도 편하게 한끼정도는 특이하다며 맛있게 드셔 주시겠지,생각하며 하려구요.
    남편도 어머님 입에 맞을지 모르겠다며
    특이한 음식이라고 좋아하실거라는데^^
    (남편이 워낙 바쁜직종이고해서 가족들끼리 거의 외식이 없었어요. 그리고 그동안은 아버님과 함께 식사하느라 거의 중식, 한식이었구요. 근데 이번에 아버님이 안오세요^^)

    좋은 답변들 정말 감사합니다.
    어제부터 내내 고민했던 시름하나 놓았네요.
    우리엄마라면 안그런데, 이상하게도 시댁은 조금 더 신경쓰게 되네요.ㅎㅎㅎ

  • 14. 그야말로 별미네요
    '12.5.9 9:09 PM (124.49.xxx.117)

    신식 며느리 덕분에 하이칼라 음식 맛 보시는 건데 싫어하실 이유가 있겠어요? 라쟈냐 너무 느끼하지 않게 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시금치나 가지 좀 넣으셔도 좋구요. 카프레제 드레싱을 조금 신경 써서 밍밍하지 않게 하시면 좋을 것 같구요. 제가 대접받는 시어머니 입장이면 대환영임다. 저 오십 대 후반 .

  • 15. ㅇㅇㅇㅇ
    '12.5.9 9:12 PM (121.130.xxx.7)

    처음이라면 차라리 된장찌개에 불고기나 생선 굽더라도
    한식으로 대접하세요.
    아직 시모 취향도 파악 못한 새댁이신데 괜히 잘하려고 했다가 말 듣지마시구요.

    제가 새댁때 내딴엔 잘한다고 어버이날이며 생신이며 초대해서
    이것저것 잡지책 보고 만들어서 (당시는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라) 대접했더니
    집에 가서 전화해선 니네 친정부모님 오시면 그런 거 드리지 말라고 그게 뭐냐고
    와~~~ 진짜.
    무쌈말이나 구절판 이쁘게 하고 연어샐러드며 날치알 무순 얹은 연두부
    그 당시 최신요리라고 나온것들 열심히 만들어서 국이랑 밥이랑 밑반찬 적당히 곁들이고
    불고기도 했고요. 그런데도 그러시더군요. 참 나

    저 그이후론 그냥 잡채에 불고기 나물 두세가지에 전 몇가지.
    뻔한 한식만 합니다.
    네 첫번에 제대로 알려주셔서 그저 감사하죠 저희 시모.

  • 16. ㅇㅇㅇㅇ
    '12.5.9 9:15 PM (121.130.xxx.7)

    일단 첫 초대면 한식 무난하게 하시구요.
    밑반찬 같은 거 백화점 반찬가게 가서 좀 사세요.
    사실 한식이 더 쉽잖아요.
    불고기에 찌개나 국 있으면 기본은 하는 거니까요.
    원글님이 아직 새댁이고 일 때문에 바쁘니까 너무 잘하려고 하지 마시구요.
    평소 먹는 거에 좀 더 힘준 듯한 인상이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다음엔 별식 해드릴게요. 스파게티 좋아하세요?
    애교있게 여쭤보세요.

  • 17. 해리
    '12.5.9 9:18 PM (221.155.xxx.88)

    라자냐 대신 해산물 리조또 해도 괜찮을 것 같아요.
    어쨌든 '밥!!'이니까 ^^

    초대 잘 치르세요~

  • 18. 콩나물
    '12.5.9 9:55 PM (211.60.xxx.99)

    시어머님 진짜 좋으시겠어요~~

  • 19. 고민하는
    '12.5.9 10:14 PM (122.37.xxx.113)

    며느리의 기특한 마음은 너무 어여쁘나~~ 반응은 예상외일 수 있으니
    그냥 안전하게 한식으로 욕 안 먹을 수준 추천요~~~~ 불고기랑 찌개랑 전이랑 등등.
    나는 나름대로 성의껏 새로운 거 열심히 시도 했는데 상대방이 별로 안 좋아하면 얼마나 속상하는데요~~
    신메뉴는 나중에 더 친해지고 한식 많이 해드리고 난 다음에 하는 게 안전빵일듯.
    시어머니들은 친정엄마들처럼 '얘가 나 이거 해주려고 얼마나 애썼을까' 생각해주기보다는 '준비한다는 게 이거냐?' 식이 더 많으니까 -..-

  • 20. ..
    '12.5.9 10:27 PM (175.127.xxx.195)

    딴 이야기지만 저희 시아버지 70넘으신 완전 시골분이신데 월남쌈 해드렸더니 정말 맛있다고 잘 드시더군요.

    한끼정도면 좋아하실것 같아요.
    아 시어머님 좋으시겠다 ^^

  • 21. ***
    '12.5.9 10:52 PM (114.203.xxx.197) - 삭제된댓글

    저희 양가 부모님들이라면 아주 좋아하실 겁니다.
    근데 잘 모르시겠고, 시간도 없으시다면
    샤브샤브 추천이요.

  • 22. 별헤는밤
    '12.5.9 11:10 PM (119.70.xxx.135)

    어제 어버이날 저녁식사때 엄마에게 불고기 드시러 갈래요? 피자 파스타 드시러 갈래요? 하니까
    후자 선택하시더라구요. 전자는 늘 집에서 먹는거니까^^
    어른들 신식요리라고 좋아하실거에요
    그냥 고고 하셔도 될듯해요

  • 23. Route7
    '12.5.10 8:05 AM (124.56.xxx.50)

    어머님 취향에 따라 좀 다를 것 같아요. 완전 한식으로 차리는 것 보다는 아무래도 양식쪽이 원글님께 편할텐데요....
    어머님이 양식이 좀 익숙하지 않으신 분이라면....카프레제나 라자니아는 좀 우려가 되네요.

    샐러드도 완전 채소종류만 있는 것 보다는, 해산물이나 고기가 들어간 것들이 더 괜찮구요...

    메뉴 선정을 완전 정통 이태리식이라기 보다는 살짝 어른들 입맛에 맞게 한식화? 시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24. 우와
    '12.5.10 8:19 AM (122.34.xxx.23)

    저라면 양식 완전 싫어해서
    참 난감할 거 같아요. ㅠ

    갑자기 옛날 우화, 여우와 두루미 가 생각납니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아쉬워요.
    일단 한식으로 준비하시고
    어머니께 살짝 여쭤보시길! ;;

  • 25. 차차
    '12.5.10 9:05 AM (180.211.xxx.155)

    그냥 시어머니한테 바로 물어보면 안될까요 최소한의 취향은 알아야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1545 안티포그 마트 어떤제품 파는곳에 있나요 2 안티포그 2012/06/19 1,827
121544 모발기증 해 보신 분 계세요? 3 날개달기운동.. 2012/06/19 1,704
121543 두드러기 나면 그냥 두면 되는거 아닌거였나요? 4 두드러기 2012/06/19 3,660
121542 수건 돌리기 수건 돌리기.. 2012/06/19 2,482
121541 파마후에 머리감기 ? 1 .. 2012/06/19 7,244
121540 싫은사람... 맞붙어 싸울까요 무시할까요. 1 .. 2012/06/19 1,876
121539 아이 진로로 야구 시키는 거 돈 많이 들까요? 어떤가요? 2 진로상담 2012/06/19 2,289
121538 동작구 사시는 님들 대체로 살기어떤거같으세요??? 5 상도동 2012/06/19 2,813
121537 연금보험 꼭 가입 해야하나요? 3 새내기 2012/06/19 2,956
121536 이병헌이 무슨 자동차 광고해요? 7 티비 없어서.. 2012/06/19 1,866
121535 초1아들 너무 놀아요 7 걱정 2012/06/19 2,024
121534 코스트코 토요일 아침 9시 개점 시간에 가도 막힐까요? 5 준비 2012/06/19 4,631
121533 어디로 이사가면 좋을까요? 3 어디로 2012/06/19 1,953
121532 장바구니 카트 이마트에 파나요? (급해서요 감사합니다 ^^) 2 panini.. 2012/06/19 2,166
121531 쿠쿠 전기압력밥솥의 밥맛이 예술이네요 7 밥맛 2012/06/19 3,442
121530 [중앙] 전두환 흉상·군복·칼 … 대구공고에 자료실 2 세우실 2012/06/19 1,633
121529 이탈리아 소렌토..다녀오거나 잘 아시는 분.. 3 여행은 좋아.. 2012/06/19 1,529
121528 고구마 싹난거 삶아먹어도되나요? 3 고구마 2012/06/19 28,392
121527 여주 박람회 다녀오신분 .. 2012/06/19 1,377
121526 제주도 2박3일 일정 좀 봐주시겠어요? 5 제주도 2012/06/19 2,058
121525 신장기능검사 꼭 대형병원에 가야할까요? 9 건강체크 2012/06/19 15,325
121524 초4남자아이- 재미있게 볼수있는 책 추천해주세요. 8 만화책이제그.. 2012/06/19 1,606
121523 유럽발 경제위기가 사라지고 노무현때처럼 세계 경기가 좋은데도 3 ... 2012/06/19 1,968
121522 이병헌 목소리 말인데요.. 32 애엄마 2012/06/19 7,707
121521 10월에 인도네시아 발리 갈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9 발리 2012/06/19 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