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면종류 먹을때 소리가 안 내고 먹어야만 하나요

라면 조회수 : 5,825
작성일 : 2012-05-08 10:42:21
라면을 먹을 때 후루룩 거리는 소리때문에
큰애가 작은애한테 잔소리를 해서 면종류 먹을 때는 서로가 신경이 쓰여서
매번 다시는 라면 안 끓이겠다고  하거든요
정말 큰애는 라면먹을때 소리가 전혀 안 나는데
저나 지아빠는 소리가 나지만 큰애가 신경을 쓸정도가 아니라 하고
제가 볼때 작은애도 그다지 크게 후루룩 거리지 않는데
평소 작은애한테 잔소리가 많은 애라서 그런지  일부러 그러는가 싶기도 하고요
며칠전에도 그런 얘기 나오길래 제가 그랫어요
어찌 라면먹으면서 소리 안 나게 먹냐고
식사예절이 소리나지 않게 먹는다고는 하지만
면발을 스파게티처럼 포크로 돌돌 말아서 먹는것도 아니고
젓가락으로 집어서 먹는데 그게 가능한건지...
다들 면발 먹을때 소리 안내고 드세요?
뜨거운 면을 먹는데 소리없이 먹을려면 다 식혀서 먹으면 가능할것도 같고
사소한건데 라면 먹을때마다 둘이 저러고 싸우니 라면맛 다 떨어지네요...


IP : 222.233.xxx.161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면전문가
    '12.5.8 10:47 AM (202.30.xxx.237)

    OECD 가입한지도 10년이 넘었는데 소리내며 먹는건 자제해야죠. 선진국 대열에 든다는거, 이런 사소한 식사예절부터 시작되는거랍니다.

  • 2. zzz
    '12.5.8 10:49 AM (115.139.xxx.23)

    일본에서는 면을 먹을 때 소리를 내면서 먹어야 예의라고 생각한다는데..^^
    어린애가 소리를 전혀 안 내고 먹을 수는 없을 것 같네요.
    그냥 그 소리가 무의식적으로 거슬리는가 보네요.

    큰아이를 방에서 혼자 먹게하심이? ^^;;

  • 3. ..
    '12.5.8 10:54 AM (203.100.xxx.141)

    OECD.....ㅎㅎㅎ

    집에선 저도 소리내서 편하게 먹어요.

    밖에서는 저도 깜짝 놀랄 정도로 조신하게 먹어요.

    아직 애들 아닌가요?
    아이들이라면 아직은 면발 먹을 때 소리는 나죠.
    어른들도 소리 나는데....

    크면 나아지지 않을까요?

  • 4.
    '12.5.8 10:54 AM (211.114.xxx.77)

    큰애한테 작은애를 소리안나게 먹는 방법을 알려주라고 하심 되겠네요.

  • 5. ***
    '12.5.8 10:57 AM (119.67.xxx.4) - 삭제된댓글

    님 말씀처럼 스파게티처럼 먹는 것도 아니고 라면,국수는 적당히 소리가 나지 않나요?
    저는 제가 싫어서 습관이 되어서 소리 내지 않고 먹지만 심하지 않으면 적당히 후루룩 하는 소리는 괜찮아요.

    제가 사춘기 때 아빠,오빠가 그렇게 후루룩 거리는 소리가 너무 싫었던 기억이 나네요..

  • 6. 검은나비
    '12.5.8 11:03 AM (125.7.xxx.25)

    광고에서는 후루룩~ 먹어야 맛나 보이고 하물며 라면 이름조차도 후루룩~이건만...
    입에 든 음식을 쩝쩝거리며 먹는 것은 보기 싫지만 뜨거운 면을 먹는데 소리를 전혀 안낸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 않나요?

  • 7. 후루륵
    '12.5.8 11:07 AM (112.154.xxx.197) - 삭제된댓글

    소리내는건 일본 습성인듯 외국인들도 소리 안내돈데 우리나라도 소리 안내는게 예의인듯

  • 8. ###
    '12.5.8 11:11 AM (119.67.xxx.4) - 삭제된댓글

    그런데 외국에서도 면을 우리가 국수 먹는 방법으로 먹나요?
    방법이 다른데 외국처럼 소리를 안 내야 한 다는 건 좀 이해가 안 됩니다

  • 9. 슬픈 라면
    '12.5.8 11:14 AM (1.226.xxx.156)

    어릴적에 동생 언니 오빠 모여 라면 끓여 먹을때마다 소리내서 먹는다고 언니에게 쥐어박히며 라면 먹었던 기억 나네요 라면 먹을때마다 맛으로 먹는게 아니라 어떡하면 오늘은 소리안내고 먹지 그런 고민하면서 라면 먹은 기억이 가슴 아프게 느껴집니다
    엄마에게 야단 듣고 혼나는 기억은 몇번 없는데 언니라는 존재에게서 왜그리 혼나고 맞으면서 눈치보고 자랐을까요 ....ㅠ.ㅠ 라면도 밉고 언니도 미워요

  • 10. ....
    '12.5.8 11:16 AM (121.134.xxx.137)

    아무리 뜨거운 라면이라도 소리 안 나게 먹을 수 있어요...

  • 11. 은현이
    '12.5.8 11:21 AM (124.54.xxx.12)

    소리 안내게 먹을려고 숟가락에 올려서 먹었어요 ㅠㅠ
    그냥 면만 들어 올려서 먹으면 저는 어떻게 먹던지 소리는 나더군요.
    저는 소리 나는것 보다 혀 낼름 낼름 거리며 먹는 모습이 훨씬 거슬려요.

  • 12. ..
    '12.5.8 11:26 AM (121.129.xxx.33)

    소리 안 나게 어떻게 먹나요?
    소리가 당연히 나게 되는데...
    숟가락에 얹어 먹으면 안 나겠지만
    그건 좀 아니지 않나요?

  • 13. 라면
    '12.5.8 11:32 AM (175.212.xxx.133)

    먹으며 소리 좀 나면 어떤가요. 라면광고에서 나는 정도는 괜찮지 않나요? 그냥 후루룩 한끼 때우는 서민음식인데... oecd 운운은 농담이시겠지만 뭔 애를 방에 혼자 먹게 하라느니. 한끼 가볍게 때우려다 식구끼리 정 떨어지겠어요. 너무 귀에 거슬리는 거 아니면 적당히 좀 풀어주시지.

  • 14. ..
    '12.5.8 11:34 AM (112.121.xxx.214)

    서양에서 소리 안내고 국수 먹는건 뜨겁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어요.
    그래서 서양인들은 라면을 끓여줘도 좀 식혀서 먹을걸요. 뜨거울때 빨리 먹는거 못해요..
    뜨거운면을 소리 안내고 먹으려면 나름대로 방법을 찾아야지 그냥 무식하다느니 이런 말로 매도할건 아닌듯..

    저도 한젓갈씩 수저에 올려서 먹으면 별로 소리 안나요.
    큰애와 작은애의 먹는 방법을 잘 비교해보세요. 무슨 차이인지요.
    암튼 작은애가 소리를 많이 내면서 먹으면 밖에 나가서도 남들 눈에 보기 안좋죠..

  • 15. 어떤게 예절인지는 모르겠는데요
    '12.5.8 11:37 AM (121.145.xxx.84)

    전 음식은 소리안나고 조용히 최대한 깔끔하게 먹는게 예의라 생각해서..

    솔직히 엄마가 음식 아무거나 넣고 비벼먹는것도 전 비위가 상하고

    누구라도 소리 팍팍 내서 먹으면 입맛 떨어져요..지적은 안합니다..

  • 16. ...
    '12.5.8 11:55 AM (123.109.xxx.36)

    쩝쩝소리는 안내는게 맞지만
    면가락이 넘어갈때 후루룩 소리는 너그러운곳 많아요
    인상적인건 일본인데요 우동이 유일하게 허락된 소리라 일부러 크게 내면서 소리를 즐겼다고해요 씹지않구요

    나만이 아니라 같이먹는 모두 즐거우면 그게ㅜ식사예절인데..
    전 식탁에서 그렇게 싸우면
    말을 금지시키거나 ㅠㅠ
    자기한텐 엄격해도 다른사람에겐 강요하지않아야한다. 고 말립니다
    식사예절 지적질은 엄마고유권한이라고 했어요 ㅠㅠ

  • 17. ..
    '12.5.8 12:35 PM (220.73.xxx.15)

    맛있게먹는 소리면 괜찬은데..
    소리 자체가 입감 떨어지게 하는 경우가 있어요..

  • 18. 우리집도
    '12.5.8 12:43 PM (27.100.xxx.134) - 삭제된댓글

    비슷한 상황이래서..
    우리집은 큰애가 작은애에게 적대적이예요. 개월차가 별로 없다보니 질투, 분노 등이 뒤섞여 이렇게 표현되는것 같아요. 음식먹는 소리야 어느 정도는 나는게 당연한데 싫은사람인 경우 그게 더 거슬리는 거 아닐까요?

  • 19. 소리
    '12.5.8 12:55 PM (121.138.xxx.78)

    뜨거운 면발 소리 안내고 먹는 법 :
    면발을 조금만 들어 올립니다.
    입으로 가볍게 불어 줍니다.
    입으로 빨아 당기지 마시고 젓가락으로 한번 두번 잡아 당겨 넣습니다.

  • 20. 숟가락은..
    '12.5.8 2:11 PM (125.241.xxx.106)

    면을 숟가락에 올려 먹는 것은 우리나라 식예절에 어긋나는 행동입니다.
    가볍게 면을 먹는 것이 낫습니다.

    여자들 얌전한 척, 그게 예절인 것처럼 숟가락에 면 올려서 먹는 거 틀린 행동입니다.

    아예 습관들이지 않게 시도하지도 마십시오.

    한국 식예절 찾아보면 간단히 아실 수 있습니다.

  • 21. 식사 예절에 민감한..
    '12.5.8 4:13 PM (218.234.xxx.25)

    식사 예절에 민감한 40대 중반입니다. 초반 댓글에 깜짝 놀라 댓글 달려고 로그인했더니 윗분이 바르게 고쳐주셨네요. 우리나라는 면 요리에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당연히 후루룩 소리가 납니다.. 심하게 소리가 나거나 국물이 튀면 예의에 어긋나지만, 젓가락으로 들어 어쩔 수 없이 나는 후루룩 소리는 예의에 어긋나는 게 아닙니다..

    우리나라 예법에 숟가락, 젓가락 한번에 드는 거 아닙니다. 숟가락 놓고 젓가락 들고, 밥, 국은 반드시 숟가락으로, 상 받아서 가장 먼저 국물부터 뜨는 것도 예의에 어긋납니다. 물론 요즘 세상에 이걸 어떻게 다 지키고 살겠습니까. 하지만 서양 예법(포크로 둘둘 스파게티 마는 거나 숟가락에 올려놓는 걸)을 우리나라 면 요리에 적용시키고 그걸 예의라고 해선 안될 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5832 이문세의 이별이야기 가사 속 이별은 어떤걸까요? ^^;;; 14 ㅇㄹㄹㄹ 2012/06/01 2,619
115831 컴퓨터에서 영어 해석 1 Aaa 2012/06/01 493
115830 노안이요. hime 2012/06/01 566
115829 33000원짜리 명서를 2300원에 득템하세요(여럿이 배송비 줄.. 6 93% 대박.. 2012/06/01 2,084
115828 아기 엄마가 되면 다들 판단력이 상실되나요? 43 ㅋㅋ 2012/06/01 9,942
115827 대인관계의 기초가 부족한 저..어떻게 해야 할까요..? 3 어렵습니다... 2012/06/01 1,512
115826 노 前 대통령 수사 ‘마지막 퍼즐’ 맞추나 2 세우실 2012/06/01 904
115825 <이상호기자의 발뉴스 2회> 2 사월의눈동자.. 2012/06/01 723
115824 죄소한데 엄마께 사드릴 가방 2개중 봐주세요^^ 8 뿐각시 2012/06/01 1,513
115823 이털남이 진중권교수와 김성식전의원과 3인 토론형식으로 바뀌었어요.. 2 안철수는 왜.. 2012/06/01 953
115822 (급함)제 동생이 교통사고를 당했는데요, 목디스크 관련 문의 드.. 7 알려주세요 2012/06/01 4,329
115821 피아노 진도좀 봐주세요... 4 음대 지망 2012/06/01 1,031
115820 외모 가지고 막말하는 어린이집 교사? -_-;; 2012/06/01 1,505
115819 개미꿈은 어떤걸까요? 1 개미 2012/06/01 1,124
115818 연애,그 참을수없는가벼움...장진영씨.... 4 장진영 2012/06/01 2,905
115817 3호선 대청역주변 전세구하는데 도움좀 주세요 4 나나 2012/06/01 1,193
115816 엄마 고혈압 당뇨끼 있는데 연어 오메가3 괜찮나요? 아님 아버지.. 3 제나1 2012/06/01 1,930
115815 중학생 남자 아이 머리, 어디서 손질하세요? 4 고민 2012/06/01 1,327
115814 유치원 문제입니다..판단이 안서요..친정엄마가 딸한테 조언한다 .. 2 유치원 2012/06/01 970
115813 저만의 발걸레질... 헌수건 2장이면 끝이죠 6 나만의 비법.. 2012/06/01 4,479
115812 혼자 뭐하고 놀까요..? 2 .. 2012/06/01 968
115811 나이40넘어 유아교육자격증 취득하면.. 8 궁금 2012/06/01 1,924
115810 서울남자 목소리요. 7 부드러운 2012/06/01 3,098
115809 냉동 블루베리를 샀는데요.. 7 요리 2012/06/01 3,433
115808 아래 화장품글을 읽다가 시어버터 잘들사용하고 계신가요? 4 다들 2012/06/01 1,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