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부모님 초상 후 조의금 처리문제

힘들어 조회수 : 11,427
작성일 : 2012-03-24 00:30:09

시아버님이 돌아가셔 초상을 치뤘습니다.

한달전쯤 시어머님 초상 치뤘는데...  워낙 지병이 계셨던 분들이라 이른 나이 (두분다 60대세요. 어머님은 환갑도 못치르셨고..) 에 가셨고, 시아버님은 4남1녀중 장남이셔서 작은댁들이 많고 작은댁 대소사도 많이 남았습니다.

숙부님들과 숙모님들 모두 와주시고 밤새주시고 발인이랑 장지까지 다 와주셨어요.

조의금 정리하다 보니,

숙부님 댁 지인분들이 하신 조의금이 꽤 되더라구요

그러니까 숙부님의 친한 친구인데 한동네서 자라다보니 저희 시아버님을 알고 계셔서 (형 친구니까요)  소식듣고 오신거죠. 시아버님과 숙부님들이 가업 비슷하게 같이 사업도 하신 적이 있고 하니 이래저래 겹치는 분들이 좀 계신것 같아요.

따지자면 숙부님 보고 오신건데 그렇게 들어온 조의금들은 숙부님 댁으로 드려야 하는지를 놓고 고민 중 입니다.

저희는 어쨋든 큰일 치르라고 들어온 돈인데, 그 돈을 따져서 돌려드리는건 좀 그렇고 나중에 숙부님댁 대소사에 좀더 신경써서 하면 되지 않겠냐는 의견이고,

시동생네는 숙부님댁으로 드리는 게 좋겠다는 의견입니다.

이런 경우 보통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 장례 치르고 나면, 작은 댁에 따로 선물이나 돈을 드려야 하나요?

지방에서 올라오신 친척분들에게는 차비로 얼마씩 드렸는데, 숙부님 댁들은 모두 서울이라 따로 안드렸거든요.

부의접수 받아줬던 사촌동생에겐 수고비로 20-30만원씩 줬구요..

남의 집 경조사도 많이 참석해본 경험이 없는 나이에 큰일 치르려니 몰라서 못 챙기는 것도 많네요..

보통 어떻게들 하는지  조언 좀 주세요

IP : 59.15.xxx.1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24 12:39 AM (220.73.xxx.247)

    숙부님은 시아버님의 형제 되시는 분인것이지요?
    굳이 따지자면 꼭 드릴 필요는 없지만요...

    선물과 함께 어느정도의 현금을 가지고 도와주셔서 감사하다고 직접 댁으로 인사드리러 가면 좋아하실 것 같아요.
    액수는 얼마들어왔다 계산해서 다 드릴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섭섭해하지 않으실 정도 성의표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드린다 해도 다시 돌려주실 가능성도 많고요.

    장례식에 친척이라도 그렇게까지 도와주시는 일도 흔지 않습니다.
    꼭 감사표시 하시길 바래요.

  • 2. 음...
    '12.3.24 12:43 AM (58.123.xxx.132)

    다음에 작은댁 경조사를 따로 챙기시더라도 이번에 고마움은 따로 표시하셔야 할 거 같아요.

  • 3. ....
    '12.3.24 12:45 AM (1.231.xxx.229) - 삭제된댓글

    감사표시는 하는게 맞는데요 숙부님께 조의금계산해서 드리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 4. 조의금이
    '12.3.24 12:56 AM (112.158.xxx.196)

    숙부님 댁에서 많이 들어왔다면
    그 돈은 나중에 숙부님이 다시 갚아야 할 돈 맞습니다.
    일부 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안 받으신다고 하면 성의표시를 따로 하는 것이 어떨까요?

  • 5. ..
    '12.3.24 1:09 AM (115.41.xxx.10)

    숙부님 보고 오신거면 그거 숙부님이 갚아야 하는거에요. 그러니 비율대로 좀 드리거나 성의 표시를 좀 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 6. 저도 음...
    '12.3.24 1:18 AM (1.228.xxx.226)

    큰 금액이라면 거의 대부분 드리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즉, 시동생분 말씀이 맞는 것 같아요.
    원글님은 큰일 치르라고 들어온 돈이라고 생각하시고 싶겠지만...그게 큰일 치라고 들어온 돈이라기보단...
    현실은...숙부님에게는 그게 다 바로 갚아야 할 빚이라고 보심 됩니다.
    남자들 50대 중반 이후부턴 여기저기 경조사비로 들어가는 돈이 정말 적지 않아요.
    숙부님께서 안 받으신다고 말씀 하셔도 드리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숙부님 명의로 들어온 돈은 없다고 생각하시는 게 좋겠어요.
    나중에 숙부님 대소사는 그때 닥치면 새로 하시는 거죠. 미리 당겨서 셈하시지는 말았으면 해요.
    저의 시동생의 경우, 장인이 돌아가셨을 때 부조금이 정말 많이 들어온 걸로 알아요.
    사돈집 3남3녀 중에 시동생네가 가장 성공한 케이스였는데...처남이 모르쇠로 넘어간거죠.
    평소 욕심 없고 깨끗한 사람이던 50대 시동생으로서도 받은 만큼 바로바로 다 갚아야 할 적지 않은 금액이라서 그에 대해 좀 힘들었던 것 같더라구요. 처갓집에 뭐라고 말은 못했지만..

  • 7. ---
    '12.3.24 2:25 AM (178.83.xxx.157)

    숙부님 보고 오신거면 그거 숙부님이 갚아야 하는거에요. 그러니 비율대로 좀 드리거나 성의 표시를 좀 하는게 좋을거 같아요.222222222222

    그거 교통정리 잘 하셔야해요. 안 그럼 후유증 오래 갑니다. 두고 두고 말이 나오고, 원망도 길게 가거든요. 시동생분의 말씀이 맞다고 봅니다.

  • 8. 그거 다 빚입니다.
    '12.3.24 11:56 AM (218.209.xxx.101)

    숙부님 지인 분들 명단, 액수 다 적어서 드리셔야 하구요. 일정비율 드려야 맞아요.
    제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돌아가셨때, 이모, 이모부, 엄마, 아빠, 외삼촌, 외숙모 다 같이 모여서 조의금 명단 정리하고, 장례비용 치르고 남은 금액 중에서 조의금 비율 대로 나누어 다시 다 나누던데요. 그리고 고생한 성인 손자, 손녀들 따로 봉투 주시고(5-10만원 정도) 다같이 식사했어요.

  • 9. 빚 입니다.
    '12.3.24 12:33 PM (110.9.xxx.174) - 삭제된댓글

    시아버님 돌아가실때 아주버님쪽에서 오신 손님들, 애아빠 손님들, 형님손님들 해서 다 따로 계산하고

    명단 다 각자 확인하고 얼마씩 부담해서 장례비용치루고 나머지 비용 다 나눴습니다.

    모양은 큰일치루라는 봉투이지만 빚 맞습니다 . 윗님분들 말씀대로 먕단 액수 다 적어 드리고 돈 드려야 한다

    고 봅니다 .

  • 10. 빚 입니다.
    '12.3.24 12:34 PM (110.9.xxx.174) - 삭제된댓글

    먕단 >>> 명단

  • 11. 숙부님
    '12.3.24 4:53 PM (118.47.xxx.13)

    얼굴보고 들어온돈입니다
    숙부님 빚입니다
    남편은 상가집 갈때.그 명단보고..액수와 시기를 감안해서 부조 하더군요

    오래전이면 그 액수보다 물가 감안해서 더 합니다

    숙부님 나이도 꽤 되신것 같은데 그 나이시면 경조사비가 최소 매달 30에서 50만워나가요

    명단도 드려야 나중에 숙부님 사회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4780 손 관절이 이상한 느낌이 들어요 3 .. 13:38:40 105
1744779 국민연금 말인데요 음,, 13:38:02 65
1744778 환자 선물 추천 3 나비 13:32:48 86
1744777 명신이 윤곽 뭘 한지 저도 궁금해서요. 8 시술 13:29:26 365
1744776 강남서초에 수입식품점 있을까요?(올리브오일) 2 강남서초 13:29:22 108
1744775 받으면 빚진거 같아서 돌려주는데요 11 진짜 13:27:30 424
1744774 친구가 몽골로 귀국해요. 어떤거 챙겨줄까요? 마이프렌드 13:24:19 217
1744773 이런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ㅜㅜ 8 .. 13:21:42 495
1744772 결혼식에 부부 참석이면 축의금 두배? 12 질문 13:16:07 711
1744771 반찬통세트 추천해주세요 2 바람 13:14:48 252
1744770 금요일 저녁에 사온 스테이크가 13:14:41 185
1744769 아들아이 군대 입대 할때 뭐 준비해줘야 하나요 7 ... 13:14:05 207
1744768 상위 10프로 2차 지원금요 8 ... 13:12:03 1,010
1744767 면역력높이려면 2 ....ㄹ 13:09:59 413
1744766 핸드폰 업데이트 후 안되요.예전으로 돌아갈수없나요 3 삼성폰 업데.. 13:08:53 290
1744765 동남아 무비자에요? 3 ㅡㅡ 13:08:28 248
1744764 연예인중 음식 먹을때 앞니 로 오물오물 먹는사람 19 .. 13:04:21 1,637
1744763 쿠팡 프레쉬 90000 13:04:03 173
1744762 휘핑기 어떤 게 쓸 만하나요? 1 사고싶다 13:00:19 80
1744761 더워서 에어컨 켰어요 6 ㅇㅇ 13:00:13 537
1744760 윗집이 화장실에서 담배피우는걸 알게 됐어요. 7 담배 12:59:55 702
1744759 케이팝데몬헌터즈 대사모음집 찾고있어요 3 .... 12:54:19 255
1744758 노안으로 이북 리더기 추천~ 7 ... 12:53:32 303
1744757 김건희 특검 잘하고 있는거 맞나요? 6 ㄱㄱㄱ 12:49:35 651
1744756 조선족이냐고 대놓고 물어보는거요 27 .... 12:48:10 1,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