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너무 늦은 때란 없다- 엄마 이야기

7세애엄마 조회수 : 3,142
작성일 : 2012-03-23 06:29:35

안녕하세요, 오늘도 약속대로 어김없이 돌아온 7세애엄마입니다.*^^*

많은 분들이 읽어주시고 댓글도 달아주시고, 정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또 제 글이 불러올 수도 있는 부작용에 대해 진심어린 근심과 우려를 보여주신 분들 또한 감사드립니다.

정말 맞는 말씀입니다.

백인백색이라 하였던가요...모든 사람이 가진 기질과, 재능과 환경이 다른데 어찌 저 하나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이것이 맞는 길이다, 라고 감히 얘기하겠습니까.

세상에 독이 되는 칭찬, 해가 되는 격려도 얼마나 많습니까.

어제 이런 저런 글들을 읽다 보니 제가 많은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오늘은 그놈의 낯간지러운 찌라시 제목을 떼어버리고

다른 이야기를 좀 해볼까하고요.

이전의 두 글이 많은 분들이 읽어주시기를, 공감해주시기를, 누군가에게 도움을 드렸으면 하는 마음으로 쓴 글이라면,

이 글은...그냥 제 마음이 원해서 쓰는 글입니다.

제가 첫 번째 글에서 간단하게 밝혔듯이

전 참 우수한 형제들 사이에서 자란, 뭐든지 느리고 몸도 약한 아이였습니다.

근데, 이 몸이 약하다는 게, 단순히 감기에 잘 걸린다거나, 코피가 잘 나는 그런 것 이 아니었습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전 귀가 잘 안들렸습니다.

제 어린 시절의 기억 속에 늘 이비인후과 병원이 있었으니 언제부터 시작된 병인지도, 정확한 병명도 모릅니다.

제가 기억하는 의사선생님의 설명은, 고막 앞에 있는 어떤 부분이 자꾸 부어올라 그게 소리가 들어가는 길을 막게 되면

점점 귀가 안 들리게 되는 것이라는 거였죠. 그럼 병원에 가서 치료를 해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그럼 또 얼마동안은 잘 들리게 되고...이런 과정의 반복이었습니다.

어릴 때부터 가지고 있던 병이라고, 계속 반복되는 치료라고

절대 익숙하거나 두려움이 덜해지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초등학교 2,3학년 때쯤부터 선명하게 기억이 나는군요. 귀가 쿡쿡 쑤시고 욱신거리기 시작하면 그게 신호였습니다.

그럼 그때부터 모든 게 공포죠. 학교에서 친구들이 하는 말을 못 알아듣지 않을까, 선생님이 불렀는데 대답을 못하면 어쩌나,

아이들이 알게되면 놀리지나 않을까...

학교에서 신경을 바짝바짝 태우고 녹초가 되어 집에 돌아오면

그때부턴 모든 소리가 다 듣기도 싫었습니다. 방문을 꼭 닫고 방안에 앉아만 있었죠.

그럼 저희 엄마도 눈치를 채시는 거죠. 다시 병원에 가야되겠구나....하고요.

엄마가 병원을 예약하는 순간부터 엄마와의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아픈 치료를 또 하러 가자니요...

 잘 들리는 척 연기도 해보고, 일주일 정도는 더 들을 수 있다고 애원도 해보고,

엄마가 이렇게 낳아놓고는 왜 아픈 치료는 나더러 받으라고 하냐고, 다 엄마 때문이라고 울고불고...

무슨 투정은 안 부려봤겠습니까....

그래도 엄마는 한번도, 정말 한번도 제 앞에서 화를 내지도, 울지도 않으셨습니다.

하지만 제가 한 번씩 저 난리를 치고 나면, 엄마는 냉장고에서 얼음을 한 사발 꺼내와서는 식탁에 앉아

그걸 오도독 오도독 씹어드셨지요. 아직도 엄마의 그 모습이... 정말 잊혀지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엄마 손에 끌려 병원에 가면, 아...그 의자...

코와 귀에 호스를 꽂아놓고, 움직이면 위험하니까, 안전벨트 같은 걸로 몸을 꽉 묶어놓습니다.

그리고는 의사선생님이 손에 쥐고있는 펌프를 누를 때 저도 정확하게 침을 꿀꺽 삼켜야 하는 겁니다.

코와 귀에 약이 들어가는 고통의 순간이지요. 그런데 그 고통이 무섭다고 침을 안 삼키면, 귀안에 상처를 입어

정말 큰일날 수 있다고 늘 의사선생님은 강조하셨어요. 그 때 느꼈던 공포란...

 전 지금도 비행기 의자에 앉으면 숨쉬기가 힘들더군요.

 

그렇게 치료를 마치고 나면, 뭐, 어린 저야 그냥 좋기만 했습니다.

귀도 잘 들려졌겠다, 한 동안은 병원 안와도 되겠다...그럼 엄마는 저를 데리고 꼭 병원 매점으로 가시곤 했습니다.

평소에는 초코렛, 사탕 등에 아주 엄격한 엄마셨는데, 그 날만은 제 마음껏 고르게 해주셨지요.

너무 많이 고른다 싶어 살짝 엄마 눈치를 보면서 “엄마, 나 진짜 이거 다 먹어도 되?” 그러면

 “그럼, 의사선생님이 오늘 침 많이 삼키는게 좋다셨잖아, 그럴려면 이런 거 먹는거야...”라고만 대답하셨어요.

그때의 전 ‘뭐, 의사선생님이 먹으라니까, 엄마도 별수 없구나, 헤헤’ 이 정도의 생각만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가 나이를 먹어 아이를 낳고 키워보니...글쎄요..그 때 엄마의 마음이 과연 그게 다 였을까요...

 

다른 두 형제에게는 좀 엄격하다 못해 냉정하신 엄마였는데, 저에게는 정말 과하다싶은 애정을 보여주셨습니다.

절 무시하는 사람은 누구도, 제 형제들이건, 친척들이건, 심지어 저희 아빠조차도 용납하지 않으셨습니다.

초1인지 2인지, 같은 아파트의 한 남자아이가 하교길에 절 따라오면서 쟨 한글도 잘 못읽고 말도 바보같이 한다고

많이 놀렸었나봅니다. 전 집에 와서 울면서 엄마한테 일렀겠지요.

제 형제들이 어디 가서 얻어맞고 와도 “그건 너도 잘못한거야”라고 말해 형제들을 서운하게 했던 저희 엄마가,

정말 온 아파트를 발칵 뒤집으셨답니다. 그 집 엄마, 그 애...저한테 사과할 때까지요...

사실 너무 어릴 때 일이라 전 구체적으로 기억나지 않습니다만, 제가 중1이 되어 그 아파트 단지를 떠날 때까지도 그 사건이

 전설로 남아 끊임없이 옆집 아주머니들이 이야기해주시는 바람에 아직도 기억하고 있답니다.

그 당시만 해도 그 정도 사건에 엄마가 저렇게까지 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었던 가 봅니다.

이런 저였으니, 공부를 잘하냐 못하냐..이런 건 문제거리도 되지 않았지요.

6학년 때, 신체적 사춘기를 지나면서 제 귀는 많이 호전이 되었지요. 중학교, 고등학교 때는 감기에 걸리면 귀가 아프고 잘 안들리는 정도? 지금은 오른쪽 귀의 청력이 많이 약한 것만 빼면 뭐, 멀쩡합니다.

그래도 여전히 저는 엄마의 아픈 손가락인 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저희 고등학교 때 담임 선생님, 불어과외 선생님...

아이들이라면 한번씩 들어보는 흔한 격려, 흔한 칭찬일 수도 있는 것이 저렇게까지 제 마음을 움직인 것도

저의 이런 어린시절 덕분이겠지요. 또 그것이 동기가 되었다지만, 아직 열일곱, 열 여덟, 어리다면 어린 나이에,

매일매일 두통약을 달고살며 저 자신을 그렇게까지 독하게 밀어부칠 수 있게 한 에너지도 어린시절의

저 기억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 면에서 전 저 시절들을 아주 싫어하면 안 되겠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한 아이의 엄마로서,

저는 정말 제 아이가 저 같은 삶을 살게 되는 게 싫습니다.

덜 노력하는 삶을 살아도 좋으니, 어렸을 때부터 인정받고, 칭찬받고, 저처럼 저런 칭찬들에 목메어 하지 않으면서,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으로 공부하고 행복하게 이루어나갔으면 좋겠다는 마음뿐입니다.

하지만 이런 99%의 소망 뒤에, 내 아이도 어린 시절의 나처럼

느리고 뒤처지는 아이일수도 있다는 1%의 마음은 늘 남겨놓으려고 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그 때 저도 저희 엄마처럼, 저 두 분의 선생님처럼, 제 아이를 끝까지 믿고 보호해주는

그런 엄마로 남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지금은 마냥 귀엽고 착하기만 한 어린 아들이지만, 언젠가 저도 저 아이 때문에 울게 될 날이 오겠지요.

잘난 자식이건 못난 자식이건 자식이란 부모에게 그런 존재니까요...

그 때 저도 저희 엄마처럼 얼음을 오독오독 씹으면서 이 글을 다시 읽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어제 밤에 이글을 써놓고, 올릴까 말까 망설였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이건 그냥 제 마음이 원해서 쓴 글이니까요.

그리고 38년 동안 아무에게도, 정말 남편에게도 이야기하지 않은, 저와 엄마와의 아프고 소중한 기억이기도 하구요...

그럼에도 이 글을 올리는 것은 앞에 쓴 두 번의 제 글이 혹시 오만했던 건 아닐까 하는 죄송한 마음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글을 따뜻하게 읽어주시고 받아주신 모든 분들에 대한 제 마음입니다.

 앞에 두 번의 글을 읽어주신 , 그리고 오늘 이 글을 읽어주실 모든 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IP : 209.74.xxx.105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 기다렸어요
    '12.3.23 6:40 AM (188.22.xxx.39)

    좋은 부모 형제만나신 것도 복이예요
    건강하세요

  • 2.
    '12.3.23 7:11 AM (58.227.xxx.138)

    글 참 잘 쓰세요
    기교가 있고 그런 것은 아닌데
    몰입해서 읽게 되네요
    제 아이가 나중에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조금은 두려워요 반성도 하게 됩니다

  • 3. 달콤캔디
    '12.3.23 7:12 AM (203.226.xxx.43)

    저도 기다렸어요.이아침 바쁜데 폰 뒤져서 읽고......훌륭한어머니시네요
    .

  • 4. 엄마
    '12.3.23 7:38 AM (211.54.xxx.155)

    잘 읽었습니다 님의 글이 용기가 되었어요.
    아드님도 건강하고 밝은 아이로 잘 자라나길 바랍니다
    끝까지 믿고 보호해주는 엄마... 기억할게요 ^^

  • 5. ..
    '12.3.23 7:40 AM (115.41.xxx.10)

    이 글을 읽게 되는 행운을 얻었네요. 나이가 많지 않은데도 깊이가 있는건 아픈 시간들을 겪어내었기 때문인가봅니다.

  • 6. 타리
    '12.3.23 8:41 AM (175.120.xxx.7)

    나는 과연 어떤 엄마인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7. 바이올렛
    '12.3.23 8:54 AM (110.14.xxx.164)

    역시 훌륭한 사람뒤엔 현명한 부모님이 계시군요
    아 저도 나중에 아이에게 이런 엄마로 남고 싶어요 ㅎㅎ
    약한 청력은 잘 맞는 한의원 가시면 호전될수도 있어요
    그리고
    저도 아이낳고 한쪽이 아예 안들렸는데 서울대병원까지 가서도 양방으론 불가능하다고 했는데 운좋게 소개받은 한의원에서 약먹고 거의 정상이 되었거든요
    빠른 치료덕분일수도 있고요
    약한 청력은 나이들면서 몸이 약해지면 더 나빠지기 쉬워서 항상 체력 관리를 해야 하고요

  • 8. dd
    '12.3.23 9:25 AM (121.130.xxx.78)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9. ..
    '12.3.23 9:58 AM (211.108.xxx.27)

    잘 읽었습니다^^

  • 10. 와...
    '12.3.23 10:15 AM (111.118.xxx.240)

    혹시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글 쓰는 분 아니신가요?

    쓰신 글이라고는 세 편밖에 못 읽었지만...
    소위 말하는 '군더더기 없는 글'의 전형을 보여 주시는군요.
    와...

  • 11. 존경
    '12.3.23 10:33 AM (183.106.xxx.79)

    앞의 두글도 그리고 오늘 이글도 참 새롭고도 많은걸 느끼고 갑니다 앞으로도 좋은글 많이 올려주시길바랍니

  • 12. 비비비
    '12.3.23 11:26 AM (14.50.xxx.243)

    기다렸다 일부러 찾아 읽었어요.
    속내까지 다 보여주시고...감사한 글이네요^^

    엄마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는군요...
    늘 건강하시구요....7세 아이도 원글님의 어머니처럼 훌륭하게 키우세요^^

  • 13. ...
    '12.3.23 12:07 PM (175.115.xxx.226)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저또한 어제오늘 엄마란 자리에 더 생각하게 되네요...

  • 14. 잘살아보세
    '12.3.23 1:05 PM (114.206.xxx.122)

    글 잘봤습니다. 저도 7세애엄마예요. 그래서 닉네임이 더욱 친근하네요.
    82자게 눈팅족으로 살던 저에게 댓글을 달게할 정도로 님의 글 좋습니다. 앞으로도 글 올려주시면 잘 읽을께요~^^

  • 15. ^^
    '12.3.23 1:32 PM (125.181.xxx.154)

    잘읽었습니다. 부담스러우시겠지만..어머님도 그렇고 원글님도 ..존경스러워요..나도 좀 배우자..ㅠㅠ

  • 16. 7세아빠
    '12.3.23 2:06 PM (121.162.xxx.111)

    저도 7살딸이 있습니다. 많이 반성하게 하는 군요.
    고맙습니다.

  • 17. 7세아빠
    '12.3.23 2:08 PM (121.162.xxx.111)

    그리고 이리 훌륭한 어른, 엄마로 자라
    이렇게 좋은 글로 보여 주셔서 고맙습니다.

  • 18. ...
    '12.3.23 3:07 PM (121.163.xxx.20)

    가슴이 저려오네요. 정말 두고 두고 새기겠습니다.

  • 19. 울컥하네요
    '12.3.23 4:48 PM (175.223.xxx.230) - 삭제된댓글

    아픈 다섯살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인데,
    아이가 나중에 저를 이렇게 기억해 줄 수 있을까 생각하니....;;;
    정말 훌륭하신 어머니에요.

  • 20. ..
    '12.3.24 3:04 PM (121.130.xxx.43)

    너무 글을 잘 쓰세요. 여러가지 생각꺼리를 주시네요. 저도 아이키우는 애엄마인데 많이 배우고 가네요. 속내 풀어주셔서 괜시리 친구같고 그러네요. 감사합니다. 종종 좋은 글 올려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3714 밤에 공부할때 차게 마실 음료 추천부탁합니다.(중등) ... 11:55:43 40
1603713 피부양자 자격유지위해 일부러 적은평수 신청해야 할까요? .. 11:55:39 62
1603712 65세넘어 국민연금 받을때 문의요 11:55:30 95
1603711 한식먹는 식구들때문에 다이어트가 안돼요 4 ㅇㅇ 11:53:48 164
1603710 멕시칸음식 타코 냉장보관하나요? 타코 11:53:23 21
1603709 서울 깨끗한 레지던스 추천좀 부탁드려요 싱글 11:47:41 65
1603708 커피말고 뭐 없나요 6 졸릴때 11:45:18 235
1603707 INTP 이신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10 00 11:45:02 229
1603706 아들 부부가 초대하고 잠은 호텔에서 자라고 하는데 73 여름 11:37:44 1,742
1603705 마포쪽에 유기견 카페 2 강아지 11:37:00 140
1603704 아파트 주민과 엘베에서 인사하는거요 6 ..... 11:34:39 422
1603703 월세 천만원을 내고 어떻게 살까요 15 그사세 11:33:20 1,089
1603702 에나스쿨 아세요? 여긴 딸과 아버지예요ㅎㅎ 7 ........ 11:28:21 558
1603701 스벅이벤트 상품 뭐가 좋을까요? 2 스벅 11:27:29 140
1603700 유병자보험 가입한 분 있나요 1 11:27:02 154
1603699 삼성전자 80,100원에 매도 30분째 11:26:30 925
1603698 맘인 친구 어찌 이해해야 할까요 9 11:18:25 863
1603697 홈플러스 빵 후기 5 ... 11:16:48 891
1603696 인스턴트 가루커피 중 맛있는건? 4 갸루커피 11:15:03 422
1603695 중국음식 주문하고 25분내에 온다고 했거든요 4 ㅇㅇ 11:13:51 505
1603694 30년전에 엔비디아를 1억원 매수했다면 17 ..... 11:05:21 1,634
1603693 고사리볶음 얼려도 되나요? 6 ... 11:05:14 236
1603692 반반남이랑 살면 24 반반 11:02:46 1,067
1603691 볶음김치로 김치찌개 끓이니 9 .. 11:01:11 1,026
1603690 두유 레시피 좀 공유해주세요. 3 뽁찌 11:00:25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