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원전]핵발전 경제성은 이제 끝났다

참맛 조회수 : 1,394
작성일 : 2012-03-05 12:40:50
핵발전 경제성은 이제 끝났다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120226195509§io...


- 유시민 : 그에 대한 설명이 '산업발전도 해야 하고, 우리는 혹한/혹서가 있고 다른 에너지원이 없고, 화석 원료는 끝이 나는 게 예정돼 있다. 고로 신재생에너지 기술적 가능성이 열릴 때까지 원자력 발전이 가장 깨끗하고 비용도 저렴하다' 이것 아닌가.

김익중 : 거짓말이다. 많은 거짓말이 들어있다.

유시민 : 값이 싸다는 문제부터 본다면?

이헌석 : 일본에서도 원래 값이 싸다는 말을 강조했다. 그런데 후쿠시마 사고 이후 다시 계산했다. 피해 복구 비용을 빼고 계산했을 때 화력발전이랑 비슷하다고 나왔다. 이제까지 (비용 계산에서) 안 들어간 게 있다. 핵발전소는 '양수발전'[야간의 잉여전력으로 물을 끌어올려 수력발전을 해서 다시 소모 전력분을 채우는 것 : 편집자]이라는 게 세트다. 필요가 없더라도 양수발전을 해줘야 한다. 그런 비용을 다 넣었더니 화력발전과 동일하다. 거기에 후쿠시마 사고 비용이 들어가니 핵발전 경제성은 이제 끝났다.

노회찬 : 사고가 아니더라도 30~40년 후에는 폐기를 해야 하지 않나. 폐기 비용이 있어야 하는데. 그걸 넣고 계산한 건가.

이헌석 : 넣긴 넣었다.

김익중 : 하지만 아직 핵발전소 해체를 해본 적이 없어서 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노회찬 : 싼 이유를 실제 비용 구조까지 다 밝히고 있나.

김익중 : 그걸 밝히지 않는게 문제다. 단가가 싸다고 하면서, 어떻게 싼 건지 단가를 밝히라고 해도 안 밝힌다. (노회찬 : 국가 기밀인가?) 국가기밀이라고 한다. 안 밝힌다. 숨기는 게 많은 거다.

유시민 : 제가 엉터리긴 하지만 경제학도니까 이 대목에서 말씀드리면, 돈 계산이라는 건 근원적이다. 핵발전에 들어가는 비용은 당장 들어갈 게 있고 앞으로 들어갈 게 있다. 손으로 만지거나 눈으로 볼 수는 없으나 잠재적으로 존재해서 일정 비율로 환산해 포함시켜야 하는 위험 비용이 있다. 이걸 다 돈으로 환산해서 계산해야 한다.

원전 건설 자체는 똑 떨어진다. 원료비, 가동비가 어느 정도 확실하다. 또 폐기 비용이 있다. 중·저준위의 방사능 오염도가 낮은 장갑·옷 등의 폐기물이 있고,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한 고준위가 또 있다. 이걸 안전하게 보관·처리하는 비용이 또 들어간다. 이걸 다 쓰고 나서 핵발전소를 더 이상 쓸 수 없게 되면 핵발전소 전체가 거대한 하나의 폐기물이 된다. 반감기 300~400년을 안전하게 보관해야 다 끝난다고 하면, 그걸 다 현재 비용으로 환산해서 들어가야 한다. 만에 하나 사고가 난 경우, 사고 확률 곱하기 예상 피해규모를 잠재적 위험비용으로 잡아야 한다.

그런데 계산할 때 원전 건설비용, 땅 사고 짓고 하는 비용, 가동·원료조달·인건비 등 단기간 예측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처리 비용만 포함시키고, 사고가 날 경우 비용이라든가, 그 자체가 거대한 폐기물인 핵발전소를 처리하는데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계산하지 않으면 아무런 필요가 없다. 생산비가 화력발전 등보다 싸게 나타나는데, 모든 걸 제대로 포함시키면 핵발전 전기는 대안적 발전에 비해 값싼 게 아니다.

이헌석 : 이 포인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그 모든 계산식에 포함되어야 하는 폐기·사고 비용이다. 그 식을 공개하지 않고, 다 계산한 다음에 킬로와트(kW)당 얼마, 이것만 내놓는 거다. -
IP : 121.151.xxx.203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5107 이번 겨울 춥나요? .. 03:55:36 5
    1765106 초1 여아 생일선물 2-3만원대에서 추천해주세요 ... 03:23:33 30
    1765105 명언 - 진정한 승자 ♧♧♧ 02:55:41 216
    1765104 전한길의 꿈은 크다. 5 .. 02:33:25 443
    1765103 테슬라의 로봇이 보급되면... 7 변하는 세상.. 02:25:43 448
    1765102 결혼 15년만에 집 살거 같아요. 아파트 02:17:29 506
    1765101 윤건희 그동안 얼마 해쳐먹은 겨 3 윤건희 02:09:05 569
    1765100 아기가 열이 안떨어져 응급실에 왔어요 4 ... 02:02:49 466
    1765099 사촌오빠의 아들이 결혼하는데 축의금이요 12 01:54:47 669
    1765098 캄보디아 고수익 모집글 보고 통화해보니.. 16 ㅇㅇ 01:15:51 2,383
    1765097 김현지 여사님 vs 김건희 48 ... 01:05:23 1,237
    1765096 코스트코 다운이불 어때요? 1 이불 00:57:07 524
    1765095 비서진 보시는분 안계세요? 5 Z z 00:37:52 1,187
    1765094 통밀빵에 빠졌어요(+소스)ㅠㅠ 7 Cccccc.. 00:36:33 1,099
    1765093 코스피 3748 4 ㅎㅎㅎ 00:34:33 805
    1765092 열기구 위험하지 않나요? 11 M 00:34:00 1,035
    1765091 캄보디아 가다가 막힌 청년 경찰서에서 장난만 하네요 2 000 00:30:29 1,713
    1765090 읽씹이면 끝난건가요 1 아니 00:29:16 856
    1765089 유심칩 관련질문입니다(해외여행.) 5 아둘맘 00:21:04 285
    1765088 14개월 아기 금테크 부럽다 00:17:52 728
    1765087 이 사례만 보고 판단해 보세요. (부부 사이 대화) 11 .... 00:11:02 1,853
    1765086 올림픽공원역 근처 정육점좀 추천해주세요 4 ㅇㅇ 00:08:45 264
    1765085 김건희 종묘 방문 위해 이랬답니다.  18 .. 00:04:22 3,617
    1765084 파리 두번째 가려구요 11 여행가자 00:01:55 845
    1765083 계속 먹을 것 찾는 딸, 얄미워요. 8 . . . .. 2025/10/17 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