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번달 내역서보니 전기요금이 이해가 안가서요

아파트관리비 조회수 : 3,242
작성일 : 2012-02-23 16:08:40

1~2년에 한번 글 쓸까말까한 오래된 82눈팅족입니다.

이런경우는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 82님들께 좀 물어보려고요.

 

650세대쯤되는 아파트에 사는데요

오늘 1월분 아파트관리비 고지서를 보니 전달까지 항목에 없었던 공동전기료라는게 생겼더군요.

저희집은 전기를 아껴쓰는편이라 월평균 200kWh이하로 2만원에서 왔다갔다해요

 

내역을 확인해보니 1월엔 178kWh를 사용했고 요금은 1만오천원이 부과되었어요.

(참고로 12월엔 198kWh 에 2만원 정도)

그런데 고지서에 공동전기료 항목이 새로 생겼는데 16000원이 부과되었어요.

세대전기료에서 내린금액과 공동전기료 부과내역을 합해도

지난달보다 전기를 적게 썼음에도 11000원이 더 부과된거죠.

대체 이게 뭘까 싶어서 고지서 설명부분을 읽어보니 1월부터 주택용 저압 요금제에서 고압요금제로 변경하면서

세대전기료는 감소하고 승강기전기료(고지서에 따로 항목이 있음) 및 공동전기료는 증가하여 부과된다고 되어있어요.

 

그래서 관리사무실로 전화를 했습니다.

전화받으시는분이 설명을 해주시는데

작년까지는 주택용 저압요금제로 부과되어 세대별 전기요금은 누진세가 많이 적용되었고

상대적으로 공용부분은 요금이 적게 책정되어 아파트자체 예산에서 해결하였으나

작년말 한전에서 고압요금제로의 변경 요청이 있었고(꼭 바꿔야하는것은 아님)

고압요금제로 변경하면서 세대별전기요금은 적어지고 공동전기요금(주차장,관리실,초소등)은 증가하여

공동전기료를 올해부터 각세대별로 평형에 비례하여 부과하기로 했답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유리하지만 저희집처럼 조금 사용하는집은 더내게 될수도 있답니다.

그러면서 아파트입주자 대표회의에서 의결해서 시행하는것이므로 절차상 문제점도 없고 그냥 이해해 달라고...

 

월 2만원내는 집에서 3만원도 넘게 내려면 50%이상 인상되는건데..

전기사용량이 많아서 누진세 적용되어 많이내는거야 그만큼 사용한거니 이해하겠지만

이건 적게 쓸수록 불리하다니 뭐 이런경우가 있나싶고요..

공동주택이니 이 정도는 감수하고 살아야하는 건가요?

 

 

 

 

IP : 121.184.xxx.16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상하네요
    '12.2.23 4:12 PM (118.220.xxx.190)

    고압식으로 하면 확실히 전기요금이 내려가는데 공동전기요금이 그리 많이 나오다뇨?
    저희는 저층이라 승강기사용료는 안내지만 공동전기료가 8천원을 넘긴적이 없는데요, 보통 5,6천원선....

  • 2. 원글
    '12.2.23 4:14 PM (121.184.xxx.167)

    저희는 1층사는데도 승강기요금 내요. 승강기 유지비 3000원, 승강기 전기료 3590원이네요...

  • 3. ^^
    '12.2.23 4:26 PM (175.117.xxx.117)

    이번 달 관리비 통지서 나온 것을 보니
    전기요금 265kw 34,590원
    공동전기요금 16,015원
    승강기 3,110원이네요.

  • 4. 반대로
    '12.2.23 5:14 PM (59.15.xxx.202)

    저 사는 아파트는 입주 7개월 정도 됐는데 그동안 고압쓰다 저압으로 바꿨어요
    고압이 세대전기료는 싸지만 공용전기료가 사용량이 늘면 단가가 비싸서 겨울이라 공동전기료 사용이 많아 1월 사용분부터 저압으로 바꾼다고 하더라구요. 그동안 집에서 펑펑(?) 쓰던 분들 전기세 두배넘게 나왔다고 난리에요. 여긴 아직 입주자대표회의도 생기지 않아서 관리사무소에서 그렇게 계약했다하구요 1년에 한번 계약 변경 가능하다던데요. 근데 저압이든 고압이든 공동전기료는 나왔었는데...저희집은 지난달 보다 3킬로와트 많이 썼는데 세대전기료는 6천원 정도 더 나왔어요. 대신 승강기전기료는 사용량 비슷한데 반정도 나왔구요. 공동전기료가 20~25%인가가 넘어가면 고압보다는 저압이 유리하댑니다. 대신 저압에서는 400키로와트 이상 쓰면 요금폭탄맞는다고 하네요.

  • 5. 반대로
    '12.2.23 5:16 PM (59.15.xxx.202)

    아무튼...고압에서는 적게쓰는 세대에서 항의가 많이 들어온다고 하더라구요. 그동안은 공동전기료가 얼마 안되서 세대별로 부과를 안했었나보네요. 같은 평형의 다른 지역의 아파트에서는 공동전기료가 5만원이 나왔다고 또 난리더라구요. 저희는 만원 정도 나왔었거든요

  • 6. 저도
    '12.2.23 6:25 PM (112.148.xxx.143)

    요번달부터 원글님네 아파트처럼 공동전기료가 많이 부과 되었기에 관리사무소에 문의했더니 저압에서 고압으로 바뀌었다고... 세대 전기료는 347kwh 45,820원 나왔는데 공동전기료는 20,000원이고 승강기전기는 3,570원 나왔어요... 겨울이라 동파되지 않도록 열선이니 하는것들 사용이 많아서 많이 나왔다고 앞으로는 좀 적어 질거라고 하더라구요..

  • 7. ...
    '12.2.23 6:38 PM (115.137.xxx.213)

    정말 글 잘올려주셨어요 저도 거품 물고 관리소 쫒아갈뻔~공동전기료가 만6천원정도 헉 싶었거든요

    경비 아저씨 인건비 때문에 자른댔을때 반대했지만 경비아저씨 인건비가 안아까운거지 과하게 부과되는공동전기료는 뭔가 싶어 이거 줄여서 경비 아저씨 인건비주겠다 싶어 짜증 확 났었는데 아저씨 자주바뀌어서 것도 불안한데...

    이사갈땐 진짜 관리비 내역까지 훌터보고 다녀야하나봅니다

  • 8. ㅡㅡ
    '12.2.23 10:02 PM (211.234.xxx.205)

    공동으로 쓰는건데
    어쩔수없는 부분이죠
    공동주택이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333 다른 가정은 침대가 범접못하는 청정지역인가봐요? 15 아래 요 이.. 2012/03/14 3,488
84332 3월 14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3/14 1,167
84331 어제 유시민 의원 다른때랑 느낌이 달랐어요 20 솜사탕 2012/03/14 3,070
84330 오늘 남편분들한테 무슨 작은 선물이라도 받으셨나요?? 13 .. 2012/03/14 2,328
84329 오늘 그냥 우울하네요.. 2 ㅠㅠㅠ 2012/03/14 1,587
84328 라텍스를 요대신 깔고자도될까요? 8 아들둘 2012/03/14 3,791
84327 [나는 걷는다] 읽어보신분~ 소장 할 만 한가요? 2 베르나르올리.. 2012/03/14 1,518
84326 트위드 롱자켓 사고 싶은데요 8 39살 2012/03/14 3,109
84325 두통있는 아이, 어디로 가야 할까요? 1 1학년 엄마.. 2012/03/14 1,614
84324 이번주 금요일 MBC 파업콘서트 3 우왕 2012/03/14 1,473
84323 하이힐을 신고 달리는 여자 잼있네요.. 7 .. 2012/03/14 2,596
84322 3월 14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2/03/14 1,155
84321 82 자게만 들어오면 인터넷이 꺼지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1 ... 2012/03/14 1,333
84320 양배추볶음..맛있네요 10 양배추 2012/03/14 4,474
84319 프로폴리스 정말 효과 있을까요? 13 불쌍한 딸 2012/03/14 8,816
84318 한국 남자들은 왜 이럴까? 한국 여자들은 왜 이럴까? 1 포실포실 2012/03/14 1,671
84317 부동산에서 다운계약서가아니라 업?계약서를 원해요 4 집 팔고파요.. 2012/03/14 2,628
84316 좀 더 큰 차로 바꾸고 무서워서 운전을 아직 안했거든요 3 약간 아쉬움.. 2012/03/14 1,688
84315 노래제목 어떤가요 아시는분~~ 6 좋아 2012/03/14 1,402
84314 아내, 처, 와이프 안하고 이름으로 지칭하는 경우는 없나요? 4 2012/03/14 2,323
84313 나꼼수 호회... 김용민 출사표... 10 아몬드봉봉 2012/03/14 2,310
84312 사춘기딸.. 3 중2맘 2012/03/14 2,049
84311 초등학교 1교시 언제 쉬는 시간 인가요? 3 . 2012/03/14 3,324
84310 3월 14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세우실 2012/03/14 1,326
84309 교복 만들어 보신 분 5 현수기 2012/03/14 1,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