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5년후쯤엔 대학가기 엄청 쉬워질거 같아요

입시전쟁 조회수 : 3,595
작성일 : 2012-02-20 20:37:58

물론 거기엔 몇가지 전제가 있습니다.

 

1. 여자들이 애를 잘 안낳아야한다,

그래서 한해 태어나는 애들이 지금의 40만이 아니고 십만 정도만 되면

애들은 나중에 대입경쟁율이 폭락하게되어 줄만 서면 대학가는 시대가 온다.

 

어차피 앞으로 자식키워봤자 노후도 기대못하고

자식 결혼할때 전세집값이라도 보조 못해주면 더더욱 자식이 부모노후를 보장못해주죠.

키울때 부담되고 나중에 결혼할때까지 거액의 목돈이 들어 자기 노후에 암적 존재가 된다는걸

여자들이 차츰 깨달아가면 갈수록 애는 적게 낳고 자기노후에나 신경쓰겠죠.

 

2. 지금과 같은 빈부격차가 계속되면

 

아무리 저소득층에서 애를 많이 낳아도 어차피 걔들은 대학입시를 위한 교육도 제대로 못받고,

또 막대한 대학등록금 때문에도 대학을 포기하는 숫자가 늘어난다.

이는 출산아수 감소이상으로 대학가기가 수월해진다.

과거처럼 돈만 있으면 대학가는 시대가 온다,

 

3. 사람들이 2세 생산에 자신을 희생하는 인생을 살지않고

자신을 위한 인생에 눈뜨고,

수명이 길어지는데 자식이 노후보장을 안해주면 더더욱 2세 생산에 큰 의미를 못두게 되어

역시 대입 경쟁율은 줄어든다.

수명이 길어져 인구는 줄지 않으나, 대학경쟁은 현격히 낮아져 애들이 대학가기는 쉽다.

 

지금 돈있는 계층은 갈수록 자식들이 대학가기 쉬워질거같네요.

 

어차피 가난하면 자기 노후준비에나 신경쓰기도 벅차고, 낳아봤자 애 대학학비도 못댈거,

저소득층 경우는 아무리 출산율이 높아도 대입시에서 돈때문에 경쟁상대가 못된다는 현실.

뭐 돈없는 계층에선 서러운 얘긴데,

세상을 뒤집지 않는한 어쩔수 없으니,

가난의 대물림, 직업도 그렇고, 자식 낳아봤자 가난이나 물려줄 부모라면 자식을 안낳는게 본인이나 자식에게나 현명하겠죠.

물론 대학만이 인생의 전부는 아닌데

이눔의 사회는 학벌로 월급차이를 내니 말이죠.

 

어쨌든 돈 좀 있는 사람들은 자기네 계층에서 애를 하나이하로 낳는다면 미래 대학입시는 걱정안해도 될듯.

 

 

 

 

IP : 121.165.xxx.4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참새짹
    '12.2.20 8:46 PM (122.36.xxx.160)

    몇년 전에 손주은씨가 일본의 예를 들면서 사교육 열풍이 한 10년 밖에 지속되지 않고 사그러들것이라고 말했죠.

  • 2. ...
    '12.2.20 8:47 PM (59.15.xxx.61)

    인구가 줄면 경쟁력 없는 대학은 다 문닫고
    정말 일류 대학만 남을 것이고
    그 때도 돈이 있어도 공부 못하면 대학 못갈거에요.

  • 3. 사학재단이 어떤 사람들인데
    '12.2.20 8:49 PM (121.165.xxx.42)

    그리 쉽게 대학문을 닫을까요.

    돈벌이로 그만한 사업이 없는데 어지간해선 문안닫을걸요.

  • 4. 점세개님 말대로라면
    '12.2.20 8:51 PM (121.165.xxx.42)

    사학재단측은 미래 자신들의 소득을 위해서 기를쓰고 애를 많이 낳게할 켐페인을 벌이겠군요.
    부모들이야 죽어나든 말든 말이죠.

  • 5. ...
    '12.2.20 8:52 PM (59.15.xxx.61)

    올해도 몇 개 대학 문닫잖아요.
    그리고 정말 일류대학만 남겠죠.
    인구없어서 지원자도 없는데 어떻게 살아남아요?

  • 6. 점세개님, 어떤 대학이 문을 닫았나요
    '12.2.20 8:53 PM (121.165.xxx.42)

    제가 아는 대학은 문닫았다는 소릴 못들어서요.

  • 7. 글쎄요?
    '12.2.20 9:03 PM (211.246.xxx.32)

    지금도 대학가긴 쉬워요. 전국 하위100% 여도 대학갈수있으니까요. 문젠 명문대 가기 어렵단거죠. 대학은 서열있으니 연고대여도 서울대못가 안타까워하기도 하니까요. (뻘 예지만, 성시경도 서울대 간다며 삼수하다 그냥 고대갔다죠?)

  • 8. ㅇㅇ
    '12.2.20 9:13 PM (222.112.xxx.184)

    대학수와 지원자수가 문제가 아니라 대학 줄서기가 문제라고 봐요.
    명문대를 가기위한 치열하게 경쟁하지 지금도 그냥 대학가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지 않아요.
    지금도 돈만 있으면 대학은 갈수 있어요. 명문대 혹은 인서울이 아니라 문제지요

  • 9. ....
    '12.2.20 9:20 PM (115.126.xxx.140)

    15년쯤 후면 지금 4세 아이들 말하는 건가요?
    4세 아이들도 사교육 엄청 하던데요?

  • 10. 15년쯤후라 해도 전제가 있잖아요
    '12.2.20 9:26 PM (121.165.xxx.42)

    지금 4세 아이들 태어날 시기쯤 금융위기가 터졌죠.

    그래서 빈부격차가 심해지기 시작했고요,

    전체 출산아수는 변함없다해도 저소득층에서 애 많이 낳아봐야 걔들이 경쟁상대가 되기엔
    현실이 너무 힘들죠.

  • 11. 15년쯤후라 해도 전제가 있잖아요
    '12.2.20 9:28 PM (121.165.xxx.42)

    여튼 돈 좀 있는 계층내에서도 애를 하나 이하로 낳는다는 전제를 잘 보세요.

    중간층은 갈수록 출산이 줄어들거같구요.

    저소득층은 아무리 낳아도 등록금문제와 교육혜택을 못받아 대학갈 애들이 아주 소수가 될테니까요.

  • 12. 글쎄요
    '12.2.20 9:31 PM (112.151.xxx.89)

    지방에 한 대학은 빈자리를 중국애들로 채웠더라구요.
    외국국적학생을 많이 유치하면 평가가 좋아져서 국가지원금을 더 많이 받을수 있나봐요.
    중국애들한테는 장학금을 남발해서 데려온대요.
    아마 15년 뒤에는 동남아시아 애들하고 경쟁해야할 거에요.
    그것도 불공정한 경쟁요.
    우리 애들처럼 입시전쟁 치르지 않을테니까요.

  • 13. 위에 112.151.글쎄요님,
    '12.2.20 9:38 PM (121.165.xxx.42)

    그 지방의 중국애들로 채운다는 대학은요, 저도 어떤 다큐프로에서 본적 있는데
    그 학교가 정부 세금 타먹기 위해 눈가림으로 하는 수작이죠.

    실제 그 중국애들은 산업연수생 비슷하게 한국오는 거구요.
    대학도 이름만 올려놓은채 실제로는 공장에서 일하는 산업연수생들이라는데요.

    정부세금 타내는걸 눈먼돈 먹기, 공똔 먹기라고,
    이름만 대학간판 걸어놓고 그런 식으로 눈먼돈 가로채는 인간들이 꼭 있죠.

    물론 교육청도 감독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아니면 다른 거래가 있는건지 ㅋㅋ

    어쨌든 님이 중국애들 장학금 준다고 아까와안해도 됩니다.
    갸들은 본국 인구가 워낙 많아 한국까지 와서 3디 업종에 종사하는 서글픈 인생들이니까요.

  • 14. .........
    '12.2.20 9:38 PM (119.71.xxx.179)

    그때되면 부모들이 노후대비하느라 애들 공부에 목매지 않을걸요?

  • 15. ...
    '12.2.20 9:39 PM (115.126.xxx.140)

    원글님 말씀은 당장 우리아이들 세대부터
    돈 있는 집 애들만 대학 갈정도라는 말씀이신거 같은데요.
    그정도는 아니죠. 지금도 어린이집 터질정도로
    애들 많아요. 점수 되는데 대학 못갈 정도로
    서민경제가 나쁜 것 같지는 않은데요.
    60년대 경제사정도 아니고.. 너무 비약이 심하신듯요.

  • 16. ok
    '12.2.20 10:58 PM (221.148.xxx.227)

    그래도 탑 대학은 피터집니다
    중위권 대학들은 고만고만 하겠죠.

  • 17. 에휴
    '12.2.21 12:39 AM (175.197.xxx.187)

    대학가기가 수월해지면 뭐하나요...
    그땐 대학이 경쟁의 의미가 없어지는겁니다.
    탑대학 아니면 유학파들만 대기업 들어가고 대접받는 세상이 오는거죠.
    이미 삼*같은데는 글로벌 인재 우대하잖아요....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요.
    정말 돈좀 있는 집안아니라면....일반 서민들은 돈쳐들여서 자식 유학 보내려면
    지금보다 더 뒷바라지 하면서 등꼴빠지는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7068 월남쌈에 새우, 크래미, 고기 같은거 말고 12 .. 2013/04/02 2,226
237067 어떤 옷차림을 해야하는지..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4 나름 스타일.. 2013/04/02 1,692
237066 요리 영화 추천해주세요 17 줄리@ 줄리.. 2013/04/02 1,883
237065 어제부터 컴퓨터 본체에서 이상한 소리가 크게 나요 5 소음 2013/04/02 5,159
237064 미국 20세기 최고 소설은 앵무새 죽이기? 12 앵무 2013/04/02 2,799
237063 영어과외 선생님 구하고 있는데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하는지요. 3 연수맘 2013/04/02 1,336
237062 여행용 신발로 운동활 신으면 짜리몽땅해 보이지 않나요? 3 .... 2013/04/02 1,791
237061 한그릇 음식들 어른들이 보기에는 부실해 보이는 식사일까요? 떡국.. 13 ... 2013/04/02 2,903
237060 인터넷 쇼핑몰.. 1 dlsxj 2013/04/02 672
237059 다음에 82에 올라왔던 글이 올라와 있어요. 1 오래 전 2013/04/02 1,545
237058 트라우마 지우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4 죽마고우 2013/04/02 1,206
237057 걸스카우트 단복 구합니다 3 정 인 2013/04/02 1,041
237056 송중기씨 목소리가 참 좋네요. 9 gg 2013/04/02 1,896
237055 중2 수준 be going to~와 영작 해주실수 있으신분..... 1 ... 2013/04/02 651
237054 참으로 불륜에 관대한 나라여요... 18 2013/04/02 2,983
237053 생리 끝나자 마자 다시 생리 하시는분 계신가요? 4 생리 2013/04/02 2,885
237052 설경구 못 잡아먹어서 난리인 분들 25 ... 2013/04/02 2,474
237051 친박, 대선 기여 인정 못받고 인선 역차별에 불만 1 세우실 2013/04/02 478
237050 전기장판이 전기세 많이 나오나요?? 26 .. 2013/04/02 5,495
237049 비슷한 원피스인데 어떤 소재가 더 좋은건가요? 5 추천부탁드려.. 2013/04/02 1,129
237048 재능교육 학습지 시켜보신 분(생각하는 리틀피자 등) 계세요?? 3 학습지 2013/04/02 5,020
237047 해외여행용 신발은 사스(SAS)가 최고였어요. 광고아님 12 .... 2013/04/02 9,419
237046 학교에서 핸드폰이 분실되면 누가 보상해야하나요? 2 궁금 2013/04/02 1,262
237045 아침에 못 일어나는 고등학생을 위한 영양제 뭐가 좋을까요? 13 늦잠ㅠ 2013/04/02 6,934
237044 오미자 엑기스 질문이요 3 원안 2013/04/02 1,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