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엄마논술공부3]경제편 '세금,직접세와 간접세입니다.

오직 조회수 : 1,106
작성일 : 2012-01-17 15:41:28

오늘은 세번째 시간입니다.

세금에 관한 것이에요.

오늘은 세금에 관한 기사도 읽어보시라고 발췌했습니다.

관련 동영상도 올려 놓을 것이구요. 초등눈높이에 어른들 참고하실만한 기사와 아이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지식 e 채널 동영상도 링크걸테니 아이들과 함께 보시면서 세금에 관해 같이 공부하셔요~

 

 

세금은 국가가 나라 살림을 위해 국민들에게 강제로 거두어 들이는 돈입니다.

보통 직접세와 간접세로 나뉘어지지요. 직접세는 소득이나 재산에 부과되는 세금이구요. 소득에 따라 부과되기때문에

많이 벌면 많이 적게 벌면 적게 내도록 돼 있습니다.

간접세는 우리가 물건을 살 때 내는 세금이에요. 일반 소비자가 물건을 살 때 가격에 세금이 포함되어 결국은

소비자가 내게 되는 세금입니다.

우리나라의 조세부담률(국민소득에서 세금으로 내는 돈의 비율)은 2009년 22.8% 정도네요.

여기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다른 부담금을 더하면 30%에 가까우니 세금이 많다고 불평하ㅗ 있는데요.

세계에서 제일 세금을 많이 내는 나라는 스웨덴이군요. 조세 부담률이 무려 50.1%입니다.

그 다음이 덴마크 벨기에 프랑스 노르웨이 핀란드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영국 헝가리 체고 에스파냐...등

이구요. 미국이 23위고 한국이 25위네요.

 

다음은 간접세에 대한 동영상입니다.

http://home.ebs.co.kr/jisike/subject_group/subject_index.jsp?gubun=content&y=...

'납세자'편을 아이랑 같이 보셔요.

 

아래 기사는 부모님이 참고하시구요.

 

서울 잠실에 사는 평범한 3년차 직장인 A(29)씨는 매달 받는 월급에서 3만1900원이 세금으로 떼이는 명세서를 보며 아깝다는 생각을 한다. 그래도 그 정도면 전체 월급(230만원)과 비교해 ‘납득할 만할 수준이다’라고 생각한 A씨. 하지만 실제로 그가 낸 세금은 이것이 전부일까?

◆세금은 모든 곳에…직접세의 4배에 달하는 간접세


세금은 모든 곳에 있다. 조금만 돌아다녀도, A씨에게는 세금이 붙는다. 대부분의 서비스·재화 구매가(價)에는 세금이 포함돼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바로 간접세다.

A씨의 일상을 돌아보자. 그는 집에서 강남에 있는 회사까지 지하철을 이용해 출근하는데 900원을 낸다. 아침 대신 750원짜리 커피우유를 사 들고 하루 일을 시작한다. 점심때가 되면 회사 앞 식당에서 6000원짜리 된장찌개를 사먹고 3000원짜리 아메리카노를 마시며 휴식을 즐긴다.

그렇게 하루 일이 끝나면 월 8만원짜리 헬스클럽에서 건강관리를 하고, 저녁에는 여자친구와 1만6000원짜리 스파게티를 먹는다. 집으로 버스를 타고 오는데 900원을 내고, 들어오는 길에 5000원어치 사과를 사 먹는다. A씨는 하루에 2500원짜리 담배도 1갑 정도 피운다.

A씨는 이날 총 얼마의 간접세를 냈을까? 그가 사 먹은 커피우유, 된장찌개, 아메리카노, 스파게티에는 모두 10%의 부가가치세가 붙는다. 이렇게 총 2340원의 부가가치세가 나갔다. 헬스클럽 가격에도 부가가치세가 붙는다.

하루 이용료가 2700원이라고 가정하면, 245원의 부가세를 내는 셈이다. 담배에 매겨진 간접세는 다른 제품보다 상당히 많다. 2500원짜리 기준으로 부가가치세와 담배소비세, 교육세, 폐기물 부담금, 국민건강진흥기금(준조세)을 합쳐 총 1540원이 붙는다. 지하철과 버스 등 공공 교통수단과 과일 등 농산품을 살 때는 간접세가 붙지 않는다. 이렇게 A씨는 평일 하루 4125원의 간접세를 낸다.

주말에는 평일보다 소비가 많다 보니 간접세 지출도 많다. 여자친구를 만나러 차를 가지고 나온 A씨는 휘발유 값으로 2320원을 썼는데 이 중 약 50%가량인 974원이 간접세(부가가치세, 교통에너지세, 교육세, 지방주행세)다.

식사를 하고 커피를 마시며, 미용실에 들려도 10%의 부가가치세를 낸다. 영화를 보면 부가가치세 10%와 영화발전기금 3%를 내고, 소주 2병을 마시고는 주세와 교육세, 부가가치세를 합쳐 1327원을 낸다. 다만 책에는 부가가치세가 붙지 않는다. 이렇게 A씨는 주말 2일 중 하루 동안 아무 일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총 9066원의 간접세를 내는 셈이다.

직장인 A씨는 이렇게 한 달(30일)에 총 간접세로 약 12만7014원을 낸다. 한 달에 내는 세금의 80%를 간접세로 내는 것이다.

◆간접세 비중이 높아졌다


실제로 우리나라 총 국세에서 간접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2010년 총 국세에서 간접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2.1%로, OECD 평균인 20%대의 2배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간접세의 비율이 10% 내외이다.

간접세는 직접세보다 징세가 상당히 용이하다. 사람들은 자신이 세금을 내는지도 모르기 때문에 조세저항도 적다. 조세 당국에서는 당연히 간접세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간접세의 비중이 높은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라고 한다. 소득에 상관없이 모든 국민이 똑같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연봉 10억원인 CEO이든 연봉 2000만원인 회사원이든 커피를 사마시면 똑같이 부가가치세 10%를 내게 된다. 소득은 다른데 같은 세금을 내다보니 간접세가 많이 걷힐수록 당연히 빈부격차는 커진다. 실제로 보통 직장인인 A씨의 경우 세금의 80%를 간접세로 냈지만, 실제 우리나라 총 국세 중 간접세 비율이 52.1%인 것을 감안하면 부자들의 간접세 납부비율은 상당히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몇년간 국세에서 차지하는 간접세의 비율은 꾸준히 높아졌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전체 국세 중 간접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48.3%, 2009년 51.1%, 2010년 52.1%로 높아졌다. 간접세 수입은 2007년 71조2964억에서 2010년 85조8874억원으로 3년 만에 20.5%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직접세는 79조5295억원에서 0.9% 감소한 78조8352억원이 걷혔다.

◆간접세, 왜 이리 높을까?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최원석 교수는 “우리나라는 개발시기 때 세무 행정상 간접세 징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간접세 징수를 많이 했다”면서 “부가세를 중심으로 세수를 많이 늘려놓은 편이다”라고 했다. 그는 “간접세의 비중이 점점 더 커지는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전 국민의 절반가량이 (직접)세를 내지 않는다는 통계도 있는데, 여러 공제제도의 방만한 운영과 조세저항 등이 이런 추세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하지만 다른 의견도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4월 OECD는 ‘OECD 구조개혁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OECD는 이 보고서에서 “한국은 간접세 비중을 확대하고 직접세 세원도 넓혀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국은 소득세·법인세의 과세기반이 좁고, 자영업자의 소득파악률이 낮으며 개별소비세가 복잡한데다 고령화 사회 대비가 부족하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위 기사는 A씨에 사례에 국한된 경우이며, 사람에 따라 간접·직접세 비율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IP : 116.123.xxx.11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7 3:50 PM (59.7.xxx.86)

    유익하고 무엇보다 지루하지 않고 재밌네요.. 수고 많으십니다..

  • 2. MandY
    '12.4.3 2:34 PM (125.128.xxx.18)

    헉~ 이제 생각나서 찾아왔네요. 제가 논술지도자과정 하고 있는데 넘 감사합니다 ^^

  • 3. werㅇ
    '12.8.31 5:24 PM (82.43.xxx.87) - 삭제된댓글

    세금
    ㅇㅇ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109 장지갑좀 골라주세요 제발~~ 14 지름신 2012/02/08 1,603
67108 전세 씨가 말랐네요 6 머리야 2012/02/08 2,601
67107 영어 싸이트 3 영어 2012/02/08 665
67106 안경테 품질 좋고 예쁜거 사려면 어디가서 어떤거.. 1 ... 2012/02/08 934
67105 나꼼수 비키니관련 여론 추적, SNS 분석 전문기업 트리움의 분.. 1 지나 2012/02/08 950
67104 해외사이트에서 물건 구매는 어떻게? 2 궁금 2012/02/08 584
67103 서울 레지던스 호텔 어디가 괜찮나요? 11 ㄹㄹ 2012/02/08 3,321
67102 영어 표현 여쭙니다 5 도와주세요 2012/02/08 778
67101 무채색,블랙옷 만 입으면 이상한가요? 5 Blac 2012/02/08 2,059
67100 육아가 행복했다는 분들.. 20 문제 2012/02/08 2,939
67099 독일산 프라이팬 어디꺼가 좋은가요? 2 0000 2012/02/08 1,164
67098 매실엑기스 곰팡이 폈는데 버려야할지??? 매실 2012/02/08 4,941
67097 반아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있어요 22 초3 2012/02/08 3,014
67096 아이들 문화센타 다니는비용 3달에 얼마죠?? 3 문화센타 2012/02/08 611
67095 소유권이전등기신청 법무사하는 삼촌께 맡기면? 2 고민 2012/02/08 843
67094 올케가 밉네요. 18 시누이 2012/02/08 6,124
67093 식품공학과에 대한 모든 것을 알고 싶어요. 3 이제 고3엄.. 2012/02/08 1,636
67092 겨울철 날마다 나오는 수건 관리법(절약법) 2 나나 2012/02/08 2,383
67091 케라스타즈란 헤어제품 써보신분... 2 자다가떡 2012/02/08 2,630
67090 뿌리염색이라 하면 보통 몇센치 정도인가요? 그리고 원장님은 더 .. 1 미용실초보 2012/02/08 2,563
67089 잠이 안오는데요... 한명숙 쉴드해볼렵니다. 18 시민만세 2012/02/08 1,608
67088 돈을 어떻게 모아야 할까요..돈 모으고 싶어요. 11 // 2012/02/08 3,185
67087 밑의 성공얘기가 나와서... 성공한 사람보면 눈물이 나요.ㅠ.ㅠ.. 4 ........ 2012/02/08 1,540
67086 저의 알리오 올리오 만드는 법. 17 Asset 2012/02/08 7,699
67085 시어머니...이제 다 포기하니 편합니다. 6 며느리 2012/02/08 2,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