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산후조리원이나을까요 아님 집에서전문조리사 쓸까요

음음 조회수 : 2,974
작성일 : 2012-01-07 16:38:01

임신 7개월이구

4월에 출산 예정이에요

 

친정이 지방이고 시댁이 서울인데

출산 후에 산후조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경험도 없고 해서 여쭤봐요

 

제가 다니는 호산 산부인과가 나름 산후조리원도 유명한곳이라

고려해서 선택한 곳인데

2주에 450만원 가까이 하더라구요

 

제 친구 중에는 산후조리원 가지 않고

그 돈으로 산후조리사를 집에서 몇달간 쓴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산후조리원을 가야되면 지금쯤 예약을 해야하는데

결정을 못내리겠어요

IP : 211.181.xxx.3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플럼스카페
    '12.1.7 4:52 PM (122.32.xxx.11)

    참고하시라고...저 셋 출산..

    450으로 몇 달 쓸 금액은 안 되구요. 입주하심 두어달. 출퇴근하심 세 달 정도?
    제가 셋이라 조리원도 입주도우미도 출퇴근 도우미도 다 해 본지라.

    첫애라면 조리원 추천합니다. 친정도 머시고요. 사실 임신은 아무것도 아니고요,
    아이 딱 낳아보면 참 심란합니다. 조카가 있어 아기 보신 경험이 있으심 모를까 정말 막막해요.
    그래서 조리원서 몸도 추스리고 찬찬히 배우고 옆에서 초산 아닌 다른 엄마들한테 정보도 좀 얻고 하는게
    조리원의 매력이지요.
    산후도우미를 집에서 첨부터 하심 물론, 교육받은 분이 오시긴 하는데요, 첫애다 보니 본인도 잘 몰라서 아주머니 하시는게 맞나 틀리나 자꾸 의심하게 될 수도 있고 안 맞는 분 오시면 정말 당장 그만두라고도 못 하고 곤욕스럽지요.

    가격이 안 맞으시다면 조금 더 저렴한 곳에 2주, 집에서 출퇴근이나 .입주도우미 아주머니 2주 하심 어느 정도 산모 몸도 추려지고 하지요.

  • 2. zz
    '12.1.7 5:08 PM (76.172.xxx.248)

    도우미 구할 경우 인터뷰 열명이상 보시고 심사 숙고하세요. 저희 언닌 조리사 아줌마가 애 울면 문 닫고 낮잠에 커피 타임 즐기시고 친정엄마가 끓여 나른 미역국을 그 아줌마가 다 드셨네요. 결국 대판 하고 내보냈는데 조리도 제대로 못하고 맘고생 돈 버려. 이만저만 후회가 아니랍니다

  • 3. 저기
    '12.1.7 5:21 PM (58.227.xxx.121)

    제가 산후조리원 2주+입주산후도우미 1달 썼었는데요. 애기 백일 채 안됐으니 최근에 썼고요.
    산후조리원이 비교할수 없이 나았어요.
    저는 특히 젖이 잘 안돌아서 산후조리원 있을때 모유수유 정말 열심히 했었는데(근데 대부분의 초산 산모는 처음엔 젖이 잘 안돌아요)
    입주 도우미 분이 아무래도 산후조리원 만큼 도움이 안되더라고요.
    제 경우는 젖량이 모자라니 밤중수유 후에 분유 보충하고 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로우니
    애기 데리고 자는 도우미 입장에선 아무래도 잠을 제대로 못자게 되니까 그닥 협조적이 아니더라고요. 저도 눈치가 보이고요.
    저는 조리원에 3-4주 쯤 있고 그 후에 차라리 출퇴근 도우미나 가사 도우미를 쓸껄 그랬다고 후회 많이 했어요.
    게다가 처음 왔던 도우미는 너무너무너무 이상한 사람이라 사흘만에 바꿨고요.
    두번째 온 도우미는 꽤 잘하는 분이었는데도 그랬어요.
    아기가 둘째거나 모유가 콸콸 잘 나왔다거나 아니면 모유수유 포기하고 분유만 먹였으면 사실 두번째 도우미는 꽤 괜찮은 분이었어요.
    근데 산후조리원 끝날 무렵에 젖이 제대로 돌기 시작했는데 집에와서 모유수유를 적극적으로 못하고 분유를 많이 먹이다보니 애기 뱃구레만 커져서
    지금은 애기 먹일 정도로 모유가 도는데도 애기가 보채는 형편이예요.
    저도 집이 강남이라 산후조리원 알아보다보니 대부분 4-500 이상이라 고민 많이 했었는데요.
    육아까페에서 검색해보면 강남에도 더 저렴한 산후조리원이 몇군데 있어요.
    저도 200만원 대 조리원에서 있다 왔고요.
    비싼 조리원처럼 럭셔리한 인테리어는 아니지만 깔끔하고 애기 돌봐주는 간호사 분들 친절하고 밥 잘나오고.. 그럭저럭 괜찮았어요.
    특히 초산이시고 주변에 가끔씩이라도 들여다봐주실 분 없다면 산후조리원 1주라도 있다 오세요.
    제가 처음 만났던 이상한 도우미... 만일 제가 애기 돌보는거 전혀 모르는 사람이었으면
    그 도우미가 그렇게 이상한줄도 몰랐을거예요. 애기 목욕시키는거나 분유 타는거 애기 얼르는거.. 등등 정말 완전 엉망이었는데
    제가 조리원에서 있으면서 애기 돌보는거 배웠으니 이상한걸 알아봤지 아니면 찜찜하면서도 잘 모르니까 그냥 참고 썼을지도 몰라요.
    그리고 아무래도 집에 있으면 도우미가 있더라도 애기 보는일 많이 하게 될수 밖에 없는데 애기 낳고 바로는 너무 힘들거예요.
    또.. 애기 낳고 나면 몸도 부대끼고 호르몬 작용으로 우울증 오기 딱 좋은데요.
    산후조리원에서 같은 처지의 산모들하고 같이 있는게 도움이 많이 되기도 하구요.
    저는 산후조리원에서 같은 동네 사는 산모 한분 만나서 계속 연락하고 지내요.

  • 4. 조리원
    '12.1.7 9:16 PM (211.212.xxx.44)

    아기 낳기전에 청소하시는 분으로 미리 불러서 도움을 받으세요.
    사람쓰는것도 참 어렵더라구요. 2~3명 바뀌다 보면 마음에 맞는 분 나타나거든요.
    그러면 조리원에 2주 정도 계시다가 나와서 그 분한테 청소, 빨래 도움받으셔도 괜춘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095 기계주름 울 머플러 원상복귀 될까요?? 8 2012/01/13 2,715
61094 음식할때 가스렌지 화구 동시에 몇개 정도 쓰세요? 9 청소하다가 2012/01/13 2,256
61093 월남쌈 겨자 넣고 만드는 소스 방법? 좋아요 2012/01/13 1,800
61092 집안 가득한 화근내(밥냄비를 1시간반동안 태운 냄새)는 어떡하면.. 5 고릴라 2012/01/13 3,894
61091 제가 바보가 아니죠? 1 좋아요 2012/01/13 1,334
61090 후라이팬 추천좀 해주세요. 무슨 팬이 그렇게 덕지덕지 때가 쩔어.. 12 쿡쿡쿡 2012/01/13 3,328
61089 이럴땐 어찌해야할지...사소한 질문이요.. 3 꼬마뚱 2012/01/13 1,782
61088 명절선물로 활전복,갈치 중 어떤 선물받으심 더 좋으실것 같으세요.. 11 몸약한분 2012/01/13 1,952
61087 아이폰 쓰는 분들 어플 뭐쓰세요? 3 ..... 2012/01/13 1,788
61086 포트메리온 엑센트볼~~ 3 북소리 2012/01/13 2,282
61085 MBC가 깨어난다! - MBC부장급 기자들도 "보도 책.. 1 참맛 2012/01/13 2,018
61084 통합민주당 영남친노 플랜... 1 깨어있는시민.. 2012/01/13 1,169
61083 온양온천 추천좀 해주세요 어디가 좋은가요?? 4 뜨거어 2012/01/13 4,211
61082 출산하고 귀가 엄청 밝아졌어요 3 애엄마 2012/01/13 1,696
61081 시슬리 안티에이징 래디언스세럼(안색개선),드라메르,라프레리캐비어.. 6 -_- 2012/01/13 5,070
61080 국민이 낸 수신료로 정권 감동주는 KBS.. 아마미마인 2012/01/13 918
61079 갤럭시s2 쓰시는 분들에게 도와주세요!! 5 애플 그린 2012/01/13 1,505
61078 홈쇼핑에서 내오팟 광파오븐 괜찮을까요? 4 Gg 2012/01/13 1,663
61077 체한건지 몸살감기인지... 5 ... 2012/01/13 2,412
61076 몸에 안 좋은 음식은 맛있는걸까요? 3 2012/01/13 1,433
61075 혼자서 생일을 보낼꺼 같아요..뭘 해야 될까요 11 ㅠ ㅠ 2012/01/13 4,484
61074 82의 댓글 한번씩 상처받네요.. 17 ,, 2012/01/13 2,154
61073 이재오계가 2007년 대선경선때 박근혜 캠프 경선자금을 폭로하겠.. 3 참맛 2012/01/13 1,357
61072 초등학교 입학예정인데요 혹시 2학년으로 ..... 21 고민중 2012/01/13 2,691
61071 한명숙은 여성부출신인게 정말 3 ㅋㅋ 2012/01/13 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