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케케묵은 제사보다는 동양고전교육을 부활하는 게 바람직

푸른 조회수 : 839
작성일 : 2012-01-07 13:23:04

 조선이 망한 지 백년~

 달나라에 가고 우주탐사선이 뜨는 시대에,

 여성맞벌이가 보편화된 시대에,

 여성 고시 합격율이 40-50% 육박하는 시대에,

 구시대 망한 나라 조선의 케케묵은 기제사를 죽어라

 붙들고 있는 이유가 뭘까요? 희한한 나라라는 생각이 들어요.

 

 기제사는 고유의 전통도 아니고,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없었죠. 고려시대엔 절에서 지냈습니다.

 

 기제사는 현대사회에선

 돌아가신 후 3-5년 정도 지내고

 명절차례에 합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봅니다.

 1년에 명절 차례로 충분합니다, 이 바쁜 현대사회에.... 

 

 정 그렇게 내려오던 조선의 것이 좋으면,

 정작 필요한 조선의 정신문화와 인문학에는 또 영 무관심이란 말이죠.

 필요없는 케케묵은 형식에 집착하면서

 메마른 현대에 정말 필요한 조선의 정신문화는 찬밥입니다.

 

 인성황폐화된 시대에, 왕따니 학교폭력이니 하는 시대에,

 (입시경쟁 때문이란 말 정말 우스워요. 치열한 입시경쟁은 60년대부터 있었는걸요)

 

 정말 필요한 것은 동양고전 "대학""소학""중용""도덕경" 등 동양의 수준높은 인문학입니다.

 물론 음악, 미술 같은 예술이나 스포츠도 포함해서요.

 어린 시절이나 청소년 때 동양고전을 지속적으로 접하면

 평생의 지침이 되며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나를 지켜 주는 정신의 중심이 됩니다.

 뇌가 유연할 때는 더 효과적이고, 어른이 된 후에도 깊은 인생의 의미로 다가오게 됩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든지, 집에서 가르치든지 해야 할 텐데,

 기성세대(50대-70대) 는 제사는 죽어라고 고집하면서 이런 데는 관심없죠?  

 진짜 조상을 섬기는 것은, 제사보다는

 이런 정신문화를 가꾸는 것일 텐데요.

 

 지금의 20,30대들과는 비교가 안 되는

 백년, 이백년 전의 정신세계가 넓고 사상이 깊었던 20,30대 사람들을 보면

 이유가 뭘까 늘 궁금합니다. 아마 동양고전 교육도 한 원인이 아닌가 싶어요.

IP : 112.165.xxx.16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처럼 하고 싶지만
    '12.1.7 1:42 PM (119.203.xxx.138)

    시부모님이 계시니
    부모님 돌아가신 후에나.....

  • 2. 동양고전
    '12.1.7 1:53 PM (121.138.xxx.172)

    부활은 찬성입니다
    정말 좋은 의견이네요
    그리고 고려시대처럼 절에서 지내는것도 좋구요
    요즘 집에서 밥하는거 정말 싫어하니 이해가 되네요
    제사가 점차 강제성도 없어지니
    형제간에도 조금만 수틀리면 안보려하겠지요
    게다가 아이도 하나둘이니 삼촌 고모 이모도 사라지겠고
    점차 개인적인 사회가 되겠지요
    미국처럼요 그게 꼭 좋은걸까요

  • 3. ***
    '12.1.7 2:01 PM (211.226.xxx.41)

    형제간 친척간 의가 안좋은 경우엔
    제사때문에 의가 더 나빠지는 경우는 봤어도,
    제사 덕분에 안좋은 의가 더 좋아지는 경우는 못 봤어요.

  • 4. 참내
    '12.1.7 2:05 PM (119.202.xxx.124)

    정말 오랜 관습이란게 사람을 세뇌시키는건 무섭네요.
    제사가 강제성 없어지니
    형제간에도 안보고 삼촌 고모도 사라진다니요...........
    미국 사람들이 친척간에 안보고 사나요?
    그들도 크리스마스 되면 가족 친척 모여서 즐겁게 칠면조 먹고 파티하고 하던걸요.
    왜 꼭 음식 차려 바치고 거기다 대고 먼지나게 절을 해대야
    가족간 유대가 지켜지는거죠?
    저만해도 제사 없으면 시댁 사랑하는 마음이 열배는 커질 것 같고
    그 에너지와 돈으로 시부모한테도 더 잘할 것 같은데요.

  • 5. 맞는 말씀이세요
    '12.1.8 12:03 AM (211.35.xxx.170)

    저도 대여섯살때부터 시조를 계속 외웠고(삼강오륜 이런 내용도 많았죠. 자연의 아름다움도..)
    조금 자라서는 한자교육에 명심보감, 논어등 계속 가까이 했어요.
    사춘기가 없이 넘어갔답니다. 애늙은이 소리 많이 듣고 연애도 잘 안 걸려들었지만 (결국은 선비같은 남자 만나 좀 재미없이 삽니다만은)

    아이들은 저처럼 동양고전을 가까이 하며 자라게 하고싶답니다.
    (네, 저는 반듯하게 자라 공부도 물론 잘하였고, 사회에 보탬이되는 인재로 살고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733 코코아 발음이 원래 코우코우 인거 아세요? 7 코우코우 2012/01/25 1,531
61732 남편이 일끝나고 오면 계속 해서 여직원 얘기만 하네요. 32 이게 뭔가 2012/01/25 13,205
61731 영유2년 나왔는데 발음이 안 좋아요...ㅡ.ㅡ; 5 duddb 2012/01/25 1,479
61730 아이잗바바 기획 코트 47만원 4 코트 2012/01/25 3,688
61729 또 뽑고 싶은 대통령 1위는 누구? MB는 2% 6 단풍별 2012/01/25 1,024
61728 시어머니의 이런 말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12 참 어려운 .. 2012/01/25 3,208
61727 건강보험..30대인데요 어느게 좋을까요? 6 ??? 2012/01/25 828
61726 이것은-시동생이 저흴 무시하는것일까요.. 5 하하하 2012/01/25 1,717
61725 설연휴에 케이블에서 부당거래봤는데 대박! 9 마이마이 2012/01/25 1,353
61724 단대 영문. 용인 외대 중문 조언 부탁드려요 6 조언 2012/01/25 1,359
61723 한우소갈비 남은거 냉동해도 되나요? 3 박선영 2012/01/25 613
61722 세뱃돈 정산.. 친정 시댁 3 치사한가? 2012/01/25 1,928
61721 시아주버님 박사학위 선물은 뭘로 좋을까요 14 선물 2012/01/25 4,921
61720 남편이 어떻게 하면 살을 뺄까요? 9 찐감자 2012/01/25 1,226
61719 [4.11 총선] 전국 245개 지역구 출마 예비후보 명단 단풍별 2012/01/25 461
61718 4학년남아의 겨울방학 고민 오다리엄마 2012/01/25 514
61717 옷 살 때 프리라고 써 있는 건 싸이즈가 대체 뭘 말하는 건가요.. 16 뚱뚱녀 2012/01/25 10,107
61716 남성들 먹는 홍삼원기 액기스를요 홍삼 2012/01/25 346
61715 조금작게 했음 좋겠어요 ㅠㅠ 2 차레음식중 .. 2012/01/25 1,226
61714 설익은 자원외교 띄우다 외교부가 주가조작 도와준 꼴 3 세우실 2012/01/25 688
61713 '더치트'라느곳 말고 인터넷사기 조회하는곳 없나요? 인터넷 사기.. 2012/01/25 541
61712 엄마 상안검 수술 할 병원 추천 부탁 드려요. 4 .. 2012/01/25 2,643
61711 '려'샴푸 쓰는 분들 어떠세요? 8 ... 2012/01/25 2,609
61710 시누이 때문에 미칠 것 같아요.. 11 한숨만~ 2012/01/25 3,569
61709 좀 뻔뻔해도 되겠지요? 2 2012/01/25 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