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평소 죽음에 대해서 얼마나 생각하세요?

춥구나~ 조회수 : 1,767
작성일 : 2012-01-05 13:18:35

전 어렸을 때 부터 유난히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해 왔던 것 같아요.

 

죽고 싶다... 라는게 아니라 죽음의 의미나 과정, 허무함 등에 관해서요.

 

별다른 계기도 없고 한데 이러는걸 보면 타고난 천성같아요.

 

 

서른 후반 싱글녀인데, 요즘은 "내가 언제 어떻게 죽을지 모른다."라는 생각이 항상 들어요.

 

어느날 주위를 둘러봤더니 나 하나쓰는 집, 사무실 자리인데 물건도 너무 많고 지저분하더라구요.

 

문득 이러다 갑자기 사고라도 당해서 죽으면

 

뒷정리하는 사람들이 지저분하다고 흉보거나 싫어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거예요.

 

그래서 안쓰는 물건도 많이 버렸고 새로 물건을 살 때에도 고민을 많이 하는 습관이 생겼고 

 

주변 정리에도 신경을 많이 써요. ㅠㅜ 

 

퇴근할 때면 오늘 저녁에라도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니 깨끗하게 해 놓고 가야한다는 생각이...

 

이러다 보니 갑자기 내가 약간 강박증인가? 라는 생각이 또 드네요.

 

제가 좀 지나친걸까요?

 

혼자 지내서 더 그런 생각을 하는 것 같긴 한데, 뭐 이런 행동들로 인해 제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하진 않거든요. 

 

오히려 인생이 좀 더 단순해진듯 해서(원래도 단순했지만...) 속은 편해요.

IP : 118.176.xxx.8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콩나물
    '12.1.5 1:20 PM (218.152.xxx.206)

    옜날에는 한갑 넘기기 힘들었잖아요. 58세 까지 산다고 해도 이미 반 이상을 산 나이겠죠.

    조선시대 태어났음 할머니 소리 들으면서 앞으로 20년 이상 힘들지.. 했을 나이 같아요.

    내 삶이 20년이 채 남았다? 하면 기분이 이상해 지지 않으세요? 전 이상해요.

    암이나 병 없이. 고통없이 죽고 싶죠. 다들 그럴것 같은데요?

  • 2. 부자패밀리
    '12.1.5 1:31 PM (1.177.xxx.178)

    아이를 키우면 미혼보다 더 죽음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요.
    저도 부쩍 2년전부터 가끔 그런생각을 해보곤해요.
    내가 죽고나서의 세상이 어떻니 저떻니의 문제보다 아이가 클때까지 내가 건강해야 한다는것.
    돈이 없고 집이 없고. 또는 돈이 많고 집이 있고. 사는게 문제가 없고 사는데 힘들고.이런문제들은 살아가는데 불편하고 불편하지 않는 것뿐이라는거죠.

    저는 그런 생각을 많이 하면서 내려놓기 작업을 많이 한 편이구요.
    아이에게 노력하지 않은 무언가를 남겨주는것도 원하지 않아요.
    살아보면서 느낀거지만 행복은 오로지 자신만의 잣대로 평가가능한거더라구요.
    마음이 부자인 상태....
    돈이 많으면 내돈이 남에게 쉽게 가지 않지만 마음이 부자인 사람은 내 마음이 남에게 쉽게 나눔이 된다고 생각해요.
    우리애가 내가 늙고나서도 또는 죽고나서도 온전히 스스로 혼자 잘 살아갈수 있는 능력이 되길 바래봅니다.
    딱 거기까지 살아가고 싶어요.삶의집착은 여기까지.

  • 3. 흐흑
    '12.1.5 1:40 PM (123.212.xxx.170)

    전 죽음에 대해 늘 생각해요..;;;
    아주 어릴적부터.... 하기싫은일 있을때마다 죽고 싶다... 피하는건 싫고 차라리 죽겠다..뭐 이런..;;
    제대로 못하면 죽어버려.... 가 제 자신에게 자주 하는 말일만큼...

    지금은 많이 유해지긴 했네요..;

    그럼에도... 많이 생각해요... 유언장도 여러번 써봤고... 자살시도도..;;;
    (주변에선 전혀 몰라요... 언제나 밝고 명랑하다 생각하니까...)

    엊그제 너무너무 아파서... 죽는게 쉽겠다 생각을 또 했네요..
    큰병걸리면 아마도 전 치료의지보다도 그냥 미리 죽을거 같아요.

    어려움 못참고.. 못 이기는.....

    아이가 걸리는데... 훌륭한 남편 있으니 잘해내겠지 싶고... 그래도 내 아이슬프게는 안하고 싶어
    가능한 언제 죽어도 아쉽지 않게 살려고 노력은 해요...

    많이 사랑하고.. 많이 안아주고... 많이 알려주려고..(지식적인게 아니라 지혜를..;)
    어떨때 보면..백만년 살 사람처럼..굴고..
    어떨때 보면 낼 죽을 사람처럼 행동하는게..

    그저 보통의 사람이지 싶네요..

  • 4. 저도
    '12.1.5 1:51 PM (173.163.xxx.101) - 삭제된댓글

    어릴 때부터 죽음에 대해 생각 많이 했어요 ^^
    지금도 남들보다 살짝 과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게 제 죽음에 대해서라기보다는
    부모님 죽음이요..
    주변에 선후배 아버지들이 돌연사한 경우도 몇 봤고 해서 늘 부모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있어요. 집에서 갑자기 전화오면 불안하기도 하고요..

  • 5. 저도
    '12.1.5 1:54 PM (173.163.xxx.101) - 삭제된댓글

    (윗글이어서)
    저는 가족중에서는 친할아버지 죽음만 경험했는데, 장례치르는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너무 힘들더라구요..
    외할머니 할아버지 아직 다 살아계시고,,부모님.. 누구나 다 겪는 일이지만 저는 도저히 자신이 없어요

  • 6. ..
    '12.1.5 2:04 PM (112.185.xxx.182)

    최초로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한건 10살때였어요.
    친구들이 웃고 떠들때도 [저 애들은 죽음이란게 걱정되지 않을까? 어떻게 저렇게 즐겁게 지낼 수 있을까?] 라고 한동안 혼자 두렵고 걱정되고 심각했었던 기억이 나요.

    최초로 스스로 죽고 싶었던 때는 11살때네요.

    그리고 아주 오랜동안 죽음에 대한 준비를 생각했었어요.
    내가 갑자기 죽었을때 사람들이 정리되지 않은 집을 보면 머라고 할까... 마무리하지 않은 일은 어떻게 될까
    그런 생각을 했었죠.

    그러다 어느 순간
    죽음이란건 그냥 떠나는 거다. 그 뒤에 남은건 남은자들의 것이지 죽은자가 신경 쓸 건 아니다.
    라는 깨달음이 오더군요.
    미리 거창하게 준비하지 않고 그냥 일상적으로 살다가 훌쩍 가는게 죽음.. 이란거.
    그리고 그때서야 비로소 제가 진실로 죽을 준비가 되었다 라는 생각을 했어요.

    전 내일 지구가 멸망한다 하더라도. 내일 제가 죽는다 하더라도. 그냥 일상의 생활을 살려고 합니다.
    그렇게 살다 훌쩍 가는거야 말로 죽음 이니까요.

  • 7. ㅇㅇㅇㅇ
    '12.1.5 3:24 PM (121.130.xxx.78)

    어릴 땐 내가 사고를 당하든 병이 걸리든 일찍 죽는다면
    우리 부모님, 그리고 형제가 얼마나 슬프고 힘들까 걱정되서
    어쨌든 건강하게 운좋게 살아남아야겠다 생각했구요.

    결혼해서 아이 낳아 기르니
    이것들 제대로 다 키워 독립시키기까지는
    건강하게 질기게 살아남아야겠다 싶네요.

    전 지구 멸망이 그래서 두렵지 않아요.
    삶 자체에 대한 애착보다 나의 죽음으로 인해 살아남은 자들이 짊어질 고통이 걱정인지라
    지구멸망으로 인류가 한날 한시에 고통없이 죽는다면 두려울 게 없네요.

  • 8. ..
    '12.1.5 5:33 PM (183.107.xxx.54)

    항상 생각합니다.
    전 아버지 돌아가시고는 죽음이 두렵지 않더군요.
    이대로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
    바라는 것은 정리할 날을 좀 줬으면 하는 그러니까 돌연사만 아님 좋겠다.
    뭐 이런 생각.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038 민주 정동영 부산 영도서 총선 출마 19 세우실 2012/01/17 1,471
59037 이민정씨 보고 제발 여신이라고 좀 하지마세요 65 이상함 2012/01/17 15,593
59036 결혼할때 반반씩 해가서, 시댁 눈치 안보고 일 덜하는 분 계신가.. 36 ㅇㄹ 2012/01/17 5,784
59035 사골끓이고 냉동실 보관은 어떻게 하시나요? 5 사골 2012/01/17 1,585
59034 정준하씨 노래가 저를 울리네요 ㅠㅠㅠ 6 진심 2012/01/17 1,843
59033 아파트에 살면서 유선안보는데도 kbs가 안나오네요 2 케이블티비 2012/01/17 1,225
59032 요즘도 한국에서 유럽 미국행 화물 선박이 일본 들러서 가나요? 방사능 2012/01/17 461
59031 82회원님 남편분이 신춘문예 당선되었다고... 3 궁금 2012/01/17 1,237
59030 사고력수학 교수법을 배울까요 말까요? 5 익명 2012/01/17 1,239
59029 딕쏘 원터치 ...살려고 하는데..써 보신 분?? 1 rrr 2012/01/17 1,332
59028 <누가 박정희를 용서했는가> 저자 김재홍 전 의원 인.. 2 객관적평가 2012/01/17 773
59027 어린시절 학대했다며 친모 살해하려 한 전직 한의사 구속 12 ... 2012/01/17 3,995
59026 1,2시간 기다리는것은 아무것도 아닌가봐요 3 동네 미장원.. 2012/01/17 780
59025 2007년 박근혜 캠프 수억원대 경선자금 불법모금 참맛 2012/01/17 377
59024 500만원정도 적금 1년짜리 들만한곳... 4 저리 2012/01/17 1,871
59023 특강비용 너무 비싸요 3 학원특강 2012/01/17 1,077
59022 사회 지도층의 자제가 공대가는것 봤나요? 14 사회지도층 2012/01/17 2,686
59021 지성용 클렌징 오일 뭐가 좋을까요? 16 이젠 2012/01/17 3,107
59020 도우미아주머니 월급 관련조언부탁드립니다. 21 ** 2012/01/17 2,444
59019 anne frank 4 2012/01/17 405
59018 양념게장이 넘 먹고싶은데... 8 저저 2012/01/17 1,014
59017 헬스장에세 효과적으로 운동하는 법이 있을까요?? 6 운동 2012/01/17 1,761
59016 급질!!아기얼굴에 메니큐어...뭘로 지워야할까요?? 3 부자맘 2012/01/17 1,038
59015 이제 막 사회생활 시작하는데 신용카드 어디회사가 좋을가요? 5 123 2012/01/17 801
59014 예비 중1 남아 키관련 5 부탁드려요ㅜ.. 2012/01/17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