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간광우병 이란 용어의 문제점

학수고대 조회수 : 1,051
작성일 : 2011-12-01 11:53:47
의인성(醫因性)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하 iCJD)의 국내 첫 확진 사례가 보고되면서 '인간 광우병'이라는 용어에 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 이번 iCJD 확진 사례를 보도하거나 설명하면서 '인간 광우병', '유사 인간 광우병', '광우병 증상' 등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었다. 또 인터넷 게시판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인간 광우병의 국내 첫 사례가 나왔다"는 얘기가 돌기도 한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사례는 속칭 '인간 광우병'인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하 vCJD)과는 전혀 무관하며 일상생활에서 감염된 것도 아니다"라고 반박하고 있다.

어느 쪽 얘기가 맞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인간 광우병'은 학술적으로 명확히 정의돼 있지 않은 일종의 '언론 용어'이므로 어느 입장이 100% 틀렸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해의 소지가 있으므로 그리 바람직한 표현이 아니고 쓰지 않는 편이 좋다는 지적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용어가 쓰인 맥락을 이해하려면 약간의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은 인간에게 발생하는 치명적 전달병(transmissible disease)으로, 마치 소의 광우병처럼 뇌에 스펀지 같은 구멍이 뚫려 뇌기능을 잃게 되는 병이다.

 

여기에는 수술 등의 과정을 통해 전염되는 iCJD, 특별한 외부 요인 없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산발성 CJD(sCJD), 가족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가족성 CJD(fCJD), 광우병에 걸린 소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vCJD 등의 유형이 있다.

 

이 중 iCJD는 전달 경로에 따른 분류여서 vCJD인 동시에 iCJD일 수도 있다. 즉 수술 도구 등을 통해 vCJD가 감염될 가능성이 있고, 실제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

 

인간의 CJD와 유사한 병은 여러 동물에서 발견되며, 이를 통틀어 전염성 해면양뇌증(TSE·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TSE는 프리온(prion)이라는 특정한 단백질이 변형을 일으켜 생기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뇌 등 신경 부분에 변형 프리온이 축적되고 뇌에 스펀지 모양의 구멍이 뚫려 뇌 기능이 상실되는 등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CJD는 인간에게 발생하는 TSE의 일종이고, 광우병(BSE)은 소에 발생하는 TSE의 일종이다.

 

이런 점 때문에 국내외 언론에서 일반 독자들을 위해 CJD를 설명하면서 '광우병의 인간 형태(human form of mad cow disease)'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다만 이런 설명 없이 '인간 광우병'이라는 명칭을 vCJD뿐 아니라 iCJD, sCJD, fCJD 등을 포함한 CJD 전체에 대해 쓰는 것은 오해와 불필요한 공포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마치 모든 유형의 CJD가 광우병에 걸린 소의 고기를 섭취해서 전달되는 것 같은 그릇된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은 '인간 광우병(human mad cow disease)'이라는 표현은 BSE에 걸린 소의 고기를 섭취해 vCJD에 걸린 사례에 한정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질병관리본부(CDC)가 CJD 중에서도 vCJD만 광우병과 관련이 있다고 소개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459 출퇴근시간 너무 걸리는직장 계속 다니는게 맞을까요? 11 .... 2012/01/04 2,216
    57458 아이들과 놀기좋은 스키장 7 준맘 2012/01/04 1,961
    57457 예비초등 딸아이 한글 맞춤법이요? 3 살빼자^^ 2012/01/04 1,657
    57456 다들 결혼해서 시누이 생일을 챙기셨나요? 32 궁금 2012/01/04 7,178
    57455 아웃백 추천 메뉴 알려주세요~ 8 히힛~ 2012/01/04 2,950
    57454 배달 구인직에 왠 고학력? 7 뭐냐 2012/01/04 2,509
    57453 컴할때 자꾸 바이러스치료하라고 뜨는데요??? 3 딸맘 2012/01/04 1,449
    57452 현실 모르는 MB… 물가 실명제 논란 4 세우실 2012/01/04 1,852
    57451 환갑 맞은 엄마의 첫 해외여행, 태국 어디가 좋을까요? 9 2012/01/04 3,020
    57450 남의 집밥은 별루..ㅠㅠ 99 저는 2012/01/04 15,018
    57449 보일러 가동 어떻게 하면 절약되나요? 팁 아시는분?(온돌, 예약.. 3 ... 2012/01/04 19,475
    57448 여중생 책가방 어떤게 좋을까요 4 해피 2012/01/04 2,247
    57447 요즘애들은 또 다 다르겠지만 인생이 정말 성적순은 아닌거같아요 8 알수없는 인.. 2012/01/04 2,730
    57446 대한민국 크기 비교 3 궁금 2012/01/04 2,858
    57445 휴대폰 시간이 점점 느려지는데 왜 이럴까요? 2 ... 2012/01/04 1,570
    57444 다들 학교 보충수업 하나요? 7 고딩들 2012/01/04 1,836
    57443 선배맘들께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예비엄마 2012/01/04 1,788
    57442 소개팅은 때려쳐야 겠어요 8 노처녀면 어.. 2012/01/04 3,912
    57441 근데 왓비컴즈까지 공개되고 보니까 더 혼란스럽네요 14 2012/01/04 4,392
    57440 17개월된 우리 늦둥이 둘째가..... 5 어머나!! 2012/01/04 2,667
    57439 아이들의 귀여운 행동 3 성장과정 2012/01/04 2,009
    57438 이사시 보육료 지원에 대해서... 5 해지온 2012/01/04 2,206
    57437 아이가 아파요 3 갑자기 2012/01/04 1,593
    57436 조언 좀 주세요 취업하고자 할 때 이력서때문에 10 싱글맘 2012/01/04 3,556
    57435 희안한 일이네요. 5 .. 2012/01/04 2,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