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드라마 보면 부분 조명을 많이 쓰던데..

> 조회수 : 2,010
작성일 : 2011-11-30 11:50:24

왜 그럴까요? 아늑해 보여서?? 집이 넓으니 그렇게라도 집 꾸밈을 해 놓아야 해서?

가난한 집이든 부잣집이든 다들 부분 조명이네요

환한 분위기는 시트콤에서나 보여지는듯 하고..

 

천정에 공사를 안하는 건지...부분 조명하면 전기세가 더 비쌀듯 한데..

영화나 드라마 볼때마다 궁금해요~

 

 

IP : 121.17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1.11.30 12:02 PM (174.93.xxx.107)

    외국은 왜 부분조명이냐면요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 짐작입니다)
    보통의 집들이 보통 100년씩 오래된 집들이 많거든요

    그 시절에 웬 전등이 있었겠어요

    그러다 전기가 들어왔고, 선을 건물안에 갑자기 넣기보다는
    스텐드라는 걸 쓰는게 쉬웠을거구

    그렇게 살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되었겠죠

    그리고 목조 건물들이 많아서 전선을 안에 넣는거보다는
    스텐드를 쓰는게 안전할거 같네요

  • 2. 동감
    '11.11.30 12:06 PM (222.238.xxx.49)

    윗분 말씀이 맞아요.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직접 조명이지만 미국만 해도 간접조명이 기본이랍니다.

    미국 아파트 가보면요, 우리 나라처럼 전구만 끼워 넣으면 불 오게 되어 있고 뭐 그런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요. 전기 꽂는 곳만 있지요. 우리 나라가 집들어 오면 조명 스위치 켜는 식으로 얘네들은 스탠드 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3. ..
    '11.11.30 12:12 PM (221.148.xxx.37)

    미국에서 지진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지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가 커서 우리나라와 같은 조명시설을 하지 않는다고요.

  • 4. 나거티브
    '11.11.30 12:17 PM (118.46.xxx.91)

    미드를 그렇게 보고도 그냥 드라마에서 분위기 잡느라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5. 외국에서
    '11.11.30 12:26 PM (210.94.xxx.89)

    잠깐씩 생활할때 젤 힘든게 바로 그 조명이었어요..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도 나쁜데 왜 그런 누런 백열등으로 부분 조명을 하는지..
    호텔에서 책보기도 힘들고..

    지진 같은 부분도 있긴 하겠지만, 일반 주택의 경우 목조 주택이 많아서 천정 조명을 별로 안한데요

  • 6. 전구발명이
    '11.11.30 12:31 PM (174.93.xxx.107)

    1880년에 전구가 발명이 되었네요

    그런데 미국이나 카나다에 있는 많은 집들은 그당시에 지어진 집들이 아직도 많구요
    전구의 상용화는 한참 이후였을거니까

    스텐드를 쓰기가 훨씬 편했을거구
    그러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된게 맞는거 같네요

    한국도 전에는 전기줄이 천정에 늘어지고 그랬었지요 ㅎㅎ

    그때가 그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994 남편과 냉전중일때 밥은 차려주시나요? 18 이클립스74.. 2011/12/16 3,546
47993 절약얘기가 나와서리 주변에 이런사람~~ 1 olive 2011/12/16 2,042
47992 죽을 편하게 만들려면 오쿠가 제일인가요? 7 아침에 2011/12/16 3,516
47991 [죽전,수지,분당,동백.구미동에서 구강검진이랑 치료잘하는 치과 .. 2 피오나 2011/12/16 1,533
47990 3만원 정도에서.. 여직원들 크리스마스 선물 뭐가 좋을까요..?.. 11 선물.. 2011/12/16 2,288
47989 로엠옷이 진짜 질이 좋은거였네요 24 로엠 2011/12/16 16,832
47988 아주 아주 따뜻한 기모레깅스 판매처 좀 알려주세요. 10 . 2011/12/16 2,415
47987 요즘 소셜커머스(쿠팡,그루폰..)보신분들중에.. 3 ,, 2011/12/16 1,075
47986 아 진짜..말을좀.....생각하고 하면 좋겠어요.. 8 ㅎㅎ 2011/12/16 2,187
47985 봉사 초등생 가르치기 가능한곳 어디가 있을까요? 2 학교 2011/12/16 745
47984 왼쪽손 새끼 손가락 들어 올리는 의미는? 5 듣보잡 2011/12/16 2,730
47983 지금 MB뉴스에 나온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뉴스요 3 궁금 2011/12/16 1,095
47982 택시기사 양반이 새끼손가락 올렸다네요 7 참맛 2011/12/16 3,441
47981 차차리 밥 먹을껄..... 스피닝세상 2011/12/16 872
47980 큰사발 컵라면은 물을 몇ml 필요할까요? 1 겨울바다 2011/12/16 9,418
47979 강*미 쇼핑몰 어떤가요? 리라 2011/12/16 598
47978 김 구입해도 되나요? 사다놓은 거 다 먹었는데 먹을 게 없어요 김씨 2011/12/16 867
47977 전업주부로서 살 수 없는 이유... 2 뚱맘00 2011/12/16 2,338
47976 일요신문, "어! 다스 지분이 왜 재정부로?" 1 참맛 2011/12/16 970
47975 서머셋 모옴 팬들이 꽤 계시나봐요^^ 5 팬질~ 2011/12/16 1,212
47974 양털 부츠(어그 부츠) 어떤 것이 좋나요? 5 질문이요~ .. 2011/12/16 1,722
47973 식탁의자를 등받이없는 벤치를 맞추면 불편한가요? 7 공방 2011/12/16 2,847
47972 노어노문학과& 사학과 2 급질^^; 2011/12/16 1,177
47971 미국 소고기 광고가 나올 때마다... 7 ... 2011/12/16 1,086
47970 자라 환불 기한 및 그외문의합니다. 6 단아 2011/12/16 4,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