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을 많이 읽어주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조회수 : 2,930
작성일 : 2011-11-15 18:13:51

초등을 졸업하기 전까지 (7세남아입니다)

만권을 읽어 줄 수 있을까 하고

하루 계산 해 보니 무리는 아니겠다 생각이 들더라구요

물론 더 읽거나 안 읽는 날도 있겠고

글밥이 많아서 한권으로 끝내는 책도 있겠지만서도

적어도 하루 10권씩 읽어 주자 하는 마음으로 시작했고

잘 지키고 있네요 2년째요

아직은 콩나물에 물을 준다 하는 기분으로

읽어주는데 정말 아직은 모르겠지요

무작정 읽어줍니다 감정을 넣어 연극하듯 읽어주는

제 자신이 재미있기도 하고 책도 재미있고요

아이에게 읽어보라 하니 성대모사 연습 하듯 재미있네요 아직은

오늘은 까닭이 뭐지? 하고 묻길래 이유 라고 설명해 주니

무슨 질문 끝에 ~~~까닭을 말해 줄 수가 없어(비밀이라는 뜻)

해서 웃었는데 아....진짜 과연 효과가 있긴 있나

(수능 언어에서 만점 받았던 친구가 어렸을 때 그리 다독 했다길래 믿음이 생겨 시작했죠 ㅋㅋ)

너무 무리하나? 나중에 언어에서 그냥 이면 어쩌지 갑자기 밀려오는 궁금증

책 많이 읽어셨던 분들(어렸을 때)

아 효과 있구나 하고 느꼈던 적은 언제 이신가요?

IP : 222.116.xxx.22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rn
    '11.11.15 6:16 PM (121.55.xxx.142)

    제 딸아이 지금 초딩 고학년인데요 어릴때 책 무진장 많이 읽어줬어요 학교다닐때 애는 책을 많이 본것같다 라는 이야기를 선생님 두분께 들은적이 있어요
    다른 아이들보다 문장표현력이나 설명하는걸 좀더 자연스럽게 잘하는것 같아요

  • 2. mmm
    '11.11.15 6:21 PM (112.158.xxx.49)

    하루에 열권까진 모르겠지만 ㅎㅎ
    어릴때 어머니가 그때 엄마들치고는 책을 정말 많이 읽어주셨는데요.
    덕분에 저도 책읽는 게 몸에 배었구요.
    언어가 모든 과목을 이해하는 토대가 되니까요. 꼭 국어 영어가 아니더라두요.
    기본 실력이 있다고 해야 하나? 죽어라고 하지 않아도 공부를....잘 했죠 .... ^^;; ㅎㅎ

  • 3. 이플
    '11.11.15 6:25 PM (115.126.xxx.146)

    수능이 뭐라고 고작 수능대비인가요?...
    길게 아이의 창의적인 삶이 아니라..


    책 한권만으로도 충분히
    아이는 세상을 얻을 수 있는데...

    엄마의 욕심이 참 속물적이네요..

  • 4. 노란우산
    '11.11.15 6:35 PM (121.147.xxx.69)

    윗님 참 말뽄새가 ㅠㅠㅠㅠㅠ
    전 이런 분들이 82를 젤 괴롭히는 알바같아요
    글을 좀 읽어보고 행간의 의마도 잘 못 이해 하고
    대충 글쓴 님들은 어렸을 때 책 많이 안읽은 사람으로 보여요


    원글님의 의견에 답하자면요

    책이나 이야기를 듣느 과정에는 이해라는 과정이 작동해야하기 때문에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라면 남의 이야기 (교사의 설명 )을 잘 이해하게되고
    통찰이나 공감등의 측면에서 도움을 받게된답니다-언어교육 전공자

  • 5. ..
    '11.11.15 7:00 PM (124.199.xxx.41)

    아이가 글을 읽게 되면 자연스레 혼자 읽으려고 합니다.
    전..너무 일찍 아이가 혼자 책을 봐서..좀 후회가 됩니다.
    결론은 엄마가 책을 많이 읽어주고..잘 들어주는 과정이 매우매우매우 중요하다는 것...
    혼자 읽는 것보다 누군가가 읽어 주는 것을 듣는 것이 상상력, 창의력 자극이 더 자유로워서
    원글님이 말씀하시는 독서의 힘이 더 커지더라구요..
    더불을 남의 이야기를 잘 듣기고 하구요..
    성격이 온순하기도 하고..
    저희 아이는 빨리 글을 잃고 책을 빨리 봐서인지..성격도 급하네요--
    암튼..아직 어리니...적어도 초 3~4까지는 꾸준하게 읽어주세요..

  • 6. ^^
    '11.11.15 7:00 PM (183.97.xxx.204)

    저야 뭐.. 워낙 전달력이 없어 제대로 답글은 못달겠구요..
    '하루 15분 책읽기의 힘'이란책을 한번 보셨음 해요.

    원글님 말씀대로 콩나물에 물 부어주듯.. 서서히 아이에게스며드는 것들이 엄청날 것 같아요.
    일단 다른거 다 둘째치고.. 아이와 엄마가 책을 두고 앉아 있는 그 시간도 참 소중할 것 같네요..

  • 7. 이견
    '11.11.15 8:08 PM (211.207.xxx.10)

    방향은 좋은데요, 목표가 만권이라도
    습관 붙으면 갈수록 가속 붙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7년을 나눠 하루 10권 이럴 필요없어요.

    어릴 때는 오히려 하루 10권 미만으로 읽힌다, 는 생각으로
    10권 미만을 이리저리 음미하며 읽히는 게 낫답니다.
    책을 매개로 나누는 대화도 중요하지요.

    국제학교 다니는 애들보면, 세계사시간에 독립선언에 대해 배우면,
    조지워싱턴이나 벤자민 플랭클린등으로
    역할을 나누어 연극을 해보면서 상황에 몰입하더라구요.
    책내용을 책에만 가두어두는 대신, 연극도 해보고, 실제 생활과 연관도 지어보면, 효과가 더 좋답니다.
    아이들 머리는 스폰지라기보다는 '체'예요.
    뇌는 다 저장하는게 아니라, '재미'라는 녀석으로 잘 뭉쳐져야 체라는 녀석이 더 꽉 붙잡는답니다.

    제 경우, 초딩 때만 100 권 읽었는데,
    큰 노력없이 언어, 영어, 는 거의 만점 받았습니다. ( 책이 별로 없어 100권을 10회씩 읽었네요. )
    삼국사기 삼국유사 7번씩 읽어서 국사시간엔 드라마처럼 그림이 떠올라요.

    지금은 원글님처럼 책 읽어주는게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어서, 그정도 메리트는 없겠지만,
    공부하기 수월할 거예요.

  • 8. 원조뒷북
    '11.11.15 8:24 PM (58.142.xxx.49)

    콩나물에 물 준다고 표현하신대로 이 물이 흘러버리지 않고 아이를 키우는 힘이 된다는 믿음으로 계속하시면 되지요.
    천 권이건, 만 권이건 해야하기 때문이 아니라 함께 하는 시간이 즐겁기에 하다보면 책을 통해 지식을 배운다기 보다는
    엄마가 나를 위해 이렇게 시간을 할애해주고 나에게 귀 기울여 주는구나, 엄마는 나를 정말 사랑하는구나,
    책이란 참 즐겁고 행복한거구나... 몸으로 기억하고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꼭 학과 공부에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자존감 높고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되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참 부지런하시네요. 저도 아이들 책 읽어주기 한동안 게을러지고 있었는데 원글님보며 마음 다잡습니다.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192 초등성적표 잘못나왔는데 어찌하나요? 7 ... 2011/12/20 3,003
52191 이런남편 제가 이해해야할까요 5 나무 2011/12/20 2,526
52190 쇼핑몰이나 보세, 아울렛 옷 잘 고르는 법 아시는분 4 까만사과 2011/12/20 3,469
52189 요즘 핸드폰 값이 왜 이렇게 비싼가요? 5 dma 2011/12/20 2,113
52188 예스 24의 가카달력 후기글 재미있어요. 5 가카달력 2011/12/20 2,430
52187 정봉주 의원 무죄 서명 부탁드려요 14 꼼수사랑 2011/12/20 1,535
52186 집을 나오게되었습니다 8 어디가 좋을.. 2011/12/20 3,024
52185 철학관 에서 일찍 결혼 하라고 들은 사람 있나요?? 3 .. 2011/12/20 2,495
52184 대선 D-1년…3대 관전 포인트 세우실 2011/12/20 1,452
52183 코트,파카도 너무 춥다는 분들..살짜기 해결법 알려드려욧! 55 광고아녜요~.. 2011/12/20 19,584
52182 뭘 받쳐 입어야 하나요? 2 하늘색 밍크.. 2011/12/20 1,516
52181 성당 반모임시 저녁식사메뉴.. 단순하게해도 되겠죠 6 천주교 2011/12/20 2,863
52180 서구화와 현대화는 다른건가요? 3 식단과 문화.. 2011/12/20 1,254
52179 BBK주인이 이명박이라고 하는 박근혜 영상 5 해피트리 2011/12/20 1,782
52178 컴맹이 컴맹에게.. 4 웃어보아요 2011/12/20 1,347
52177 미션임파서블4 예약하려고 하는데요. 5 궁금 2011/12/20 2,300
52176 ISD피해 중남미 국가에 집중- 미국과 FTA때문! noFTA 2011/12/20 1,082
52175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서양 여배우들 누가 있을까요? 43 푸른 2011/12/20 8,951
52174 이사가려고 해요. 조언 부탁드려요. 3 이사 2011/12/20 1,485
52173 이 협박 정말 무섭네 ~ 2 ... 2011/12/20 1,875
52172 무뚝뚝한 아내들...남편에게 어떤 애교 부리세요? 방법과 종류좀.. 28 부부사이 2011/12/20 9,298
52171 유니세프한국지사는 후원하기에 믿을만한 곳인가요? 11 유니세프? 2011/12/20 4,530
52170 대전에서 대게나 랍스터 먹을곳 찾아요 대전 2011/12/20 2,020
52169 대체 민주당은 뭐하고 있는거죠.? 9 양이 2011/12/20 2,236
52168 중학생 아이가 주민등록 등본 뗄수 있나요? 2 울동네 2011/12/20 3,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