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게 섭섭할 일인가요?

답례 조회수 : 2,924
작성일 : 2011-11-11 18:55:06

저는 외국 생활을 오래 했습니다.

그 나라에서는 남의 호의에는 꼭 감사의 표시를 하는 그런 문화가 일반적이었어요.

 

그래서 귀국한 후에도 제게 그런 행동은 굉장히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일이었어요. 무의식적인.

 

예를 들어, 친정에서 음식을 해다주시면, 가능한 시간 끌지 않고 외식 대접이라도 한다든지..

누가 밥을 사면, 다음엔 꼭 내가 밥을 산다든지...

 

그런데 이런 제 행동이 굉장히 의무적이고, 오히려 상대로하여금 기분 나쁘다는 말을 들었어요.

(굉장히 친하고 허물없는 지인이 한 말이라 나쁜 의도가 아닌, 오히려 저를 생각해서 더 큰 실수 하지말라고 한 얘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혹시 우리나라의 분위기는 많이 다른건지...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감사의 표시를 어떤 식으로 하는건지...

 

82쿡님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IP : 222.106.xxx.11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11 7:01 PM (118.38.xxx.44)

    사람에따라 다르겠죠.

    제 경우 좀 그렇더라고요.
    어떤 댓가를 바라고 호의를 베푼게 아닌데,
    정말 딱 그만큼 정확히 즉시적으로 돌아올때.
    기분이 좋다기보다 그냥 그 사람에겐 더이상 호의를 베풀기 싫어지더군요.

    호의를 호의로 받는다기보다
    언제나 그 사람에겐 내 호의가 계량화되어서 돌려줘야 할 어떤것으로 계산된다는 느낌이라.
    그럼 구지 내 호의가 아니어도 상관없을테고
    그만큼 다른 업체에서 댓가 지불하고 서비스 받으면 될테니까요.

    또 그만큼 혹시라도 내가 그쪽에 신세를 진다면
    의도했던 아니던 그렇게 딱 되갚아야 하는구나라는 느낌이랄까.

    아마 그 말을 하신분은 저같은 느낌을 받았나봐요.

    사람마다 다 차이가 있으니 누가 옳다 그르다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는건 아니고요.

  • 2. ^^
    '11.11.11 7:05 PM (14.52.xxx.192)

    저도 외국에 오래 살다 왔지만
    남의 호의에 꼭 감사의 표시를 하는 문화는 한국이 더 강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원글님 주변사람들이 좀 이상한 사람들 아닌가요?
    저도 미국에 가서 남의 친절이나 호의에 예의를 다해 성의표현하지만
    그것은 한국에 있었을때도 그랬어요.
    제가 미국에 가서 변한것도 아니고...
    원글님도 원래부터 한국에서도 그랬던거 아닌가요?

  • 3. 이상
    '11.11.11 7:09 PM (112.149.xxx.89)

    친구모임에서 보통 '지난번에는 네가 냈으니 이번에는 내가 쏠게'...라는 식으로 계산 많이 합니다.
    혹시 그 분이 윗 어르신이라면 바로바로 답례하는 것에 대해 그렇게 반응하실 수 있다 싶네요.

  • 4. 오히려
    '11.11.11 7:32 PM (121.147.xxx.151)

    한국의 문화가 바로 바로 감사 표시하는 문화 아닌가요?
    저도 즉시 하는 건 지양하는데
    어떤 분들은 바로 표시를 안하면 좀 서운해 하시는 분들도 있던데요

  • 5. 하나 가면 바로 하나 오고
    '11.11.11 8:31 PM (117.53.xxx.111)

    이런 패턴을 몇 번 겪으면 어떤 기분이 드냐면요..
    난 너에게 신세 같은거 지고싶지 않다, 너 나한테 뭐 해 줬다고 착각하지마!
    이렇게 받아들여 져요.

    그 분께 한 번 물어 보세요. 이런 기분 맞냐고.

  • 6. 글쎄요
    '11.11.11 8:32 PM (115.136.xxx.27)

    어떤 분이 저렇게 호의표시를 하는데 기분나빠하시던가요?
    저는 그런 분 별로 못 봤는데요.

    아니 못 본거 같네요..

    저렇게 즉각즉각 해 드리면 굳이 그럴거 없다는 마음을 보여주긴 하지만.. 기분나뻐하시진 않으시는게 정상 아닌가요?

  • 기분 나쁜 것도 정상
    '11.11.11 9:17 PM (117.53.xxx.111)

    이랍니다.
    새로 알게 된 사람이 이런 분이었는데 본인은 누구보다 경우 바르다고 자부심이 대단했어요.
    저는 그 분 연락이 와도 멀리 한답니다.
    무안하달까 참담하달까..그렇게 느끼도록 행동하는 사람이 있어요.

    진짜 가볍게 음료수 하나도 그 분한테는 못드리겠더라구요.
    내 기분도 기분이고 그 사람에게도 이것이 갚아야 할 부담이 될거라는 생각 때문에 그게 부담이 되고 불편했어요.

  • 7. ..
    '11.11.11 8:50 PM (61.43.xxx.92) - 삭제된댓글

    보답이라는게 참 훈훈한 행동이지만 적당한 기회가 있을때 자연스럽게 하는게 아니라 너무 즉각적이거나 그때그거 하고 딱딱 맞춰서 돌아오면 좀 부담스러운게 사실이에요.. 그냥 가볍게 베풀고 싶어서 한 행동에 꼭 보답하려고 하는 지인이 있는데 참 신기하게도 좀섭섭한 마음이 생기는거 있죠?그 마음은 참 감사하나 또 돌아올거 생각하면 좀 부담스럽더라구요^^경험담이에요 그래도 보답은 미덕입니다 ..자로 잰듯이 딱딱 맞춰서 하지만 않으심 되지 않을까요?

  • 8.
    '11.11.12 12:21 AM (219.250.xxx.207)

    나라마다 차이점이라고 하기 보다는 개인 성향일거도 같은데요

    제가 좀 그렇거든요
    누군가 밥 사주면, 가까운 시일안에 꼭 다시 제가 밥을 사야되는
    어쩔수 없는 상황에서 푼돈이라도 빌리게 되면 바로 갚아야하는...

    전 그게 깔끔하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댓글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드네요
    상대방에게 불쾌함을 줄수도 있나보군요

  • 이어서
    '11.11.12 12:22 AM (219.250.xxx.207)

    그런데, 만약 밥을 먹고 난후, 밥값을 계산한 사람에게
    잘먹었습니다...라고 얘기하는거
    좀 억지스러운가요??

    제가 좀 꼭 그 얘기를 하게되던데(거의 습관에 가까움)
    자주 만나던 사람이 그얘기를 희한하다는 식으로 하더라구요
    넌,,, 꼭 그러더라.. 왜그래?? 하는 식으로요 ㅠ.ㅠ

  • 9. 음..
    '11.11.12 1:35 AM (180.229.xxx.17)

    우리 나라 스타일이라면,
    예를 들어 저랑 친구가 조금 먼 다른 지역에 사는데,
    제가 친구네 지역에 갈 일이 있어서 가면서 그 친구에게 작은 선물 하나 사가고 그 친구가 한 턱 내잖아요..
    그러면 다음에 그 친구가 제가 사는 지역에 올 일이 있을 때. 작은 선물 하나 사오고 제가 한 턱 내죠..
    식사가 당연히 선물보다 비싸겠죠..

    그런데 예를 들어서,
    제가 그 친구네 지역에 선물 사 가지고 가니까,
    그 친구가 밥을 사면서 바로 저에게 그 정도 가격의 다른 선물을 주고,
    그 친구가 밥을 샀으니, 제가 제가 사는 지역으로 돌아오기 전에, 그러니까 바로 다음날 이라든지, 그 친구더러 다시 나오라고 해서 제가 밥을 사는,
    이런 상황이 되면 정없는 거라고 느낄 거예요..

    오래도록 만날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다음 기회에 보답하고,
    그 사이에 시간이 좀 흘러도 괘념치 않고
    그러다 보면 설령 한 두 번은 둘다 베푼 것과 받은 것을 잊어도 과히 아깝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랄까요..


    그렇지만 오래 만날 수 있을 지 확실치 않다면,
    조만간 동일한 것이 아닌 것으로 보답하죠, 보통..
    예를 들어 아랫집에서 떡을 햇다고 가져오면,
    그 그릇에 과일을 담아 보낸다든지 하는 식으로요..
    아랫집에서 떡 보냈는데, 나도 같은 떡, 같은 양 보내면 그건 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356 김장 비용에 대한 질문인데요 2 키다리 2011/12/12 1,472
49355 나이가 같은 처남. 매형 사이에 3 딸기우유 2011/12/12 3,026
49354 유시민 "문재인 대표와 함께 하지 않는 이유는..." 36 시민 2011/12/12 28,066
49353 웰론 소재 패딩 따뜻한가요? 1 ..... 2011/12/12 6,777
49352 대학 구조조정, 사학법 안고치면 공염불 세우실 2011/12/12 1,135
49351 적우보면서 나가수 도대체 어떤 방식으로 섭외하나요. 2 @@ 2011/12/12 1,748
49350 코스트코 테이스터스 초이스커피 1 커피 2011/12/12 2,093
49349 10만원대 여자 선배 생일 선물 추천해주세요 ~ 9 ^^ 2011/12/12 4,084
49348 이제 친구들 조금 덜 만나야겠어요ㅠㅠ 3 .. 2011/12/12 2,526
49347 펌)성북 정태근 사무실앞 바자회 후원 후기 5 ... 2011/12/12 1,541
49346 여대생 가방 좀 추천해주세요 8 추천좀 2011/12/12 2,709
49345 예전보다 라면이 맛이 없어요 3 ? 2011/12/12 1,981
49344 소파 100-150만원대로 브랜드 추천좀 부탁드려요 3 BRBB 2011/12/12 2,456
49343 공부못하는 중등딸아이 7 공부걱정인 .. 2011/12/12 3,057
49342 b형간염 보균자는 술마시면 안되죠?? 4 새댁 2011/12/12 5,546
49341 아이라인 반영구화장할 때 일회용으로 하는지 확인은 어찌하나요? 1 바닐라 2011/12/12 1,912
49340 나!다음셍에 또여자로태어나면...... 11 깨끗한여자 .. 2011/12/12 2,398
49339 중학교 공부 어떻게 준비하나요? 4 예비중 2011/12/12 2,042
49338 시댁엔 며칠에 한번 전화 드려야 하는 건가요... 8 에고 2011/12/12 2,052
49337 시어머니께서 저희집에 계실때 쓰시던 매트리스를 갖고 싶으시다네요.. 19 고민 2011/12/12 4,681
49336 아이친구가 서울대에 합격했어요. 27 이런마음이.. 2011/12/12 14,739
49335 “한·미 FTA 4월총선 쟁점 피하려 한국, 미국에 새해 1일 .. 3 세우실 2011/12/12 1,951
49334 자녀교육이나 체력관리로 유명한 블로그 알고싶어요 헬프미 2011/12/12 1,776
49333 결혼 8개월 밖에 안됐지만.. 아줌마가 되어가는게 느껴지네요.... 6 아줌마 2011/12/12 2,718
49332 용인근처 미용실 추천해주세요. 골룸 2011/12/12 1,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