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부모님 명의집에 전세로 들어가는거 어떨까요?

전공수학 조회수 : 7,091
작성일 : 2011-11-11 09:17:32

안녕하세요

결혼 6개월차 신혼입니당

 

결혼하면서 시부모님이 2억 7천짜리 전세를 얻어주셨는데요

처음 인사갔을때 삼성동에 아파트가 있는데 내년 4월 전세 만기되면 거기로 들어가도 된다라고 하시길래

그냥 만기때 들어가면 되나부다 했는데 전세금 4억 9천을 저희가 드리고 들어가야하더라구요

 

친정엄마는 그렇게라도 들어가면 전세만기때마다 이사다니거나 전세금 올려줘야할 걱정없이 아이들 키우면서 쭉 살면 좋겠다고 하시면서 5천정도 도와주시겠다고 하네요...

내년 4월까지 7천은 모을수있을거같아 그때 들어가려면 1억을 대출받아야하는데

 

전 4억 9천을 드리고 들어갈바엔 차라리 4억 9천으로 작더라도 우리명의의 집을 하나 사는게 낫다고 생각되는데요...

회원님들 생각은 어떠세요?

 

 

 

IP : 222.110.xxx.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1.11.11 9:19 AM (112.148.xxx.223)

    그정도 여유가 있으시면 작더라도 내집을 사는 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 2. ..
    '11.11.11 9:21 AM (211.253.xxx.235)

    본인 집 마련하시는 게 좋죠.

    셈이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2억 7천짜리 전세 얻어주셨는데 그건 내꺼로 챙기고 4억 9천짜리 집에 그냥 들어가실 예정이셨던 거???

  • 3. 다른
    '11.11.11 9:22 AM (110.15.xxx.248)

    형제가 어떻게 되는데요?
    형제가 많은 편이라면 그런 경우 재산 때문에 다툼이 생기기 쉽구요
    두 형제 뿐이라든지.. 이렇다면
    나중에 물려줄 생각이지만 전세돈까지 해주기엔 부담스러우니 너희가 장만해라. 이런 경우 같구요

    집안 분위기에 따라 좀 다르죠
    경제적 부담이 없는 시댁 같으면 그렇게 들어가는 것도 친정어머니 말씀대로 좋을거에요
    일년정도에 그 정도 모았다면 융자 1억 정도도 금방 갚겠네요

  • 4. 맑은날
    '11.11.11 9:24 AM (108.41.xxx.63)

    전세 얻어 주신건 그 돈을 주신 거죠?
    그 값이라면 저라도 집 사겠어요.

  • 5. 그런가요
    '11.11.11 9:26 AM (211.246.xxx.150)

    부모님이 처음에 돈 한푼 지원안해주시면서 본인들 집에 4억 9천 전세금 마련해 들어오라고 하시는
    제안이라면 두말할 것 없이 님 생각이 맞습니다 하지만 2억이 넘는 돈을 시작할 때 부모님께 전세금으로 지원받은거라면 부모님이 꽤 후하고 괜찮신 분들 같기도 하네요 전세금 내고 들어가면 당분간 부동산 팔릴 일도 거의
    없을거 같고 그 집은 결국 님네꺼 될거 같기도 하구요 고민되시겠어요 그와 별개로 이제 겨우 6개월 되신 분이고 시부모에게 지원받은 자산이 2억 7천이나 되는데 거기에 친정에서 겨우 5천 더하고 본인들 모은돈에 나머지는
    대출해서 '우리 명의 집'으로 갈아탈 생각을 하시는게 아주 조금 님 위주이신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 6. 우선
    '11.11.11 9:30 AM (220.86.xxx.243)

    시부모명의 집에 전세로 들어가서 살아보세요. 아직 신혼6개월이면 아기 낳고 살다가 생각하셔도 될듯해요. 그집이 원글님댁이 될수도 있구요.

  • 7.
    '11.11.11 9:41 AM (222.98.xxx.193)

    제가 글만으로 볼때 시댁어르신들 아주 좋은분들 같은데요
    사실 2억7천가지고..아니 뭐 1억 더 가능하시다면 4억가까이 되는 돈으로 서울 괜찮은곳에 집 마련하는거 힘들지않나요
    친정어머님 말씀대로 이사다닐 필요없고 전세금 올려줄 염려없으니 얼마나 좋나요
    너무 날세우면서 보지마세요. 거기서 돈부지런히 모으셔서 괸찮은 집 장만하라고 배려하시는걸로 보입니다. 제눈엔..

  • 8.
    '11.11.11 9:44 AM (222.98.xxx.193)

    그집이 님 차지가 될수도 있단 댓글들은 제가보기엔 좀 오버같습니다

    그리 욕심내셨다가 계획틀어지면 속상할테니 그냥 임대인 눈치안보고 편히 살수있는 전세니 감사하다 생각하시면 될거같아요

  • 맞아요
    '11.11.11 9:54 AM (110.15.xxx.248)

    융자가 1억이라지만 갚을 능력되고 나중에 그게 종잣돈이 되서 집을 사더라도 덜 부담스럽겠죠
    나가란 소리 안하는 전셋집은 내 집이나 마찬가지에요
    지금 안들어가면 그냥 2억돈이 있는거구 들어가면 4억대로 뭉칫돈이 되니까
    나중에 시부모 집이 맘에 안들면 그 돈 빼서 집사서 나가면 되죠.
    돈 한푼 안내고 시부모가 얻어줬다면 나가는 것도 내맘대로 하는게 쉽지 않아요
    나갈 때 세를 놓더라도 그 돈은 시부모 돈이니까요.

  • 9. 전세
    '11.11.11 10:10 AM (211.192.xxx.60)

    남편 동료가 시어른 명의의 아파트에서 신혼살림을 시작했는데요.
    결혼한 지 1년도 채 안되었는데 시댁에서 급전이 필요하다며 매물로 내놓았어요.
    사전에 어떤 상의도 없었기에 한 달도 못 되는 기간에 신혼부부는 집 구하고 돈 마련하느라 혼쭐이 났고요.
    물론 다 사정이 있어서 그랬겠지만 시부모님 집이라 해서 맘 놓고 있을 수만은 없나보다 싶었어요.
    살면서 어떤 변수가 나타날 지 모르는 일이니 여러모로 잘 따져 보셔요.

  • ..
    '11.11.11 10:12 AM (211.253.xxx.235)

    이 분은 4억 9천 전세금 내고 들어가는 거니까 그 집이 매물로 나간다 해도
    4억 9천은 쥐고 있는 거잖아요.

  • 10. 제가 지금
    '11.11.11 10:11 AM (14.56.xxx.35)

    님이 말한 형태로 살고 있습니다. 아버님 집인데 저희가 전세금을 드리고(그 돈으로 대출금 갚으셨어요) 살고
    있어요. 전세금은 현시세보다는 저렴하게 드렸어요. (계약서를 따로 쓰지는 않았고, 아버님은 따로 사시지만
    같이 사는걸로 되어있어요) 암튼, 이사오고 좀 있으니 아버님께서 당신 이불 한채 마련해 놓으라고 하시고,
    시누이 놀러오면 당신 집이니 자고 가라하시고, 원래도 불쑥불쑥 찾아오시긴 했지만 당신 집이시니 너무나
    당당하게 토요일, 일요일 오셔서 주무시고 가시고, 어디 무슨 문제 없는지(새 집이라) 오시면 살피시고,
    가끔 집을 팔까싶다 말씀하시니 아, 정말 이게 뭔가 싶습니다. 더 웃긴 건 시댁식구들이 아버님이 아들한테 집해줬다고 알고 계세요. 그리고 아버님도 저희가 돈 드린건 다 잊으셨는지 자꾸 내 집에서 아들네가 살고 있다고 말씀하시구요. 전엔 아들집에 오셨어도 아들네라고 불편하다고, 너희 쉬라고 얼른 일어나시곤 했는데
    지금은 내 집에서 내가 자고 간다는데, 내 집에서 내 딸 재운다는데....이런식으로 나오시니 넘 피곤해요.

  • 11. 글쎄..
    '11.11.11 11:05 AM (211.199.xxx.206) - 삭제된댓글

    부모 자식간에 전세 계약이 성립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님이 들어가실거면 남편이름이 아니라 님 이름으로 전세계약서 써야할 것으로 생각되구요..

    시부모님의 인품에 따라서 님의 삶이 윗분 말씀대로 상당히 피곤해질 수 있음을 아셔야 될 것 같은데...

    저라면 그냥 지금 당장 집구입을 안하고 다른 곳에서 전세 살다가 돈 모아서 내힘으로 집장만 할듯..
    세상에 공짜는 없더라구요..이 날까지 살아보니

  • 12. fly
    '11.11.11 11:21 AM (115.143.xxx.59)

    외동아들이면 별탈없겠고..뭐..시부모인품에따라 다르지않나요?사주고도 생색내는집있고 안그런집있고..전 좋아보이는데..그집으로 들어가는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738 주진우 기자가 또 폭탄을 예고 했네요! 12 참맛 2011/12/16 7,520
50737 한삼인 홍삼 제품 어떤가요? 3 ㅗㅗㅗ 2011/12/16 2,581
50736 베스트에 여행얘기 읽고... 1 wj 2011/12/16 1,542
50735 코스코 전자제품 삼성카드 할인하던데 디지털피아노도 할인하나요? 1 두아이맘 2011/12/16 1,504
50734 후쿠시마 핵재앙, 4~5년 후에는…" 원자력 전문가 이마나카 데.. 1 원자력 2011/12/16 3,529
50733 굴무침은 어떻게 하나요? 1 @@ 2011/12/16 1,850
50732 '화이트 크리스마스'란 드라마 보셨나요 4 김상경나와요.. 2011/12/16 1,816
50731 전기오븐 추천 좀 부탁드려요... 2 두아이맘.... 2011/12/16 1,860
50730 해피투게더 정신없네요 6 허허 2011/12/16 3,725
50729 혹시 slr의 "고소한고래밥의 표현의 자유"를 아시나요? 6 참맛 2011/12/16 2,460
50728 우리집 강아지가 아무것도 안먹어요! 11 랄라라123.. 2011/12/15 9,766
50727 일산 코스트코에 세타필 크림있나요?? 8 세타필 2011/12/15 2,959
50726 김장김치가 왓는데 워메 다 익어서 왓네요 ㅠㅠㅠ 5 아침 2011/12/15 2,609
50725 과학 내신 산출시 모든 과탐과목이 다 들어가나요? 1 정시 2011/12/15 1,853
50724 김포에서 인천공항 공항철도요~~ 2 인천공항 2011/12/15 2,885
50723 아이패드 하나 살까 하는데 동영상 어떤가요? 1 .... 2011/12/15 1,826
50722 트위터 하시는 분 답해주세요~ 2 궁금 2011/12/15 1,692
50721 삼성역 차로 자주 다니시는 분들 봐주세요..경찰땜에 열받아죽겠어.. 9 열받아 2011/12/15 2,302
50720 드라마보다가 박수쳐본 적 처음이네요 18 이런 적 처.. 2011/12/15 9,525
50719 미션임파서블4 재미있었어요~ 4 영화 2011/12/15 2,989
50718 슈베르트 - 제8번 <미완성 교향곡> 2악장 5 바람처럼 2011/12/15 2,185
50717 여행 싫어 할 수도 있는거죠? 4 질문 2011/12/15 3,072
50716 오늘 서운한 일이 있었어요 2 착한선배 2011/12/15 2,217
50715 유재석처럼 살기... 참으로 힘드네요 4 .... 2011/12/15 4,193
50714 여자 난자랑 남자 정자가 어떻게 만나서 애기가 생기냐고 묻는데... 12 초등3학년 .. 2011/12/15 4,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