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출 만땅으로 집 사도 될까요?(지방)

소심녀 조회수 : 2,910
작성일 : 2011-11-09 13:21:59

맞벌이고 네살짜리 아이 하나 있어요.

남편 수입은 350정도이구요. . 한달 200정도 쓸 수 있어요.

전 교사구요.

 

요즘 이제서야 집을 사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생활은 제 월급으로 하면 되고, 남편 보내주는걸로 대출금 갚으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해서요.

집을 알아보니 여긴 지방중에서도 그리 좋지?않은 곳이라 그런지(전 여기서 10년 가까이 살아온 곳이라 정들었어요. 제가 사는 지역을 평가절하할 생각은 없어요)

지역은 충북 제천이구요. 인접지역인 충주, 강원도 원주에 비해 가격이 싼 편이에요.

집값이 다른데 비해서 싼 편이더라구요. 35평 아파트(2007년 입주)가 1억 9천 정도해요. 전세로는 1억5천. 이것도 작년,올해 많이 오른거래요. 어른들 말씀으로는 이곳으로 철도 쪽이 와서 그분들이 많이 이주하셨다네요. 그래서 많이 오른거라구.

이 지방과 붙어있는 다른 지역들은 같은 평수가 2억 5,6천 정도 하구요.

어차피 투기목적 아니고, 우리가 여기 집을 사면 아이가 초등까지는 여기 살꺼 같구요, 주변 지역보다 집값이 낮은데, 여기서 더 떨어지지도 않을거 같다는 저 혼자만의 생각을 했어요. 오르면 좋겠지만, 전 떨어지지만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했거든요.

근데 일단 모아놓은 돈이 거의 없구요, 지금 제 월급으로도 사실 월급의 60퍼센트 이상을 적금 등 모아놓는데 바쁜 상황이에요. 이런 상황에 대출을 1억 6천 까지 생각하고 있는데, 이걸 제 명의로 받아서 과연 잘 갚으면서 살 수 있을까요?

맞벌이니, 남편 보내주는걸로 갚으면서 살수 있겠다 (하우스푸어일지라도 내 집에서 아이랑 편안히 살고 싶다는 생각)생각 들다가도, 제가 너무 엄청난 짓을 하는건 아닐까싶어 고민이에요. (살짝 내용수정했어요. 어느 지역인지가 중요한듯해서요)

IP : 14.54.xxx.1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충 어느 지역인지 알아야
    '11.11.9 1:27 PM (121.165.xxx.42)

    사람들이 조언을 해주겠죠.
    너무 안오르는 지역은 그럴 이유가 있을거구요.
    문제는 더이상 오르지 않고 유지 내지는 일본처럼 장기침체기로 들어서는 거라면
    굳이 이자 물며 살 필요는 없겠지요.
    지금도 어떤 집이건 살고는 있을텐데 지금은 전세인가요?

  • 2. 음...
    '11.11.9 1:29 PM (119.194.xxx.63)

    그러니까 현재 사시려고 하는 집이 1억 9천이고 대출을 1억 6천을 받으시겠다는 거죠?

    물론 대출 비율이 너무 높아서 말리고 싶구요.

    은행에서 1억6천까지 대출이 나오지 않을 거 같아요.

  • 3. 최근 2년간 많이 오른거라면
    '11.11.9 1:30 PM (121.165.xxx.42)

    큰손들이 털고 나가는 것일수도 있겠네요.
    님이 그걸 받아주는 꼴이고요.
    걍 몇년 지나면 수요가 없는 지역이라면 다시 내려갈수도 있겠네요.
    어느 지역인지를 알아야...

  • 진짜
    '11.11.9 1:38 PM (112.168.xxx.63)

    장난하는 큰손들 있더군요.
    예전에 일산, 인천? 훑고 지방내려가서 지방도 갑자기
    크게 오르고..
    그 지역 문화나 경제를 봐도 아파트가 그리 오를 이유가 없는데도...
    지방들 그런 곳 많아졌더라고요.

  • 4. 일단
    '11.11.9 1:54 PM (118.46.xxx.133) - 삭제된댓글

    매입은 좋지만 1억 5천 대출은 좀 과하네요.
    좀 연식이 된 아파트를 사고 대출을 좀 줄이는게 어떨까요?

    아무리 지방이라도 이미 오른 아파트값은 잘 안내려가더군요.
    시간이 지나면 더 구입이 힘들어 질거 같아요.

  • 5. 대출부담
    '11.11.9 1:55 PM (222.119.xxx.225)

    교사면 대출은 두군데서 받으면 가능할텐데 금액이 너무 많네요.매달 갚아나가다가 지칠것 같아요
    차라리 몇년 더 전세로 있다가 충주나 도시주변 분양권 아파트로 가시는게 어떨까요?

  • 6. ...
    '11.11.9 1:56 PM (180.71.xxx.244)

    다달이 나가는 이자를 생각하면 현상유지가 아니라 월세로 사는것과 같은것 같아요.
    저도 고민하지만...

  • 7. ...
    '11.11.9 3:21 PM (220.122.xxx.179)

    저라면 집 안삽니다..더 모아서 사세요,,..대출 없는게 돈 모으는거예요..

    은행 이자 내지마시고 지금은 그냥 돈을 모으세요..

    지금 집 없다고 누가 뭐라는것 도 아니고 은행에 너무 많이 갖다 주잖아요..

    저라면 님이 불안 하실 수도 있지만 좀 더 악착같이 모아서 40%미만으로 대출 받거나..

    아님 3년정도 안에 다 갚을 능력 될때 집 살것 같아요...

    너무 퍽퍽 하게 돈 나올 구멍 하나없이 살면 집있어도 그게 행복할까요??

    너무 부담스러우실듯합니다...

  • 8. ...
    '11.11.9 4:05 PM (211.199.xxx.32)

    재테크로 보면 차라리 가격싼 빌라 같은데 살면서 몫돈을 좀 모은후 (5천정도) 집을 사는게 맞을 것 같은데요.집값이 대출이자만큼 오르지도 않을테고 집값에 비해 대출금이 너무너무 많네요..보통 대출금은 집값의 60프로선을 상한으로 보거든요.

  • 9. ..
    '11.11.9 5:58 PM (211.109.xxx.40)

    그냥 살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906 어제 토론보고 느낀점... 3 끝토보고느낀.. 2011/12/08 2,630
47905 밑에 시아주버님 자동차 사준다는 글에 묻어서 4 MERIDA.. 2011/12/08 2,656
47904 (급질)나꼼수 아이폰 케이스 사려면 6 .. 2011/12/08 2,142
47903 히트레시피 삭힌고추 2 질문 2011/12/08 2,798
47902 갈색코트를 보니 1 .. 2011/12/08 2,717
47901 12월 8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1 세우실 2011/12/08 1,776
47900 후진주차할때 핸들방향을 잘 못잡겠어요. 4 주차 2011/12/08 12,508
47899 오늘 정봉주 의원님 출연합니다 메인으로...ㅋㅋㅋ 2 손바닥 tv.. 2011/12/08 2,501
47898 쓰다남은 가습기살균제 어떻게 버리지요? .. 2011/12/08 1,743
47897 뉴욕한인학부모협회장 최윤희 씨가 나꼼수를 지목하며 "한국의 기업.. 10 대체 왜이러.. 2011/12/08 4,286
47896 뿌리깊은 나무를 보고 zz 2011/12/08 2,102
47895 온수매트 추천해주세요... 2 온수 2011/12/08 2,237
47894 복막염은 내과로 가서 진료받으면 되나요? 2 ... 2011/12/08 1,849
47893 고양이 아무나 키우는거 아닌가요?ㅠ.ㅠ 파양건... 36 질문 2011/12/08 9,014
47892 동영상 - 위대한 검찰 북콘서트 "정봉주, 한명숙, 조국, 문재.. 5 참맛 2011/12/08 2,623
47891 소년소녀가장이나 어려운형편의 아이들 돕고싶은데 어디로 가야하나요.. 4 자원봉사 2011/12/08 1,705
47890 티몬에서 파파이스 할인 하네요. 6 .. 2011/12/08 2,219
47889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국제전화하는 26 녀자 2011/12/08 18,167
47888 다음 주 끝장토론 강용석이래요. 원하는 게 많네요. 22 나거티브 2011/12/08 3,189
47887 (육아) 제생각 일 뿐이지만... 16 추억만이 2011/12/08 3,857
47886 이정희 의원님 음식 솜씨 구경하세요 5 apfhd 2011/12/08 3,263
47885 갈색 코트 대학생은 어버이연합에게 상금도 받음 5 반지 2011/12/08 2,170
47884 초등 1학년 아이가 국어 20점을 받아왔어요. 3 노랑 2 2011/12/08 2,973
47883 대학생이 문제 맞습니다. 1 추억만이 2011/12/08 2,216
47882 교수같은 대학생????? 13 끝장 2011/12/08 3,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