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산저축銀이 허공에 날린 5조… 결국은 국민 돈으로 채워야 할 판

ㄴㄴ 조회수 : 1,885
작성일 : 2011-11-03 10:18:07

부산저축은행의 불법대출 6조원 가운데 5조원을 회수할 수 없게 되면서 그 돈을 어떻게, 누가 채울지가 관심이다. 이 돈은 결국 고객이 예금한 돈이기 때문이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이 세운 SPC(특수목적법인·페이퍼컴퍼니)가 갖고 있는 자산(9741억원)과 대주주들이 숨겨놓은 재산(654억원)을 더해 총 1조395억원을 찾아냈다. 하지만 그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은 매입 원가(原價)로 계산한 것이어서, 실제 그만한 가치를 가질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다.

 


게다가 그나마 당장 회수가 가능하지도 않다. 환수책임을 맡는 예금보험공사가 소송을 내서 이겨야 한다. 법원이 예보가 환수할 수 있는 채권을 확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산재한 자산별로 소송을 각각 내야 하기 때문에 소송건수도 수백건이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때문에 법원의 판결이 언제 나올지 현재로선 가늠하기 어렵다.

 



6조원 불법대출 중 허공으로 날아가 버린 5조원은 '손실'로 처리된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부실채권을 손실처리하기 위해 저축은행 특별계정(예금보험기금의 일종) 자금을 끌어다 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예금보험기금은 은행과 보험사 고객들이 낸 돈(예금보험료)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부실 저축은행 정리 비용은 결국 국민의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셈"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올해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이 부산저축은행 외에도 15개나 된다는 점이다. 금융당국은 부산저축은행 5조원을 포함해 16곳의 부실 저축은행을 정리하는 데 15조~17조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상반기 영업정지된 저축은행들을 처리하는 데 8조원가량이 들어갔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저축은행 부실처리에 투입되는 15조~17조원 중 30~40%가량만 회수될 가능성이 커 결국 10조원가량은 국민이 공동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이런기사는 그러려니 하고 그냥 넘겨야하는데,, 그러질 못하니 얼굴이 화끈거리고 일이 손에 안잡히네요..

이와중에 이메가찍찍이님은  외국나가서 과도한복지로 국가채무 과한 나라들을 성토하고 앉았구요..윗대가리들이 조금만 더 깨끗하면 막을수 있었던 우리 혈세,, 4대강 공구리 삽질로 들어가는 수조원의 국가 예산,,

분노해야할 부산사람들은 또 한나라당사람에게 표를 주고..

박원순시장이 시립대 반값 당장 실시하겠다는 댓글에 포퓰리즘 전시행정으로 예산축난다는 둥, 나라가 망한다듣 둥.. 알바들이 활개를 치고 다니네요.



IP : 114.201.xxx.7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씨일가물어내
    '11.11.3 10:24 AM (117.53.xxx.11)

    왜요? 이씨일가가 물어야지요.

    FTA 추진하는 짐승들 사형시키자는 아고라 서명입니다.
    http://agora.media.daum.net/petition/view?id=113973


    서울시장시절 이상득아들 이지형시켜 우면터널을 만들었다지요.
    통행량 10배로 뻥튀겨 매년 300억, 서울시 거의 270억 세금을 삥뜯긴다는
    내곡동 사저 부동산 매입 비용 모두 청와대에서 지불됨
    청와대와 시형 땅을 54억에 매입 매도자는 40억에팜(시형은0원)

    저축은행 해먹은 본체는 이상득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view.html?cateid=1002&newsid=2011091415...

  • 2. 모든 비리가 밝혀질
    '11.11.3 11:05 AM (58.232.xxx.193)

    그날이 오기를 간절히 기대합니다.

  • 3. 쟈크라깡
    '11.11.3 1:11 PM (121.129.xxx.246)

    아 내 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101 부모님 노후 이야기가 많은데 지금 82님들 부모님들은 어떠신지 .. 12 .. 2011/12/11 3,726
49100 튀김기 있으면 좋은가요? 4 oo 2011/12/11 2,815
49099 밍크넥워머 사도 후회안할까요? 12 요즘유행 2011/12/11 4,096
49098 다른분들은 어떤 생각들이신지? 1 마하트마 2011/12/11 1,500
49097 산에서 내려오다가 발을 접질렀어요 4 발등 2011/12/11 2,098
49096 대구 수성구 동산초등학교&동도초등학교 어디가 나을까요? 1 이사가요.... 2011/12/11 2,879
49095 오크밸리 갈껀데 대여 스키복 깨끗한가요? 2 두아이맘 2011/12/11 2,909
49094 ㅋㅋㅋ무한도전 디스 3종세트~ 대박~ 9 쥐를 잡자,.. 2011/12/11 3,507
49093 안철수 교수보고 정치하면 안된다는 말... 9 쭌어멈 2011/12/11 2,360
49092 생리 깨끗하게 끝내는 방법 없을까요? 2 .. 2011/12/11 4,842
49091 유아교육과와 전자상거래학과 둘 중 고민 이네요 조언 좀 부탁드려.. 6 처음처럼 2011/12/11 1,917
49090 삶의 용기 혹은 투쟁심을 복돋우는 책 좀 추천해주세요 !!! .. 7 계절의 끝 2011/12/11 1,741
49089 밥솥고민 1 쉰데렐라 2011/12/11 1,536
49088 이틀 신은 구두가 자꾸 벗기는 이유? 구두 2011/12/11 1,469
49087 팥빙수팥으로 해먹을수있는요리 뭐가있을까요? 3 따듯한요리 2011/12/11 2,117
49086 꽈리고추멸치볶음.. 남들은 잘 하네요(무플절망) 5 불량주부 2011/12/11 2,683
49085 할머니께서 한글을 잘 쓰고 싶어 하세요. 3 한글 공부 .. 2011/12/11 1,308
49084 중신했는데 돈을 주시네요. 14 투야38 2011/12/11 4,218
49083 집구해야되는데 언제 잘구해질까요? ... 2011/12/11 1,489
49082 하나 더 알려주오 2011/12/11 1,564
49081 올 겨울 북한 어린이들 건강 악화 심각해 3 safi 2011/12/11 1,371
49080 요양원에서 일한적이 있는데요 54 ... 2011/12/11 23,261
49079 엠자형머리 탈모 탈피하기 1 민머리 2011/12/11 1,943
49078 점집 이야기 보고 저도 신기한 경험이 있어서요... 3 신통방통 2011/12/11 6,721
49077 고추 갈라서 말린 걸 누가 줬는데 어떻게 해 먹어야하나요 10 초보음식 2011/12/11 2,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