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민주당 이계안의 혁명 또는 자살

차기는이분이 조회수 : 1,171
작성일 : 2011-08-25 09:31:20
차기는 이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능력으로도 정책으로도.




이계안의.. 혁명 또는 자살

2009년 7월 9일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팀이 <란셋>에 발표한 연구결과를 보면, 실직률이 1퍼센트 높아질 때 55세 이하 사람들의 자살률이 약 0.8퍼센트 높아진다고 한다. 유럽 내 26개국을 대상으로 30년에 걸쳐 진행한 연구결과다. 실직률이 3퍼센트 증가할 때 65세 이하 사람들의 자살률은 4.5퍼센트, 알콜 중독에 의한 사망률 역시 28퍼센트 가량 증가한다는 것이 이 연구팀들의 주장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경제 위기를 겪을 때 범죄, 이혼, 자살 모두 다 증가했다. 한마디로 악화된 경제 환경이 가정을 파탄으로 몰고 가는 것이다.


경제 위기로 실직을 하게 되면 미래에 대한 희망은 사라지고 비관만이 남는다.
그것은 결국 이혼이나 자살로 이어진다. 2009년 7월 20일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쌍용차 노조 간부로 있는 남편이 회사에 복직되기 힘든 상황을 비관하여 네 살과 두 살 아이를 둔 부인이 자살하지 않았는가.


경제 위기만으로 이렇게 상황이 악화되는데, 내일도 오늘처럼 삶이 지치고 힘들기만 할 뿐 하나도 나아질 희망은 없을 것이라고, 나는 자손대대로 부자가 될 수 없다고 절망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그러한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두 가지다. 혁명 또는 자살. 하지만 사회가 지금처럼 고도화되고 구조화된 사회에서 혁명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론은 한 가지, 자살밖에 없다.


 
 
(이미지 출처 : 세계일보)

 

특히 남들에게 지기 싫어하는 한국인의 국민성은 그런 절망이 자살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을 것이라고 쉽게 추정해 볼 수 있다. 우리 국민의 성향을 가만히 살펴보면 구조화된 사회에서는 살지 못한다. 예로부터 민란이나 폭동이 유난히도 많았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오히려 이웃인 일본 사람들은 구조화된 사회에 훨씬 적응을 잘한다. 최근 일본도 종신고용제가 약해지고 있지만 종신고용제 하에서 일본은 회사에 취직을 하게 되면 누가 과장, 임원, 사장의 자리에 오르게 될지 거의 정해진다. 그러면 일본 사람들은 거기에 적응해 평생 동안 직장을 다닌다.
직장에서 승진의 기회가 별로 없지만 희망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불만을 갖지 않고, 대신 직장 이외에 다른 곳에서 자신의 행복을 찾는다. 일본 영화 <쉘 위 댄스``Shall We Dance>를 보면 직장 밖에서 행복을 찾는 일본 만년 과장의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회사에 입사했는데 “넌 만년 과장이야”라고 사장님이 말해준다면? 대부분은 사표를 던지고 더 나은 비전이 있는 새로운 직장이나 업무를 찾아 떠날 것이다. 이런 차이가 우리나라에서는 직장인들이 승진을 목표로 밤 새워 일하게 만들고, 일본에서는 주어진 일만 열심히 하고 퇴근 후 자신만의 행복을 추구하게 만드는 것이다.


 



성공 욕구, 즉 성취 동기가 우리나라만큼 강하게 민족성에 배어 있는 나라는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찾아보기 어렵다, 그것이야말로 한국의 장래를 밝게 해주는 요인이라고 앨빈 토플러는 설파했지만, 성취 동기가 꺾여버릴 때 우리만큼 쉽게 절망에 빠지는 민족도 드물다.


지금 우리나라는 그 성취 동기가 꺾이고, 좌절감만 남아 있는 사회가 되어버린 지 오래다.
초·중·고등학교 12년을 죽도록 공부만 하고, 간신히 대학교에 입학해서도 잠시 놀아볼 틈도 없이 또 취업 공부를 해야 한다. 대학 졸업 후 사회의 첫발을 백수로 시작해야 하고, 직장에 취직해서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도 누군가의 도움이 없이는 서울 시내에 아파트 한 채 장만할 수 없다.
몸이야 상하든 말든 밤을 새워 가며 죽도록 일하고도 구조조정으로 길거리에 내몰리며, 평생 번 돈을 자녀들 사교육비로 다 쏟아붓고, 가진 돈 하나 없이 빈손으로 정년퇴직을 맞이한다. 하지만 평균수명은 늘어나서 환갑잔치는 옛말이 되고 90세까지 살게 될까봐 걱정하고 있다.
우리는 지금 그런 나라에 살고 있다. 1,000원의 행복, 마지막 희망 티켓마저도 빼앗겨버린 지금 우리는 무엇으로 내일을 꿈꿀 수 있을까?
 

http://www.leeconomy.net/mod/index

민주당 이계안의.. 혁명 또는 자살.



IP : 183.105.xxx.5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희망
    '11.8.25 9:57 AM (110.12.xxx.69)

    서울 시장 보선이 있다면, 가장 유력한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되겠내요.

    작년 6.2 지선때 한명숙씨의 거의 모든 정책은 이 분의 것이었고, 한명숙씨는 몸만 내민격이였지요.

    이번에는 민주당이 책임있는 수권정당으로서 민주적 경선 절차를 통해 후보를 결정할 것을 기대해보니다.

  • 2. 과객
    '11.8.25 10:07 AM (125.188.xxx.39)

    저도 눈 여겨 보던 분...현실 경제를 잘 알고 양보의 미덕을 발휘할 줄도 아는 멋진 이분이 차기 서울시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 3. ^^
    '11.8.25 10:16 AM (203.249.xxx.25)

    기필코 재보선해서 이 분 당선되길 바랍니다.
    재보선한다면 누가 나오면 좋을까 생각했는데 잊고 있었던 분이네요. 정말 오랜 기간 준비해오신 분인데 강금실 전장관, 한명숙 전총리에게 번번이 양보(?)하셨죠. 큰 일 하시면 좋겠어요.

  • 4. mm
    '11.8.25 10:48 AM (218.50.xxx.8)

    전 다른 의견입니다..너무나 대중에게는 생소한 분입니다.
    그분들께 밀렸다면 그럴 만한 이유가 분명 있습니다.
    국회의원이라면 몰라도 서울시장은 아직까지는 무리라고..
    사람들이 선거를 통해 인물을 뽑을때 정책보다는 이미지,대중성이 더 크게 좌우한다고 봅니다.
    아직까지는 그렇습니다...애석하게도.(어찌 봄 연예인괴과비슷)

    만약 한나라당의 나경원,원희룡과 겨룬다고 가정해보면 쉽게 알 수 있죠..

  • 5. BRBB
    '11.8.25 11:05 AM (222.117.xxx.34)

    그 케이스의 영어를 여기다 타이핑 해주시면 다른분들이 찾아보시기 좀 더 수월할것 같네요.
    병에 써있는 글씨가 보이면 좋겠는데, 안보여요~

  • 6. 강금실변호사님은
    '11.8.25 11:15 AM (123.214.xxx.114)

    어떨른지요.

  • 7. dd
    '11.8.25 11:22 AM (211.40.xxx.140)

    얼굴이야 알리면되고, 오히려 신선하게 좋을거 같아요. 특히 저쪽에서 나경원이 나온다면.

    전 한명숙보다 이계안에 한표

  • 8. ^^
    '11.8.25 3:58 PM (203.249.xxx.25)

    매번 대중성...그 논리에 의해 밀렸는데...
    제대로 홍보전략짜고, 정책과 능력, 준비된 시장이라는 이미지로 다가간다면...
    이 분 너무 아까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342 여중생 교복구두어디서 사요? 3 신밧드 2011/09/04 1,779
9341 그랜저 색깔 어떤게 좋을까요? 3 새차구입 2011/09/04 2,476
9340 이혼이란걸 자꾸 생각하게 되는 심정 4 없음 2011/09/04 3,195
9339 펌) 박승 전 한은총재가 이야기한 한국경제가 어려운 이유 ㅁㅁㅁ 2011/09/04 1,097
9338 이 상황에 추석에 가야할까요 15 ... 2011/09/04 2,574
9337 주방 저울 좀 추천해주세요.. 4 불량주부 2011/09/04 2,099
9336 추석질문 똘똘이 2011/09/03 692
9335 준공일이 입주 완료일이랑 같은가요? 2 2년된아파트.. 2011/09/03 2,886
9334 록시땅 핸드크림 질문이에요.. (면세점) 3 록시땅 2011/09/03 4,305
9333 친정엄마랑 연락 안한지 한달이 넘어가네요... 14 친정엄마 2011/09/03 11,400
9332 혹시 계음만필 번역본 있으신 분 도와주세요. 2 *** 2011/09/03 820
9331 부산에서 불꽃축제 보기 좋은 곳은 1 어디? 2011/09/03 1,498
9330 어느 수녀님이 올린 튓입니다. 2 참맛 2011/09/03 2,036
9329 여인의 향기.. 장면해석. 18 깜찌기펭 2011/09/03 2,849
9328 아이 보험이 궁금해요. 8 궁금이 2011/09/03 789
9327 박경철은 박근혜 팬. 19 박과박 2011/09/03 4,647
9326 여인의향기서 살짝 웃음이 12 2011/09/03 3,191
9325 현대카드 좋은가요? 5 ... 2011/09/03 1,951
9324 좋은 후라이팬 고르는방법???? 3 돼지엄마 2011/09/03 2,263
9323 탄허스님 예언인데 원전사고도 맞췄네요. 2 깜놀 2011/09/03 24,784
9322 추카해주세요^^ 2 의성자두 2011/09/03 850
9321 경험자만 읽어주세요] 미레나 질문 드려요... 5 ㅎ ㅗ ㅎ 2011/09/03 2,704
9320 아이폰으로 본문 내용 입력이 안되는데요...다들 그러신가요 4 잘될 2011/09/03 964
9319 또 들통난 곽노현의 거짓말 60 핑크 2011/09/03 6,286
9318 추석에 헷깔리는 아버님 계산법ㅠㅜ 10 마눌 2011/09/03 2,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