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문재인의 신념] 이제 진가가 나오네요

가로수길529 조회수 : 2,596
작성일 : 2018-04-29 08:10:23
1895년 12월 28일 뤼미에르 형제가 영화 ‘열차의 도착’을 상영했을 때 
확인되지 않은 소문에 의하면 관객들은 다가오는 열차에 놀라 몸을 숨겼다고 한다. 

그 만큼 충격적으로 다가온 50초짜리 영상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소동은 현대 영화의 기원이 됐다. 
처음 접한 것에 대한 호기심과 경외, 관객들은 몸을 가만 둘 수 없었다. 



2018년 4월27일 
2018 남북 정상회담 특별취재팀에 포함된 기자는 
도저히 한 줄 기사도 쓸 수 없던 시간이 있었다.   



오후4시41분. 

킨텍스에 마련된 대형 프레스센터 대형 영상판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4월의 따스한 햇살을 받으며 

천천히 판문점 도보다리 위를 걷고 있었다. 


그리고 도보다리 한켠에 마련된 벤치에 앉아 이야기를 나눴다. 

들리는 것은 새소리였고 보이는 것은 김 위원장의 표정, 그리고 문 대통령의 뒷모습과 손짓이었다. 



처음에는 가벼운 농이 오갔다. 

육중한 김 위원장이 돌아가기에 길이 가파른 것 아니냐, 사진·영상 취재단이 너무 영상을 가린다, 

실 없는 소리로 영상을 지켜봤다. 


5분, 10분 가볍게 환담으로 끝날 것 같던 숲속 벤치 회담은 10분, 20분을 넘어가기 시작했다. 


상기된 것 같았던 김 위원장의 표정도 진지해졌다. 때로는 웃음도 보였고 때로는 긴히 질문을 던졌다. 


새소리가 그득했지만 실제로는 무성영화였다. 


김 위원장의 표정에 오롯이 의지해 대화 내용을 추론해야 했다. 


환담이었을까, 대담이었을까, 소통이었을까. 노신사의 손짓과 젊은이의 표정, 


그리고 새소리로 구성된 30분의 불친절한 영화. 여기에 한반도의 미래가 담겼다. 


처음보는 호기심과 경외, 몸을 가만히 둘 수밖에 없었다. 



밀담이었지만 영상이 송출된 전세계에 이보다 뚜렷하게 메시지를 던질 수는 있는 방법은 달리 없었다. 

3000여 취재진이 몰렸던 메인프레스센터에 기자는 운 좋게 가운데쯤에 자리했다. 


그리고 기자의 오른편 쪽에는 외신들을 배려한 자리가 있었다. 


그들의 표정을 확인했다. 
우리 모두 새소리만을 들을 수 있을 뿐이었지만 받은 메시지는 동일했다. 



이 장면이 처음 준비에 돌입한 것은 지난해 7월6일이다. 

당시 기자는 2진으로 청와대에 출입하고 있었다. 


문 대통령을 따라 독일에 간 1진 선배를 보좌해 한국에서 퇴근 시간을 훌쩍 넘긴 늦은 오후 

투덜대며 기사 작성을 도왔다. 



예의 누구나 예상했던 ‘신 베를린 선언’으로 명명된 대북 메시지가 나왔다. 


당시 북한은 우리의 적십자회담과 군사회담에 반응조차 없던 때였다. 

40여일쯤 뒤 문 대통령은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또 대북 메시지를 내놨다. 



“한반도에서 또 다시 전쟁은 안 된다.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은 대한민국만이 결정할 수 있고 


누구도 대한민국의 동의 없이 군사행동을 결정할 수 없다.” 


높아지는 북핵 위기로 미국에서 ‘선제 타격론’이 뜨겁던 때였다. 


이에 대해서 확실하게 선을 그었던 발언이다. 


그리고 그해 12월20일 청와대 기자단이 황당해했던 미국 NBC 단독 인터뷰가 나왔다. 


문 대통령이 KTX 경강선 시승 행사중 대통령 전용고속열차에서 인터뷰를 통해 

올림픽 기간 중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연기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사실 황당한 것은 청와대 기자단만이 아니었다. 미국도 그랬다. 


기자가 외교·통일부로 출입처를 옮기고 나서 외교 소식통으로부터 당시 문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과 합의가 전혀 되지 않았었던 것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들었다. 


상대적으로 대화파였던 틸러슨 당시 국무장관 역시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을 보였던 바 있다.



전술한 세 가지 장면은 북한이 문 대통령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장면들이다. 


정권 교체 뒤 달라진 대북 전략을 공표했고, 전쟁의 가능성을 일축했으며, 그 실천적 방안으로 
한미 군사훈련의 연기·축소를 결단했다. 


핵무력 완성을 선언하고 경제발전이 시급하게 된 북한과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것이다. 


그렇게 힘들게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섭외’했다. 

그리고 어느 누구도 연출하지 못했던 배석자 없는 야외 오픈 밀담을 성사시켜냈다. 

대화 내용을 아는 사람은 전세계에 단 둘뿐이라는 점에서 이 영화는 아직까지도 ‘열린 결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윗대로 시간만이 답일(only time will tell)지도 모른다.



다만 2018년 4월 27일, 북측의 지도자가 처음으로 남측에 발을 디뎠던 때가 

1953년 정전 협정 이후 한반도에 전쟁이 터질 가능성이 가장 낮았던 날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한반도 평화를 위해 고군분투했던 문 대통령의 개인기다. 

2018년 한반도는 그에게 빚을 졌다.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IP : 219.255.xxx.20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가로수길529
    '18.4.29 8:12 AM (219.255.xxx.205)

    기레기들이 정신 차린건지...

    크게 바라지도 않고

    보통 상식선에서만 기사를 써도 칭찬 받을 텐데...



    http://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571126619180712&mediaCodeNo...

  • 2. 세계
    '18.4.29 8:21 AM (121.128.xxx.122)

    평화의 시작을 알리는 역사적인 날가지
    삼성의 눈갈이나 적폐의 눈으로 기사를 쓴다면
    사람이 아니겠지요.

  • 3. 이건 뭐
    '18.4.29 8:42 AM (66.249.xxx.177)

    요즘 눈물이 수시로 나네요..ㅠ

  • 4. 댓글 가능
    '18.4.29 8:54 AM (220.126.xxx.184)

    기사를 보니
    댓글 입력이 가능해요.~~
    몇개 없지만요..
    하트도 꾹꾹 눌렀어요.

  • 5. dd
    '18.4.29 9:23 AM (116.121.xxx.18)

    외신들도 비슷한 반응이었죠.
    한국 기레기들만 쓰레기일 뿐.
    아직도 정신줄 놓고 헛소리 짖어대는 기사 꽤 있어요.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가 상식적인 수준의 기사를 쓴 건데
    장충기 똘마니는 아닌갑다 싶어서 고맙네요.

  • 6. 가로수길529
    '18.4.29 9:33 AM (219.255.xxx.205)

    아 ~

    저도 가서 하트 꾹꾹하고 왔어요 ㅎㅎㅎ

  • 7. ㄱㄱ
    '18.4.29 10:36 AM (175.223.xxx.66)

    아 소름 전율 ㅠㅠ 이기사는 정말 칭찬하고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5934 이재명 "산업은행 이전 힘들다…해수부 꼭 부산으로 옮길.. 2 ... 16:43:11 305
1715933 김문수 미담은 찾으셨나요?? 2 하하호호 16:42:13 82
1715932 학창시절 어떤때 친구와 절친이세요? 1 친구 16:38:52 150
1715931 자궁경부암 항암 질문 항암 16:33:50 262
1715930 지판사 왜 허위사실 유포죄로 고소 안하는지? 4 ㅂㅂ 16:33:32 381
1715929 헐...황정음 이기사 보셨어요? 5 ........ 16:33:08 1,827
1715928 ai 패션다자인은 끝내주네요 ㅇㅇ 16:32:18 253
1715927 만기 보험금 수령시.. 2 .. 16:29:32 323
1715926 수준 낮은 외모 비하 글 좀 그만 봤으면 좋겠어요 8 ..... 16:27:15 275
1715925 윤석열 즉각 재구속 및 내란재판 전면공개 서명 요청 1 ㅡᆢㅡ 16:24:53 301
1715924 이진* 쇼호스트 13 16:20:54 1,179
1715923 아무리 그래도 영부인 얼굴이… 25 겨울 16:17:32 2,337
1715922 못걸으셔도 노인등급이 안나오네요 15 ㅇㅇㅇ 16:16:14 1,123
1715921 보험설계사수당 받으려면 얼마나 계약 유지해야하나요? 2 16:14:25 273
1715920 김문순대 "내가 국회의원 3번 했어!!" 13 동영상 16:09:45 644
1715919 안철수는 왜 정치를 할까요?? 11 ........ 16:08:03 686
1715918 나르끼 다분한 남편과 정리하기 2 정리를 잘하.. 16:07:06 581
1715917 이재명측, 기자협회 주최 TV합동 토론 일정 변경에 불참 통보….. 38 뭐든맘대로 16:06:16 1,461
1715916 요즘 핫한 귀여운 부장OO님 사진 궁금하신분 4 16:05:40 722
1715915 아이 초봉이 연 7000인데.. 12 정말 16:05:38 2,091
1715914 김문수 캠프 조직원이 윤석열 3 ... 16:03:45 663
1715913 친구 어머니가 거상 2번 하셨거든요. 15 ,, 16:02:34 2,696
1715912 다음주 제주도가는데 날씨ㅜㅜ 1 ㅡㅡ 15:56:07 545
1715911 스승의 날 이라고 일찍 하교 했네요. 2 고1 15:54:56 684
1715910 지금은 이재명, 변영주 감독 꺄아!! 11 모어 15:51:16 1,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