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글쎄
'25.9.10 12:09 AM
(122.32.xxx.106)
와익바이 환경이 버퍼링걸린다면요
앞으로 몇년이나 더 살수있을까요
지금도 붙복하면 번역이야 70프로 자연스럽잖아요
2. 갑갑한사람은
'25.9.10 12:13 AM
(59.7.xxx.113)
AI가 다 번역해주지만 실시간 아니잖아요. 또 실시간 우리말로 알려주는 더빙 놔두고 자막으로 보는 사람들 있잖아요. 많은 시간을 들여서 공부를 해야하는건 개인 사정이고.. 실시간으로 바로 소통할 수 있는게 가장 좋으니 필요에 따라 알아서 하지 않을까요.
다른 자질이 우수한 사람은 영어실력이 없어도 높은 몸값을 받겠지만 그러지 못한 보통사람은.. 영어실력이 필요할것 같은데요.
3. ..
'25.9.10 12:23 AM
(112.173.xxx.241)
-
삭제된댓글
기술 발전이 워낙 빠르니...
4. 그죠
'25.9.10 12:24 AM
(121.173.xxx.84)
무선이어폰만 끼고 있으면 실시간 통역해주겠죠
5. 글쎄요
'25.9.10 12:25 AM
(112.104.xxx.219)
약간 다른이야기지만
유투브에 사연읽어주는 거 번역도 아니고 그냥 사연 만들어 들려주는건데
단어사용에서
부자연스러운 게 얼마나 많은지 몰라요
AI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6. . . .
'25.9.10 12:25 AM
(124.53.xxx.198)
-
삭제된댓글
돈쓰는건 공부안해도 되고요.
돈버는건 공부 아주 많이 해야죠.
7. ......
'25.9.10 12:26 AM
(118.235.xxx.185)
웻윗님 올 초만해도요 그래도 AI가 우리한테 직접 영향끼치려면 멀었다고했는데 사람들 이미 직장에서 다 잘리고 있잖아요.
8. ...
'25.9.10 12:32 AM
(58.29.xxx.173)
지금 일러스트레이터들은 진짜 위기라고들 하거든요
동화책도 출판 마음만 먹으면 미드저니 같은걸로 그림삽화 너무 잘그려주고요
미국도 프로그래머들 일자리 많이줄었다고들 하고요, ai가 코딩을 너무 잘해서..
중저가 화장품 발색샷에 나오는 모델들(유명인들 말고) ai모델인데 말안하면 모르겠더라고요
이게 ai로 좀더 빨리 대체되는 직군이 있고 언어는 아무래도 그림쪽보다는 느리겠지만 워낙 변화속도가 빠르다보니 ..
9. 글세요
'25.9.10 12:36 AM
(121.190.xxx.74)
무역 관련 일 해서, 영어를 매일 사용하는데
ai를 보조로 써도, 본인이 모든 내용을 파악하고 결정해야 해요.
ai만 믿고 돈 주고 받을 수 없음..
게다가 커뮤니케이션.. 소통하고 중재하는데 ai 만 믿기에는 좀 ..
10. 글세요
'25.9.10 12:38 AM
(121.190.xxx.74)
근데 ai 잘 하긴 함~
빠릿한 대리급? 과장급 직원 보조로 둔 것 같아요.
ai는 경력없는 신입사원(취준생)과 경쟁할 듯
11. ..
'25.9.10 12:50 AM
(106.101.xxx.75)
-
삭제된댓글
발전 속도 보면
금방일 듯요
12. 일러스트
'25.9.10 12:54 AM
(125.178.xxx.170)
작가들이나 작업하는 회사원들 정말 비상일 듯요.
GPT에서 어찌나 잘
정교하게 만들어주던지 놀랐어요.
그래도 언어는 스스로 말하는 맛이 있죠.
13. 인공지능의
'25.9.10 1:02 AM
(121.173.xxx.84)
발전속도는 인간의 예상치보다 훨씬 더 빠르게 가고 있어요.
14. 솔직히
'25.9.10 1:03 A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큰 회사는 아니고 여러나라 해외관련 외국인이랑 일 하는데
컨퍼런스나 계약시 전문통역 외 일반업무 볼 때는, 일반 교육 수준정도로 해도 충분할 정도 a.i도움으로 인건비
세이브 많이 하고 있어요
통대학원 전문적 커리어 수준 아니면
언어 인재에 메리트 못느껴요
15. 솔직히
'25.9.10 1:06 AM
(1.222.xxx.117)
큰 회사는 아니고 여러나라 해외관련해서 외국인이랑 일 하는데, 컨퍼런스나 계약시 전문통역 외 일반업무 볼 때는 일반 교육 수준정도로 해도 충분할 정도 a.i도움으로 인건비
세이브 많이 하고 있어요.
언어는 통대학원 전문적 커리어 수준 아니면
언어 인재에 메리트 못느껴요.
그리고 제 회사가 작아서겠지만 인건비 부담스럽고
고용에 유연성 때문에 책임 져야 할 부담커서 안 뽑고
있구요
16. 379
'25.9.10 1:08 AM
(89.241.xxx.81)
언어는 정보 교환 뿐만 라니라
정서적 유대를 쌓는 기능도 해요.
모국어의 세계가 다가 아니구나 알게 되고요.
정신적 역량이 더 확장되는 거죠.
이걸 AI가 해주지는 못하는데
외국어 공부에서 너무너무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17. ....
'25.9.10 1:15 AM
(223.38.xxx.162)
이번에 조지아 배터리 공장에서 직원 포박하면서 영어 못하면 더 심하게 대했대요.
영어 못하면 문맹자 취급하는 세상이 올 것 같아요.
인도인들이 열공하는 분위기에 영어 잘해서 더 잘나가는 분위기. 세계적 기업의 고위직에 많아요.
유창한 영어 능통자와 번역기 갖고 다니는 사람은 이미 계층이 다르죠.
18. 름름이
'25.9.10 1:17 AM
(39.125.xxx.202)
실제로 요즘 영어책 출판물 더럽게 안나가는데 출판 업계에선 AI 때문이라고 분석한대요.
영어그림책 알려주고 학생 수순 요청하잖아요? 기가 막히게 워크시트 짜줘요. 저 주말에 듣는 수업에서 AI 라이팅 유료 10만짜리 들었는데 2짜까진 20. 라이팅 AI가 챗gpt나 제미나이만이 아니에요. 발전이 어마어마. 그 발전을 주도하는건 그리고 미국. 회고성찰이었나~ 사용자가 잘 주고받으면 사실 그냥 원어민 근사한 라이팅 튜터에요.
19. 유리
'25.9.10 1:52 AM
(124.5.xxx.146)
조지아 배터리 공장 이야기는 어이 없네요.
그래도 신분 적합하면 보내줬다는데요.
지금 변호사 업무도 AI가 2년차 어쏘 변호사 정도는 해요.
유학간 저희 아이 학교 서류도 저는 AI번역으로 읽고 있고
큰 도움 돼요. 아직 프로급은 아니지만 아마급은 충분함.
20. 저는
'25.9.10 2:42 AM
(74.75.xxx.126)
미국 대학에서 강의한 지 20년 넘었는데요, AI가 써주는 페이퍼는 보통 B-정도 수준이에요. 워크샵 여러 번 했는데 결과는 같았어요. 무난하지만 자기 주장이 없는, 숙제를 해냈으니 점수는 주지만 쓴 사람(?)도 읽는 사람도 지루한 다 아는 이야기 다시 반복하는 거요. 오리지널 퀄리티가 없어요. 그게 인간성의 본질이 아닐까 생각하게 되어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요상한 생각을 해내는 거요. 기계는 절대 못하는 짓.
21. 그 정도면
'25.9.10 2:49 AM
(124.5.xxx.146)
B-정도라도 낙제는 아니네요. 그 집단 평균 이상은 되지 않나요?
22. 네
'25.9.10 3:33 AM
(74.75.xxx.126)
하지만 B-로 통일된다면 인류가 발전할까요. A도 있고 C도 있어야지요.
23. 그건
'25.9.10 5:05 AM
(73.109.xxx.43)
ㄴ질문하는 학생이 에세이 컨텐츠를 지정하지 않고 요청해서 그래요
질문 퀄리티가 챗지피티 답변 퀄리티를 만드니까요
24. ..
'25.9.10 5:26 AM
(125.186.xxx.181)
제가 보기엔 의외로 끝까지 살아남는 영역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에요. 왜냐하면 몸짓, 눈짓,억양 등 비언어적 표현이 많은데다가 외국어학습의 목표가 정말 모호하게 원어민 화자에 가깝게 되는 거예요. 그리고 언어는 빠른 속도로 변하고 움직이는 것이어서 줄임말 신조어뿐만 아니라 말하는 방식도 마구 바뀌죠. 수많은 비언어적 표현을 포함한 맥락이나 표현스타일은 각사람의 손금만큼이나 다양해요. 그리고 이보다 더 중요한 건 스스로 말을 하며 소통할 때 느끼는 짜릿함이죠. 마치 식욕이나 수면욕처럼. Ai가 대신 먹고 배부른 느낌이나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없듯이 말이죠.
25. AI의 결정적단점
'25.9.10 5:44 AM
(59.7.xxx.113)
되새김질이 AI의 결정적 단점이고 빈도수가 높은 단어만 선택해서 학습하는 AI의 특성때문에 인간언어와의 차이가 드러나겠지요. 위의 덧글에서 지적하셨듯이 그럭저럭 내놓는 목적으로는 아주 유용하지만, 그 수준을 뛰어넘으려면 인간이 필요하고요.
26. ……
'25.9.10 6:24 AM
(210.223.xxx.229)
그냥 배우세요
직업으로 써먹곘다는 생각보다 내 삶의 영역을 조금 확장해준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생각하면 지금 할거없어요 ..몸쓰는일밖에..
내 귀로 들리는거라 ai통해 들리는거랑 어찌같나요
27. 미래
'25.9.10 9:40 AM
(58.123.xxx.22)
원글 동감하는데 그 시기와 환경은 상상초월로
빠르게 바뀔 듯해요. 언어뿐만아니라 인간의 영역을 넘어가는 일도
많을텐데 인간 정서와 교류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
28. 으음
'25.9.10 12:45 PM
(58.235.xxx.21)
지금처럼 올인할 필요가 없다는 말에 동감해요 과열되어있잖아요
지금도 해외여행정도는 통번역 어플로 어느정도 불편함 없긴하지요
근데 아는 언어로 한번 해보세요 진짜..... 아직은 이거 믿고 맡겨도되나싶긴해요
언어는 수단인데~ 언어 잘한다고 똑똑한것도 성공하는것도 아니지요
영어에 목숨걸 필요 없다고 봐요
저는 외국어전공이고 애는 초등학교 가서부터 영어 시켰어요~
29. ..
'25.9.10 4:28 PM
(121.174.xxx.225)
원글은 앞으로의 가능성을 얘기하고 있는데
현재 부족한 점 많으니 상관없다는 식은
너무 안일한 거 아닌가요?
ai발전 속도가 어마무시해요
지금 부족한 거 머지않아 다 커버될 거구요
신체에 탑재되는 번역기도 나올 거고
그럼 뭐 영어 능통자와 별 차이도 없죠
그리고
정서적 유대마저 ai가 가능하게 될지도 몰라요
지금도 챗지티피에게 위로공감받는 사람들 많던데
여기서 더 발전되면 진짜 인간과 큰 차이가 없을지도요
30. ..
'25.9.10 11:08 PM
(61.254.xxx.115)
아직은 아녜요.번역기가 엄청 이상하게 번역해주는 경우 많아요 그나마 한일 일한 한영 번역이 나은데 이것도 써보면 많이 부족합니다 아주 간단한 말만 번역 잘되지, 좀만 길게얘기하면 아예 번역 못해주더만요 해외 나가면 유럽만 나가도 우리나라처럼 LTE망이 촘촘이 잘되있는것도 아니라 데이터로 쓰는 번역기 켜지지도 않구요 글고 해외 친구나 애인이라도 사귀려면 아직까진 언어 해야되요 한마디 말할때마다 번역기 틀수도 없잖응.
31. ㅎㅎㅎ
'25.9.10 11:11 PM
(140.248.xxx.3)
네 다들 ai 번역기 믿고 영어공부 포기해 주세요
저는 열심히 해볼께요
32. Ai
'25.9.10 11:16 PM
(114.206.xxx.134)
Ai가 번역 영역 잘해주고 소통이 쉬워지니까 대면으로 영어할 일도 늘어나요. 전에는 외국인 업무로 만날 일 있으면 통역 붙였는데 이제 그렇게 하기 눈치 보여요. 아마 말하는 영어는 점점 더 중요해질 거예요.
33. 벌써
'25.9.10 11:22 PM
(211.234.xxx.175)
AI 아주 잘하고 있고
앞으로 더욱 그럴것임
뭐 그렇다고 공부를 안하진 않겠으나
보통은 불편없이 다즐 사용하고 소통가능할 듯
34. 아직은
'25.9.10 11:33 PM
(121.173.xxx.84)
인공지능이 아직은...이러는 분들 계신데요
올초만해도 아직은...이거였다니까요? 근데 사람들 다 짤렸다니까요 지금.
35. ...
'25.9.10 11:44 PM
(118.235.xxx.110)
인터넷 영문기사들 그냥 번역되는 것 보고 영어공부 안하길 잘 했다 싶더군요. 해외논문 번역해서 보고 영어로는 안 봐요. 한글로 보면 이해 속도가 빠르니까 영어보다는 번역본으로 많은 자료 보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36. 느끼기전에는
'25.9.10 11:56 PM
(14.53.xxx.70)
몰라요.
외국에 나가서 스마트폰에다 대고 한국말로 얘기해서
번역된 거 상대한테 보여주고 하는 식으로 의사소통하는거랑
내가 직접 영어로 자유롭게 얘기하면서 의사소통하는 게
천지차이라는 걸 느끼기 전에는 몰라요.
물론 상점이나 식당에서 물건 사고 메뉴 주문하는 거야 앱으로 해도 되겠죠.
패키지 여행만 다니실 분은 당연히 필요 없구요.
영화도 자막으로만 보실 분들도 역시 필요 없고...
근데 언어라는 게 원어로 느끼는 맛이 있어요. 이거는 근데 아무리 설명해도
본인이 경험하지 않으면 모릅니다.
37. 외국어는
'25.9.11 12:10 AM
(39.7.xxx.107)
하나의 수단이고 도구일뿐인데 어릴적부터 영어몰입교육이다 뭐다 해서 너무 시간을 많이 쏟아 붓게 한 측면이 있죠. 유학 해외생활 할 거 아님 그 시간에 더 창의적이고 의미있는 일을 하게 했어야 했는데.. 저 역시 30여년 후 AI 발달이 이렇게 이뤄질 줄 모르고 학교 때 voca 33000 죽어라 외우고 영어학원에 시간 돈 바친게 약간은 허무해지는..
38. ..
'25.9.11 12:10 AM
(106.101.xxx.27)
외국어는 그냥 수단일 뿐이죠
그 수단을 너무나도 용이하게 하게 만드는 게 ai고
이 인공지능은 지금도 빠르게 발전 중
앞으로 외국어 공부로 얻는 건
뭔가 대단한 커리어 보다는
그냥 자기 만족? 내 머리 써서 입밖으로 내는 즐거움
정도라고 봐요
39. ....
'25.9.11 12:24 AM
(121.133.xxx.149)
의사소통은 단순히 의미 전달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이 언어를 직접 구사하는 게 훨씬 메리트가 있는 건 분명해요.
제가 예전에 this is voice라는 책을 읽었는데,
사람이 자신의 목소리로 (톤, 억양 포함) 전달하는 요소들이 생각보다 얼마나 많은지.. 본인이 의사소통을 직접 하는 것과 AI 를 통해서 하는 건 다를 수 밖에 없어요, 물론 AI 덕분에 외국어를 못해도 활동 반경은 넓어지고 훨씬 편리해지겠지만,
외국어를 공부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건.. 외국어를 못하거나 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믿고 싶은 주장일 뿐
40. ...
'25.9.11 12:28 AM
(121.133.xxx.149)
언어라는 게 읽고 쓰거나. 혹은 학술적, 업무적 용도로만 쓰이는 게 아니니까요
41. ㅇㅇ
'25.9.11 12:31 AM
(112.173.xxx.241)
외국어 습득하는 데에 쏟는 에너지,시간,돈 엄청나죠.
현재로선 외국어 능력으로 얻는 게 크겠지만
앞으로는 과연? 싶네요.
아마 노력 대비 얻는 걸 따져봤을 때
그리 큰 이득은 아닐 듯
42. ㄱ
'25.9.11 12:51 AM
(106.101.xxx.156)
ai가 무서운게
인간의 노력, 능력을 무용하게 만들어요
근미래까지는 외국어 능력이 쓸모없다거나 무가치하게
될거같진 않지만
분명 그 노력과 능력의 가치를 많이 깎아먹을거예요
사람 참 무기력하게 만들죠
언어는 그런 사례 중 하나일뿐이고
당장에 기업들도 ai돌린다고 채용도 안하고
직원도 줄이고 있어요
43. 음
'25.9.11 1:02 AM
(136.52.xxx.224)
오픈AI, 테슬라 출신의 ai엔지니어가
최고의 프로그래밍언어는 영어라고
44. ..
'25.9.11 1:29 AM
(106.101.xxx.136)
영어로 일상 대화, 업무용 대화
다 AI로 가능해질 거예요
지금 개발 방향, 속도로 보면
언어장벽이 없어진대요
생각보다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 거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