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친정 부모님 돌아가시면 결혼한 딸도 부주 해야 하나요..?

친정 조회수 : 7,513
작성일 : 2010-09-18 17:10:59
명절이 가까와 져서 이런저런글 읽다가 갑자기 생각이 났는데요.
아버지는 결혼 존에 돌아가시고
몆년전에 큰 오빠가 먼저 갔어요.
그때는 부주도 하고 그랬는데
요즘 친정 엄마가 건강이 안 좋아서 은근 걱정이 됩니다.
친정엄마가 돌아가시면 딸도 부주 하나요.,.?
IP : 119.67.xxx.89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상주
    '10.9.18 5:12 PM (218.37.xxx.247)

    상주는 부주안해도 됩니다.... 부주들어오는거 관리해야할 입장이죠

  • 2. .
    '10.9.18 5:14 PM (221.148.xxx.75)

    안 하셔도 됩니다. 당연히....

  • 3. ...
    '10.9.18 5:15 PM (123.109.xxx.45)

    상주시구요
    장례비용 같이 감당하시는거죠 . 부조, 도와주는게아니구요
    원글님과 남편분께 문상온분들 부조 받는 입장이 됩니다

  • 4. 원글
    '10.9.18 5:17 PM (119.67.xxx.89)

    그렇군요.
    큰오빠때는 49제때 부주를 또 했거든요.
    안해도 된다니..없는 형편에 안도감은 드는데
    혹시 큰 올케가 뒷담화는 안할지 벌써 걱정이 되네요..

  • 5. ..
    '10.9.18 5:20 PM (211.199.xxx.219)

    오빠때는 부주 하는게 맞아요..원글님이 상주가 아니거든요...배우자와 자식들이 상주죠.49제때도 따로 하는게 맞답니다.

  • 6. ..
    '10.9.18 5:37 PM (121.181.xxx.21)

    원글님이 하시면 오빠도 하는겁니다..

  • 7. .
    '10.9.18 5:54 PM (111.65.xxx.81)

    9년 전 어머니 돌아가셨을때 저희는 형제자매들이 다 부조했어요.
    그런데 오빠가 장례식 후 다 정산해서 돈이 얼마 남았다 했구요.
    손님이 많이 온 형제에게는 200,
    손님이 조금 적었던 형제에게는 100씩 나눠줬어요.

  • 8. 글쎄요..
    '10.9.18 6:01 PM (175.112.xxx.210)

    지방마다 다른가요? 결혼한 딸은 사위가 부주를 하는걸로 알아요 그러니 딸도 부주를 하는셈이죠 저희 시어머님 돌아가셨을때 시누이 둘 따로 부주했어요..

  • 9. 딴지
    '10.9.18 6:12 PM (59.6.xxx.17)

    아니고...
    부주가 부조가 아닌가요?
    다른데서도 다들 부주 그렇게 쓰시더라구요.
    근데 저는 부조를 알고 있는데.....

  • 10.
    '10.9.18 6:14 PM (125.176.xxx.177)

    아들은 안해도 사위는 부조 하던데요. 저희는 전북입니다.
    얼마전 시아버님 돌아가셨을때 사위는 부조했습니다. 그리고 장례후 아주버님꼐서 고생했다고 딸과 사위, 며느리 다 100만원씩 주시고 나머지는 시어머님꼐 드렸어요.

  • 11. .
    '10.9.18 6:16 PM (111.65.xxx.81)

    부주가 아니고 부조죠.
    손주가 아니고 손자구요.
    어떤 분은 이런 것을 서울사투리라고 하더군요.

  • 12. 오잉
    '10.9.18 6:18 PM (218.37.xxx.247)

    사위가 부조하는 집들은 그럼 며느리들도 하나요?
    별요상한 풍습이 다있네요

  • 13. 사위는
    '10.9.18 6:32 PM (175.112.xxx.210)

    손님입니다 아직까지 우리네 정서엔..그래서 처가 초상에는 사위들 부조하는거라 하네요..며느리는 자식이라서 부조 안합니다 아들들은 부조안하고 사위는하고..사위앞으로 들어오는 부조는 상주가 알아서 챙겨주기도 하고 그런다지요..

  • 14. 충청도
    '10.9.18 9:52 PM (115.23.xxx.27)

    제 고향은 충청도 인데 시아버님 돌아가셨을 때
    시누이들이 부조금 낸 것 알고 깜짝 놀랐어요.
    나중에 그대로 다 돌려 드리고
    시누이들 앞으로 들어온 돈은 다 챙겨서 드렸어요.
    고생했다고 몇 백 더 얹어서 드렸어요.

    시아버님 얼마 안되는 재산 저희(남편은 외아들) 앞으로 해 주셔서
    시누이들 차 한대씩(2000만원 정도짜리) 뽑아줬어요. 우리가 손해~ㅠㅠ

    저와 남편 앞으로 워낙 엄청나게 들어와서
    장례비는 아들인 저희가 감당 했구요.
    남은 돈(몇천만원 됩니다)은 시어머님 이름으로 통장 만들어 드렸어요.
    늘 까다롭고 시어머니와 말많던 시누이들, 그리고 남편까지
    완전 감동 먹고 조용해지더라구요.
    4년 정도 됐어요.
    돈 고생이 낫지 맘고생 안하고 싶어서
    제가 억지좀 썼습니다.ㅎ




    근데 전 친정아버지 돌아가셨을 때 안냈거든요.
    지방마다 풍습이 아니고
    가정마다 가풍인 듯 합니다.

  • 15. 전라도
    '10.9.19 1:06 PM (121.136.xxx.18)

    친정 할아버지 돌아가셨을때 고모부들께서 부조 하시던걸요.. 고모부 연세가 80이셨음..

  • 16. ..
    '10.9.19 1:18 PM (110.14.xxx.164)

    아들상주는 부조를 하는게 아니라 비용이 모자라면 더 내고 해야 지요
    근데 딸은 경우가 다르더군요 사위가 부조를 하는걸로 압니다
    딸은 비용분담을 안하기 때문인거 같아요

  • 17. ..
    '10.9.19 1:20 PM (110.14.xxx.164)

    그리고 대신 갈때 차비 하시라고 어느정도 돌려드렸어요
    형식상 그런거 같아요

  • 18. 부조가아니라
    '10.9.19 2:52 PM (124.49.xxx.174)

    조의금 아닌가요?
    사위도 자식이라서 딸대신 상주역할 하던데요..

  • 19. 다른분
    '10.9.19 4:23 PM (122.128.xxx.112)

    댓글은 안읽었는데 제가 작년에 똑같은 내용을 올렸어요.
    울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 친정엄마가 부조를 하더라구요. 이모들도 다.
    저는 그게 이해가 안갔거든요. 외삼촌이 둘인데 외삼촌은 부조를 안하고요
    요즘 세상에 딸도 상주이름에 들어가는데 왜 그럴까. 했는데.

    여기 게시판에 물어봤더니 몇분이 답변을 해주셨네요. 우리나라 전통상 부조문제는 남자위주로 가야 한답니다. 그러니까 저희 엄마가 부조한게 아니라 우리 아빠가 장모한테 부조한거랍니다.

    그래서 저도 이해를 나름대로 했네요. 집안마다 좀 틀린데. 제 친정엄마쪽은 충청도거든요. 충청북도.
    그쪽은 그렇게 하나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8121 일산 소형전세 아파트추천해 주실분^^* 일산살고파 2011/02/08 302
578120 티아라 은정만큼만 생기면 소원이 없겠어요!(연옌얘기싫으신분 죄송) 5 ㅇㄻ 2011/02/08 967
578119 기타에 뒤늦게 빠진 아줌마... 4 ,,, 2011/02/08 822
578118 냄새나는 치킨 종류는 닭이 신선하지 않아서 그런건가요? 2 2011/02/08 513
578117 고등학교올라가는아이 스마트폰사줘도 되나요? 15 예비고맘 2011/02/08 1,170
578116 자꾸 비교하는 마음으로 괴로운 저에게.. 6 비교는 싫어.. 2011/02/08 769
578115 금리가 오른다는 말이 있던데 3 금리 2011/02/08 1,168
578114 임신인것 같아요 3 40 2011/02/08 719
578113 2011년 2월 8일자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1 세우실 2011/02/08 130
578112 새마을호 기차에서 4명이 마주 앉게 의자를 뒤로 돌릴 수 있나요? 2 장항선 2011/02/08 507
578111 몰라서 여쭈어요... 1 전세맘 2011/02/08 201
578110 축소판 노트북 같은거 뭐가 좋을지요, . 2011/02/08 133
578109 보습, 탄력, 미백, 영양... 이 중에 뭐가 가장 중요할까요??? 9 엉엉 2011/02/08 1,262
578108 급해요)) 해외 직구 비타민 살 때요~~~ 2 답변 절실... 2011/02/08 431
578107 강남 소형 오피스텔 매매 요즘 어떤가요? 1 궁금 2011/02/08 515
578106 용인지역 평준화 6 평준화 2011/02/08 823
578105 시어머니는 엄살공주 5 휘리릭 2011/02/08 888
578104 딴나라 구제역대책특위 위원장, 누군지 아세요? 4 코메디 2011/02/08 600
578103 태국-푸켓이 궁금합니다. 12 태국여행 2011/02/08 1,129
578102 남자애들 옷은 정장류를 준비해주나요? 4 대학새내기 2011/02/08 399
578101 딸아이가 고데기 고데기노래를 부르는데..추천부탁드려요. 3 잘몰라요 2011/02/08 622
578100 공항 라운지이용법 2 아들셋 2011/02/08 585
578099 변호사 선임에 대하여 2 변호사 선임.. 2011/02/08 356
578098 폭탄맞은집 정리하는법~~고수님들~~~ 12 두서가 없어.. 2011/02/08 2,705
578097 영문법원정대..8살 아이에게 괜찮을까요? 2 학습만화 2011/02/08 423
578096 마미떼...22cm 15 코스코 2011/02/08 1,174
578095 2월 8일자 경향,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프레시안, 미디어오늘 만평 1 세우실 2011/02/08 136
578094 빽빽이 이야기...종결편 2 빽빽이 엄마.. 2011/02/08 584
578093 하체 비만인 딸 마리 프랑스가 나을까요, 한의원 침이 나을까요? 6 무수리 엄마.. 2011/02/08 1,214
578092 정형외과 5 도움요청 2011/02/08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