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일식에서 "오차" 가 뭔가요?

.. 조회수 : 1,192
작성일 : 2010-02-03 11:16:09
일식집에서 오차  라는게

뭔가요?

그냥 녹차같은 차를 말하는건지..
아님 초밥먹을때 나오는 옅은 된장국을 말하는 건가요?

무식이 철철...ㅎㅎㅎ
IP : 211.111.xxx.3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2.3 11:18 AM (59.10.xxx.80)

    차를 말하는거고...앞에 붙은 오는 관사같은건데,,,
    일본사라들 음식앞에 오 많이 붙여서 부르던데요
    암튼 된장국운 미소시루고..오차=차 입니다

  • 2. 어릴적
    '10.2.3 11:21 AM (119.199.xxx.237)

    결명자나 보리차를 오차라고 부르더군요.
    아닌가? 아닐수도....

  • 3. ..
    '10.2.3 11:23 AM (211.111.xxx.37)

    네.. 감사합니다^^
    역시 82분들이 좋아요..ㅋㅋ

  • 4. ..
    '10.2.3 11:26 AM (114.207.xxx.16)

    저도 .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배웠어요.
    일어에는 뭔가 높힐 말, 공손하게 할 말에 '오'자를 붙인다고요.

  • 5.
    '10.2.3 11:26 AM (218.38.xxx.130)

    당연히 정답이 달려있을 줄 알고 뒤늦게 열어봤는데
    오차즈케 라고 찻물(녹차)에 밥 말아먹는 거예요 ^^;
    그걸 줄여서 말하는 게 아닐까요.

  • 6. ^^
    '10.2.3 11:31 AM (124.51.xxx.224)

    찬밥에 차가운 차 부어서 먹음 진짜 맛있어요. 장아찌랑 같이요.
    흠...
    다이어트 해야되는데 물에 밥만 말아도 맛있다는 헛소리나 하고 있네요. 죄송합니다.^^;;

  • 7. ..
    '10.2.3 11:58 AM (112.144.xxx.51)

    오차란 차가 따로 있는것이 아니라 손님에게 정중하게 대접하는차를 말합니다
    이런 말에서도 일본이 보이는것 같아요 기모노에 무릎꿇고 앉아서~~

  • 8. -
    '10.2.3 12:52 PM (121.151.xxx.54)

    오차는 그냥 차를 말하구요. 녹차든 뭐든 우려내서 마시는 차들을 말하는거에요.
    보통 '오'는 높임을 뜻하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오차같은 경우는 꼭 높임이라기 보다는 관용적으로 오차라고 쓰이는 것 같아요.
    위에 자신의 이름을 오나마에라고 한다고 하셨는데 자신에게는 높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는 상대방을 높여주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자신과 자신의 가족등은 높임을 사용해서 말하지 않아요.
    자신을 소개할 때 우리나라의 "~씨"와 같은 "~상"을 붙이지 않는 것처럼요.
    상대방이 자신보다 아랫사람이라면 그냥 오를 붙이지 않아도 되지만 자신의 교양이랄까 그냥 겸손하게 말하기 위해 오를 붙이는 경우가 많죠.
    그리고 오차즈케는 밥에 오차를 부어 고명같은 걸 얹어 먹는 일품요리로 오차는 오차이고 오차즈케는 오차즈케입니다.

  • 9. 현미차
    '10.2.3 1:12 PM (123.212.xxx.37)

    http://www.oisii.co.kr/order/pd_view.asp?pd_number=1000149

    일식집에서 사용하는 오차입니다. 한마디로 현미차입니다.

  • 10. 어릴때
    '10.2.3 3:31 PM (124.49.xxx.81)

    오차물이라고 했어요...끓인 식수... 주로 보리차를 말했어요...일본말...

  • 11. 그냥 '차'
    '10.2.3 4:14 PM (121.159.xxx.24)

    위에 많은 분들이 댓글 달아 주셨듯이 그냥 '차'예요.
    굳이 따지자면 차나무 잎으로 만든 차에 대해 존칭의 의미인 '오'를 붙인 것으로
    차가 가진 상징적인 의미때문에 '굳이' 붙여 준거예요.
    우리 나라에서도 다른 식기들과는 차별되게 차, 찻물을 달이는 기물인 주전자에 '子'자를 쓰는것이 차에 대한 존중의 의미 때문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고요.
    여담인데..
    우리 나라의 '차' 역시도 커피나 코코아, 홍차처럼 피 눈물 서려있는 역사와 과거를 가진 음식입니다.

  • 12. 오차와 오차즈케
    '10.2.3 4:22 PM (218.39.xxx.70)

    는 다릅니다.
    오차는 그냥 차이고 오차즈케는 음식의 일종이에요.
    경상도 일부지역에서는 보리차를 오차라고 부릅니다.
    일본어의 잔재죠.

    그리고 '오'가 높임말은 맞는데
    와따시노 오나마에(내 이름)은 쓰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높이진 않으니까요.
    그냥 와따시노 나마에입니다.
    당신의 이름은? 하고 물을 때는
    당연히 아나따노 오나마에 라고 높여야겠죠.

  • 13. 나마에
    '10.2.3 6:57 PM (59.19.xxx.50)

    저도 저 윗분 오나마에 와따시노에는 잘못 쓰셨다고 쓸려고 했는데 다른 두 분께서 이미 지적해주셨네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4127 삼풍아파트 전세 어떨까요?(서초구전세) 8 전세집 2008/10/14 1,389
414126 피곤한 친정엄마의 성격.. 10 지칩니다. 2008/10/14 1,927
414125 원글 삭제합니다. 31 며느리.. 2008/10/14 1,808
414124 삼화금속 무쇠솥 쓰시는분 계신가요? 무쇠가좋아져.. 2008/10/14 411
414123 적금 다시들기 어떨까요 2 적금 2008/10/14 561
414122 한반도 대운하 재단이 생겼답니다. 12 .. 2008/10/14 652
414121 전주 상산고 입학 관련 10 정보좀 주세.. 2008/10/14 1,423
414120 이사준비중--가구고민..센스없음..ㅠㅠ 15 머리 김나~.. 2008/10/14 1,063
414119 중국으로수학여행가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4 고1엄마 2008/10/14 240
414118 ‘美쇠고기 잘팔린다더니’ 업계 줄도산 위기 23 고소하다 2008/10/14 1,169
414117 북한의 테러지원국 해제와 KAL858기의 추억 - 이철우 전 국회의원 1 유리성 2008/10/14 199
414116 알로에와 쌀겨 섞어서 팩했거든요.. 그런데.. ㅠㅠ 7 책벌레 2008/10/14 1,017
414115 대우/삼성/엘지..통돌이 세탁기 모가 좋을까요.. 18 콕 찝어주세.. 2008/10/14 1,035
414114 저 오늘 너무 행복해요.. 24 염장 만땅 2008/10/14 5,564
414113 돈 버는 방법 10 조심조심 2008/10/14 2,082
414112 반포대교 분수 애물단지 '전락'… 혈세낭비 우려 10 시행착오 2008/10/14 641
414111 스콧 버거슨의 '맥시멈 코리아' 중 커피에 관한 에피소드 6 ... 2008/10/14 589
414110 딸셋이면 어떤가요?? 17 심란 2008/10/14 3,472
414109 수협 ‘하나님의 깊은 사랑…’ 광고 논란 4 홧병말기 2008/10/14 577
414108 임신한것같은데 산부인과는 꼭 남편이랑 같이 가는게 좋나요? 12 go 2008/10/14 645
414107 속초로 해서 정선까지 갑니다~ 7 우리같이가요.. 2008/10/14 628
414106 아오리 사과요 사과 2008/10/14 198
414105 아~` 전 왜 싫은 소릴 못할까요??? 5 애기엄마 2008/10/14 645
414104 국감에서 유모차부대맘에게 소리지르던 장제원의원 30 홧병말기 2008/10/14 1,422
414103 경주에 맛있는 집 알려주세요 9 레이디 2008/10/14 672
414102 주선 사례비를 받은경우 축의금은 얼마나 해야할까요? 4 주선자 2008/10/14 1,137
414101 나올건 다 나왔다.. 1 모닝커피 2008/10/14 737
414100 블로그 되나요? 2 네이버 2008/10/14 265
414099 축하해주세요.. 1 82종착역 2008/10/14 360
414098 4인가족 인데 압력밥솥 몇인용이 좋을까요? 5 밥솥 2008/10/14 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