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암 치료 중에는 고기 많이 먹으라네요.

인식전환 조회수 : 3,023
작성일 : 2009-11-24 18:55:25

잘못 알려진 부분이 많죠, 특히 암환자의 식습관이나 민간요법 등...
항암치료 중에는 고단백, 고열량으로...!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389476.html
IP : 58.122.xxx.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인식전환
    '09.11.24 6:55 PM (58.122.xxx.2)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389476.html

  • 2. 쓰리원
    '09.11.24 7:02 PM (116.32.xxx.72)

    항암치료는 굉장히 많은 에너지를 요구해요.
    따라서 암 예방차원에서는 채소가 좋지만,
    항암을 하시는 암환우분들은 고단백을 섭취하셔야 해요.

    암에 걸리고 나서 채식만 고집하다간 체력이 바닥나서 항암할때 면역력(백혈구나 혈소판)
    아주 바닥으로 떨어집니다.

  • 3. 정보의 홍수속에서
    '09.11.24 7:21 PM (118.219.xxx.20)

    무엇이 맞나 자기 몸에 생채 실험해보려면 많은 위험이 따릅니다..특히 암환자에게는요..
    어떤 암환자는 고단백인 흑염소, 뱀탕 등등을 먹고 살아난 경우도 있지만..한달안에 죽어버리는 암환자도 있답니다..암세포가 좋아하는 영양소가 고단백이라 하네요..
    왜 죽는 사람도 있고 사는 사람도 있느냐..그건 개개인 몸의 효율이라고 하네요..
    약해진 몸에 고단백음식을 소화흡수못시켜 그 음식때문에 죽는 암환자도 있으며,
    몸의 소화효율이 좋아 먹고 건강하게 살아난 사람도 있구요..
    즉, 고단백 음식이 아무에게나 통하는 방법이 아니라는것입니다..
    대체의학을 하는 어느 곳에서는 암환자에게 고단백 음식을 먹이며 깊은 산을 하루종일 걷게 하는곳도 있어요..이런식으로 고단백 음식을 소화흡수시켜 영양분으로 바꾸려구요..
    그러나 침상에 힘없이 누워 받아먹는 고단백 음식은 환자에게 독이 된답니다...

  • 4. 암세포는
    '09.11.24 7:29 PM (118.217.xxx.173)

    다른 세균처럼 외부 물질이 아니라 그냥 내세포와 같은 세포죠
    다만 비정상적으로 증식해서 정상기능을 마비시켜버리는,,
    고단백이 암세포를 죽이는 항암치료시에 버티는 힘으로 작용할수도 있고
    몸자체의기능을 유지하는 항상성 유지에 쓰일수도 있고
    아니면 고단백이 인체 구성 세포인 암세포를 무럭무럭 키우는데 쓰일수도 있고
    암세포라고 다 같은 암세포도 아니고 ,,,
    어쨋든 항암치료시엔 체력이 필수죠

  • 5. 신문칼럼에
    '09.11.24 9:44 PM (118.42.xxx.249)

    의사인데 본인도 암수술 여러번 하신분도 그렇게 쓰셨더라구요..고기많이먹고 체력을 길러야 수술도 견딘다고요...

  • 6. jk
    '09.11.24 9:50 PM (115.138.xxx.245)

    정보의 홍수속에서님

    님 알고 떠드시는건가요?

    흑염소 뱀탕이 무슨 고단백입니까? 쓰잘데기 없는 보양식들이지..
    일반적인 고기와 생선 어패류등으로 충분합니다.

    음식때문에 죽는 암환자 없습니다.

    의사가 말하고 연구결과로 뒷받침되면 그냥 "네 알겠습니다" 하면 될 것이지
    도대체 무슨 근거로 고단백 음식을 암환자에게 나쁘다고 말하는건지..

    어이가 가출하심...

    침상에 힘없이 누워서 음식 받아먹는 환자들에게도 고단백 영양식은 필수적입니다.
    그래야 병과 싸울 힘을 내죠.

  • 7. 지나가다보니
    '09.11.24 11:03 PM (121.153.xxx.136)

    jk님 표현이 좀 과하네요.

    누구의 말에나 다 일리가 있습니다.
    사람 몸 속의 세포 하나가 우주라는데 어느 하나의 이론, 하나의 생각만 맞겠습니까?
    전 맹목적인 자연치유법도 다 안믿지만, 현대의학도 맹신 안합니다.
    감기 하나도 정복은 커녕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는 의학인데 하물며 암이랴....

    음식 때문에 죽는 암환자 없다는 것, 누가 보증합니까?
    먹을거리가 곧 우리몸입니다.

    의사가 말하고 연구결과로 뒷받침되면 그냥 "네 알겠습니다" 하면 될 것이지
    도대체 무슨 근거로 고단백 음식을 암환자에게 나쁘다고 말하는건지..

    --> 오버도 이런 오버가 없네요.

  • 8. 지나가다2
    '09.11.24 11:19 PM (59.7.xxx.225)

    jk님!
    정말 말씀 한번 거치시네요
    알고 떠드냐니요
    님은 그렇게 다아 아시는지요

  • 9. jk님이 말씀하시면
    '09.11.24 11:32 PM (211.109.xxx.223)

    그냥 "네 알겠습니다" 해야 하는 분위기네요.

  • 10. .
    '09.11.24 11:46 PM (220.118.xxx.24)

    jk 그렇게 오만떨더니,
    언젠가는 욕먹을줄 알았다

  • 11. ..........
    '09.11.24 11:51 PM (59.86.xxx.42)

    jk님..

    평소에 님 글 좋아하는 편이예요.
    몰랐던 지식 같은 것도 알게 되고, 와 이런 것도 있구나..이런거요.

    어떤때는 님이 부럽기도 할 때도 있었죠.

    근데 가끔 가시돋힌 답글보면
    정 떨어지기도 합니다.

    님이 너무나 당연하게 아시는 거 다른 사람이 모를 수도 있어요.

    그리고 오늘의 과학적 진리가
    내일 다른 과학적 발견으로 그 진리가 오류였다는 선례도 종종 있는데

    그동안 너무 당연하다는 듯한 오만함으로
    다른 사람에게 상처 주는 일......있었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내가 아는 건 그게 아닌데 싶어도..
    그냥 넘어가 주는 게 좋을 때도 있답니다..

  • 12. 정보의 홍수..님
    '09.11.25 1:14 AM (124.56.xxx.125)

    덕분에 단백질 섭취에 대해 하나 더 알게되어 감사드립니다.
    일리가 있는 말씀이시네요.

  • 13. 단백질...
    '09.11.25 1:46 AM (207.252.xxx.132)

    제가 예전에 이름만 대면 알던 유명한 의사선생님과 일을 했었습니다.
    그분 말씀이 간암의 경우는 빨간 고기를 먹으면 암세포가 빨리 자란다고 자제하라고 했습니다.
    물론 연구논문에도 발표된 이야기라고...
    아마도 철분때문인거 같은데...닭고기 같은 하얀고기는 괜찮다고 하셨구요.

    그나 저나,,jk라는 분 말하는게 참 싸가지가 없네요.
    혼자 잘났구먼.

  • 14. 정보의 홍수속에서
    '09.11.25 8:09 AM (118.219.xxx.20)

    저 위 JK님 님도 예의없이 말했으니 저도 예의없이 얘기하겠슴다..
    흑염소, 뱀탕이 고단백이 아니면 저단백이랍니까..무식하면 말을 하지 마세요..
    보양식 음식이 바로 고단백입니다..이 무식이 철철 흐르는 양반아..
    미련하면 말을 말지..서점에 가서 건강관련 서적 몇개만 읽어봐도
    님이 얼마나 웃기는 소리를 했는지 부끄러워 말도 못할꺼랍니다..
    정말 별 미친사람을 다 봤네요..
    왠간해서 이리 재수없게 말하긴 힘들텐데..
    님 캐릭터도 참 웃기네요..

  • 15. 다시 윗글에 이어서
    '09.11.25 8:14 AM (118.219.xxx.20)

    흑염소, 뱀탕, 장어즙, 붕어즙, 미꾸라지즙 등등이 고단백일줄도 모르면서 그동안 자게에서
    본인 아이디 이름걸고 잘난척했단말입니까..
    이런 보양식을 먹는 이유가 고단백을 섭취하기 위함이었음을 정녕 모르고
    저리 지껄인답니까..
    허걱 정말 웃겨서 말이 안나오네요..

  • 16. jk님
    '09.11.25 8:56 AM (119.70.xxx.62)

    표현이 너무 거치시네요. 혹시 남자인가요? 남자분이라면 주부들이 이용하는 싸이트에서 예의없이 행동하지마시길...

  • 17. jk
    '09.11.25 3:53 PM (115.138.xxx.245)

    흑염소, 뱀탕, 장어즙, 붕어즙, 미꾸라지즙 등등이 고단백이라고 하시는데...

    그네들은 그냥 우려낸 탕과 즙에 불과합니다.

    단백질 함량 자체는 국물이 아닌 건더기에 있고 오히려 저렇게 우려낸것들은 환자는 건더기는 먹지 않고 국물만 먹거나 국물에 밥말아서 겨우 몇술 뜨고 맙니다.

    그렇기에 오히려 단백질 함량은 더 낮습니다. 아시겠습니까?
    그리고 대부분의 고기 종류는 흑염소건 뱀이건 장어이건 붕어이건 단백질 함량 자체는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문제는 지방의 함유량이 차이가 있지요. 100그람당 단백질 함류량 자체는 구하기 쉬운 닭가슴살이 더 높습니다.

    국물이나 탕류는 주성분이 물이라는걸 까먹지 마시기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2809 금강 1 헐~ 2009/11/24 491
502808 군복무 단축 논란, '단축기간' 6개월서 2개월로? 1 세우실 2009/11/24 275
502807 케이비에스 사장님 .. 넌 불륜..난 로맨스..이런 얘기인가요 3 넌 불륜.... 2009/11/24 1,998
502806 시집가기전 어머니께 화장대와 서랍장을 사드리려고해요... 3 2009/11/24 438
502805 신종플루환진 판정후 검사비용 50%환급은 어디서? 5 신플확진후 2009/11/24 1,990
502804 어이, 상고 출신 대답해 봐 (펌) 16 음~~ 2009/11/24 1,567
502803 버섯따는 이야기.. 2 이야기 2009/11/24 289
502802 32개월 아이가 반항을 해요.. 6 이것이 삶인.. 2009/11/24 644
502801 오른쪽 턱 밑에 작은 혹이 만져져요... 1 3학년7반 2009/11/24 1,099
502800 실크테라피 남대문에서 얼마인가요? 2 남대문 2009/11/24 592
502799 갈치젓갈 달이는 방법(물의양, 불조절 등등) 알려주세요~ 5 김장해야는데.. 2009/11/24 898
502798 왜 남의 것을 탐내는지... 3 도둑 기승 2009/11/24 647
502797 생로병사.야채수프 드셔보신분..? 5 ... 2009/11/24 1,480
502796 본체분리미니튀김기 어떨까요? 알려주세요 2009/11/24 261
502795 교내 수학 경시는 어떤 문제집으로 준비 해야 하는지요? 2 경시? 2009/11/24 580
502794 올해 사법고시 면접 탈락생이 22명이라는데.. 5 사법고시 2009/11/24 1,500
502793 공공기관 3개월 계약직, 연말 정산 하나요? 6 세금 2009/11/24 996
502792 집에서 라떼 만들어 드시는 분들께 질문드려요. 9 커피한잔 2009/11/24 1,583
502791 약을 놓아 길고양이를 죽인다네요 16 걱정... 2009/11/24 856
502790 어제 뉴스에서 학생이 학생을 체벌하게 한 교사 7 미친 2009/11/24 685
502789 그릇깨지는 꿈은? 2 2009/11/24 3,547
502788 돌솥밥에 맛있게 밥짓는 법좀 알려주세요. 3 돌솥밥 2009/11/24 351
502787 일본어 하시는 분 계시면 일본어 문장 3개만 해석 부탁드려요..^^ 4 일어 2009/11/24 438
502786 봉하 오리쌀 우렁이쌀이 잘 안팔린대요ㅠㅠ 36 어떻해요 2009/11/24 2,290
502785 저는 나이 먹어도 익은김치 보다 생김치가 더 좋네요~ 8 2009/11/24 664
502784 '주일성수'에 대한 불편한 진실 2 주일 2009/11/24 644
502783 원정출산이 좋은점이 많다면 누구나 하고싶지요. 2 그게 2009/11/24 633
502782 아이들하고 일본(동경)여행가려고 하는데 이 상품좀 봐주세요..^^ 3 도움요청~ 2009/11/24 809
502781 파워포인트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6 겨울나라 2009/11/24 559
502780 슈퍼에서 큰 대봉감을 샀는데 너무 떫어요. 어떻게 익히나요? 8 영수증을 버.. 2009/11/24 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