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발코니 확장 해야 하는건가요?

발코니 확장 조회수 : 927
작성일 : 2009-11-03 10:37:58
26평 신규아파트 입주계약을 앞두고 있는데요.

발코니 확장을 하려면 계약시점에 지정을 해야 하는데

확장은 당연히 해야 하는건가 싶어서요.
(비용은 천만원 정도 더 추가부담이 된다고 하네요)

방 3개 억지로 만든거라서 방들이 좁으니 확장을 해야 할것도 같고,
확장하면 베란다 없이 지내야 하고
안방은 그리 크게도 안된다고 하니 하지 말까도 싶구요.

집 구조나 그 집에 들어가 살 여부에 따라 판단해야 할 문제인지
저 확장비를 고려할때 하는게 맞는건지 도대체 판단이 안서네요.


집값에도 발코니 확장 한집과 안한집과 차이가 많이 나나요?
근처에 있는 10년된 아파트 시세는 4억정도 하는것 같습니다.

------------
댓글 모두 감사드려요!!
추가로 적어볼께요.

1호라서 한쪽이 벽이예요 ㅜ.ㅜ 층은 18층 짜리에 중간층이구요.

지금 모델 하우스를 안본 상태인데 갔다와서 다시 여쭤봐야 겠네요.

확장한 집과 안한집값 차이는 많이 날까요?
IP : 220.72.xxx.23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살아본맘
    '09.11.3 10:46 AM (115.161.xxx.228)

    확장한 집, 안한 집 다 살아 봤는데,
    우리 한국인에게는 그래도 베란다가 있어야 하더이다.

  • 2. 추워요
    '09.11.3 10:46 AM (118.216.xxx.203)

    확장 결사반대

  • 3. 확장..
    '09.11.3 10:46 AM (211.111.xxx.76)

    저는 35평인데..요즘은 마루가 크게 나오고 방이 좀 작게 나오는 편이라..저희가 서재방이 너무 작아서 확장했어요. 저희는 단체로 하는걸로 안하고 따로 인테리어업자 불러서 했는데 천만원까지 들지 않았어요. 바닥에 난방공사 따로 하고, 확장하고, 이중창하고..그리고 저희는 베란다 마다 높이를 높혀서 그냥 데크같은걸 깔았는데..그거까지 해서..천만원 안들었어요. 사용용도에 맞게 하시면 제일 잘 판단하실 수 있을것 같아요.

  • 4. 24평
    '09.11.3 10:49 AM (219.250.xxx.49)

    24평 계단형에 방 하나만 확장한 집에서도 살아보고
    32평 확장 안한 집에서도 살아보고
    32평 전체 확장된(안방만 빼고) 집에서도 살고 있지만
    제일 싫은게 32평 확장형이네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애들 크고 살림도 가장 많을 때인데 거실만 크고 (애들 방도 크긴 하지만..) 자잘한 살림이 갈 데가 없어서 집이 계속 정리가 안되고 있어요
    버릴 짐 빼서 거실 한가운데 놔두고 정리 중입니다

    거실 베란다를 터서 마루를 깔아두니 밖에 나갈 때마다 비올까 걱정이 되구요
    화분을 둘데가 없어(마루에 물 스미면...) 안방 베란다에 뒀는데 빨래 널어둘 데가 없네요
    주방은 1자형인데 냉장고가 원래 베란다로 빠지게 설계되어있어서 밖에 둬야 하는데..
    추워지면 냉장고에서 뭘 꺼내러 나가기도 춥잖아요
    김냉도 둘데가 없고...
    설계가 이상하게 나왔어요 커보이게만 눈가리고 아웅~

    작아서 정말 못살겠다 아니면 베란다는 그대로 두는게 낫다고 생각해요
    거실 키워봤자.. 일년에 손님 몇 번 온다고..
    네식구 있기에는 작은 거실도 괜찮아요

  • 5. ..
    '09.11.3 10:52 AM (59.16.xxx.84)

    베란다 양쪽으로 창고 만들어 놓고 빨래 건조대 달아둘 베란다는 남겨놓고 작은 방들은 확장 하세요
    집이 양쪽 가에 있는 것이라면 확장 절대 반대구요
    가운데에있는 집이라면 확장해도 춥지 않아요
    가에 있는 집은 아무리 방한제를 대어도 춥더라구요

  • 6. 26평은
    '09.11.3 10:53 AM (119.71.xxx.46)

    해야될듯...작잖아요.
    그리고 방이 정말 쓸모없게 나왔더라구요.
    거실하고 작은방 하나만 하면 되겠더라구요. 아 주방도....쓰리베이구조일경우에요

  • 7. ;;~
    '09.11.3 10:57 AM (221.163.xxx.149)

    확장하면 확실히 보기엔 좋지만
    창 주변에서 스며드는 냉기는 어쩔 수 없더라구요.
    완충지대가 사라지는 거니까요.
    추운날 베란다 문만 열어도 으~ 하고 춥잖아요.(밖의 창 닫혀있는 상태에서두요)
    확장하면 창 옆으로 안 가게 되어요.

  • 8. 확장반대..
    '09.11.3 11:37 AM (124.53.xxx.9)

    둘 다 살아봤는데...지어진 그대로 사는게 젤 좋아요.
    첨엔 일단 넓으니 탁 트여서 얼핏 좋은것 같지만
    몇년 지나면 바닥이 썩어들어가서 다시 공사를 해야하구요(바닥이 나무일 경우)
    추워서 난방비 더들구요..비가와도 창문을 못여니 후덥지근..
    암튼 저 다시 집 사도 절대 확장 안할거에요.

  • 9. 반대요
    '09.11.3 12:55 PM (218.158.xxx.132)

    겨울에 물생겨요..창 안쪽에,,그러다 곰팡이가 되구..
    잘하면 괜찮다지만, 정말 완벽히 잘~해주기가 쉽나요

  • 10. ..
    '09.11.3 4:01 PM (118.223.xxx.130)

    26평이면 확장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우리집도 그정도인데 확장해서 보일러 연결해서 저희는 안춥게 여기며 살거든요.
    뭐 확장 안한집과 별차이를 못느끼는데...
    집에 현관에서 보는 거실이 30평형대 느낌이어서 좋아요.
    단 빨래를 널기가 좀 그렇다는 것.
    확장하면서 붙박이로 수납장 짜넣으면 오히려 넓고 깨끗하게 쓸 수도 있어요.

    30평형대는 확장 안해도 괜찮은 것 같은데 20평형대는 해도 괜찮다 입니다.
    우리도 맨처음에는 바닥을 나무로 대충(싼맛에 했더니) 그래서 중간에 다시 공사했어요.
    지금은 좋아요.

  • 11. 수납이 문제
    '09.11.3 9:48 PM (61.254.xxx.126)

    집이 넓어 보이는건 다 들어갈데 들어가서 나와있는 물건이 없어야 넓어보이는데
    확장해서 커졌다 하더라도
    빨래 건조대 거실에 두면..??

    난 이 확장 반댈세~

  • 12. 저두
    '09.11.3 11:04 PM (180.66.xxx.141)

    지어진 그대로가 가장 정답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저희 입주때 AS아저씨가 다들 확장하니까 이렇게 뺐다는 말을 너무 자연스럽게 하더라구요.ㅇ
    요즘 워낙 확장하니까....라고 해석을 해야하나 싶을 정도로요.
    살아봐야 아니까 덜컥 확장하지마세요.
    전 아이들방 확장한것도 불만입니다.
    작디작은방은 잘한것같은데 냉기가 어디서 늘 들어오고...
    별로안작은방은 왜 덩달아 확장했나 후회중...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0664 무토잔디 깔고 싶은데.. 1 아직은 2008/04/05 805
380663 피로회복제 뭐 드시는것 있나요? 1 .. 2008/04/05 540
380662 제빵기 추천해주세요 추천 2008/04/05 503
380661 82님들 주량이 어떻게 되세요? 19 먹고는 싶지.. 2008/04/05 1,402
380660 그 사람과.. 1 헤어지려고요.. 2008/04/05 589
380659 푸켓 아쿠아마린 리조트..대 ..발리 그랜드 하얏트.. 4 또 질문 드.. 2008/04/05 870
380658 올드네이비... 6 ... 2008/04/05 727
380657 이사를 가야 할까요... 원두커피 2008/04/05 506
380656 아이를 때리고 도망치는데.. 초등1학년 2008/04/05 438
380655 신랑이 친박을 뽑겠다는데... 7 설득의 이유.. 2008/04/05 820
380654 식용유 추천 좀 해주세요. 2 올리브유 2008/04/05 431
380653 이나이에 치아 교정하면 어떨까요 9 교정 2008/04/05 915
380652 시간이 흘러도 시어머니는 적응 안돼 3 적응불가 2008/04/05 884
380651 아현동 마님 보시는 분들~ 그 동안의 줄거리 좀 알려주세요~ㅋ 1 미우나고우나.. 2008/04/05 601
380650 키와 몸무게 ... 2008/04/05 360
380649 공인중개사님 계시면 급해요.. 2 ... 2008/04/05 545
380648 축농증때문에... 1 유근피,알로.. 2008/04/05 366
380647 시집 가기 어려워.... 5 노처녀 2008/04/05 1,380
380646 텔레비전 화면이 갑자기 색깔이 변해요 2 텔레비전 2008/04/05 365
380645 보통 애들 친구들이 집에 놀러오면 7 엄마 2008/04/05 1,456
380644 청차조는 일반 차조와 색만 다른건가요? 1 궁금이.. 2008/04/05 278
380643 시댁요구 좋게 거절하는 법 12 만공 2008/04/05 2,214
380642 서기관에서 기업인으로? 2 선택 2008/04/05 659
380641 호박고구마 품질이 괜찮아도 이상한 냄새가 날 수 있나요? 4 속상해요 2008/04/05 347
380640 누구 말이 맞는지 좀 들어주세요~ (라면땜에 싸운일T.T) 22 신라면이문제.. 2008/04/05 2,400
380639 소나타와 로체 6 자동차 선택.. 2008/04/05 687
380638 제주도여행가는데 정보좀 주세요... 1 윤이맘 2008/04/05 428
380637 중국심천으로 이사가는데요... 2 진주부인 2008/04/05 562
380636 스팀오븐을 사고싶은데요..^^; 3 스팀오븐 2008/04/05 740
380635 5세아이 전집가격좀 알려주세요.. 2 2008/04/05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