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동산 가격 올라간다는 말 믿지 않는 까닭

부동산 조회수 : 2,214
작성일 : 2009-06-22 15:12:36
대부분의 서민들 월급은 안 오르고 물가는 너무 올라 돈의 여력이 없습니다
주변에 빚 많이 껴안고 집 산 사람 투성이인데
고금리 정책으로 변동시(사실 지금 경제사정으로는 이렇게 가는게 마땅하죠)
곡소리 날 사람 많습니다
하여 절대적으로 집이 필요한 서민들은 사고 싶어도 무리해서 집 살 여력들이 없습니다

부자들이야 대운하던 어디던 투자해두고 보상받을 것 생각하고
각종 세금 다운과 규제 철회로 여유돈이 넘쳐서 부동산 투자 생각하지 몰라도
그들은 또 배운 것들이 있고 경제적 감이 있어
이런때 현찰로 가지고 있지 결코 부동산에 투자 안합니다.

흔히 말하는 386세대까지(형제자매가 보통 4명정도) 대부분의 40대 이상의 부류로
왠만하면 다들 집장만한 사람이 많아서
그 뒷세대들(형제자매 보통 2명내지 1명)로 갈수록 이제 점점 더 많은 집들이 필요없어져 갑니다.

부자들이 두 채, 세 채,....수십, 수백채 씩 축재한다해도
수요가 공급을 못 따라가면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 수 밖에 없죠.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대폭락이 오리라 봅니다
다만 현정부가 부동산 가격마저 폭락하면 정권 유지의 힘을 완전히
상실하기 때문에 억지로 부동산 거품을 일으키려 노력하고 있다 봅니다.

진짜(!!) 미네르바님의 거의 마지막 시즌 글에도 있죠
경제가 진짜 좀 살아 난 것처럼 보이고 흥청망청 분위기가
주류를 이루는 것처럼 느껴지는 시기가 도래하더라도
절대 믿지 말라고 하셨죠.

전 지금이 그런때 아닌가 합니다
어디 듣보잡 imf 직원 하나 시켜서 한국경제가 좋아지고 있는 것 같다는 둥.....
냄새가 너무 나요.

여유자금이 많은 부자 아닌 다음에야
적어도 내년 봄까지는 부동산에 관하여는 관망하는게 최고라 생각해요.
IP : 203.142.xxx.240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9.6.22 3:17 PM (124.53.xxx.162)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런데도 불안해요...

  • 2. 저도 불안
    '09.6.22 3:22 PM (211.63.xxx.220)

    분명 작년 겨울 부동산 하락할때 내년 여름쯤엔 더 하락할거라고 했는데, 되려 요즘 오르는 추세네요. 강남지역이요.
    강남지역만 제외하면 부동산은 하락할까요?

  • 3. 강남
    '09.6.22 3:22 PM (218.153.xxx.186)

    전세부터 장난아니게 오름세입니다.. 게다가 물량도 없어요~~

  • 4. 에효
    '09.6.22 3:23 PM (118.217.xxx.118)

    인플레이션 우려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것때문에 많이들 불안해 하시는 것 같던데...
    올봄에 집값이 하락하지 않으면 인플레이션 전조라고 우려하는 소리 많이 들었었는데....

  • 5. 저는
    '09.6.22 3:27 PM (122.34.xxx.88)

    강남으로 이사가고 싶어서 집값 좀 떨어졌으면 하는 소망이 있는 아줌만데요..강남 전세 오르는 거 보면 과연 떨어질까 싶네요..

  • 6. 중요한 것은
    '09.6.22 3:26 PM (211.179.xxx.122)

    지금이 안심할 때는 아니라는 거죠.

  • 7. 까만봄
    '09.6.22 3:32 PM (114.203.xxx.189)

    쌍봉을 찍고 있는듯합니다.
    인플레와,금리인상...흠
    단순히 상승만할것 같진 않습니다.(강남나라는 제외..)
    저부터도 금리인상되면...살벌해질것 같네요...
    이래,저래 집한채 가진 서민이나,무주택자만 죽어나는거죠...

  • 8. 원글
    '09.6.22 3:36 PM (203.142.xxx.231)

    무조건 폭락이라기보다도
    강남이나 목동처럼 교육과 더불어 각종 인프라가 거미줄망처럼
    잘 갖추어진 곳은 폭락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오르는 것에도 한계가 있을거라 생각하구요

    그 지역 전세값들은 오를 수도 있지요. 왜냐면 그 지역 전세값이
    왠만한 곳 집값보다 비쌉니다.
    즉 돈 있는 분들이 교육이나 출퇴근의 편리성 등등의 이유로 전세를 사시는 겁니다.

    길게는 대부분 하락 추세로 가되,
    그런 특정 지역들은 하락은 있더라도 폭락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오세훈 시장이 왜 강북 르네상스니..하는 것들 발표했다 생각하세요?
    니네 부동산 가격 올려줄테니 다음에도 나 뽑아줘~ 이겁니다.
    강남표야 확보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거고
    강북표도 집값 올리기 원하면 나와 한나라에 몰아다오? 이거라 생각해요

    다음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은 또 지역 부동산과
    관련된 공약을 남발하리라 생각합니다.
    미련한 국민들은 이번에 속고 이렇게 아파하게 되었어도
    또 혹시나 하며...아낌없이 한 표를 던져줄런지도 모를 일이지요.

    그렇게 되면.....적어도 경제적인 측면에서 서민의 삶은 정말 끝입니다.
    부자가 되고 싶어 표를 줬는데 더 쪽박 차야 하는 신세....기가 막히지 않습니까.
    그런데도 충분히 그럴....우매한...국민들이예요.

    민주? 인권? 자유?
    다들 돈 앞에서는 나 몰라라하고...또 우매한 선택들을 하게 될까 두렵습니다.

  • 9. 금리가
    '09.6.22 3:45 PM (121.161.xxx.7)

    올라도 많이 올리기는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금융권에 있는 분에게 들은 말로는...

  • 10. 내생각엔
    '09.6.22 3:44 PM (59.18.xxx.33)

    둘 중 하나예요.
    하나는 대폭하락,
    1년간 물가는 대폭 올랐는데 임금, 월급이 그리 많이 올랐나요? 물가 두자리 인상됐는데
    월급은 두자리수 인상됐나요? 안깎았으면 다행이죠.
    게다가 비정규직 해고 기다리고 있죠.
    정리해고들 앞으로 꽤 될거라하구요.
    이런거보면 집값 오를 이유가 없지요.

  • 11. 그리고
    '09.6.22 3:48 PM (59.18.xxx.33)

    다른 가능성 역시 많이 오르기 힘들거같네요.
    돈을 많이 푼다는데, 만약 풀린 돈으로 경기회복이 되면 엄청난 물가상승으로
    역시 금리가 뛰죠.
    하이퍼인플레든 인플레든 심하게 물가인상되면 일단 먹고살기 급급한데 집에 투자할 돈이 어딨어요? 역시 경기회복이 되어도 집값 상승은 곤란.

  • 12. ㅋㅋ
    '09.6.22 3:49 PM (220.117.xxx.104)

    정말 똑똑한 강남부자들이 몇 채씩 끌어안고 있는 줄 아세요??
    세금 정책 바뀌기 전에 똘똘한 것들만 남기고 대부분 다 정리하던데.

  • 13. ....
    '09.6.22 3:51 PM (222.106.xxx.202)

    경기 살리리고 금리를 내리려니 부동산이 뜨고

    부동산 잡으려 금리를 올리자니 경기가 죽고....

    현재 딜레마에 빠져있는듯 합니다.

    경기 살리자고 밀어붙이고 있으니 경기가 확실히 안정되고 살아났다고 판단되기 전까지는

    MB정부의 성격상 금리를 대폭 올리기 쉽지 않을듯 합니다.

  • 14. //
    '09.6.22 3:50 PM (165.141.xxx.30)

    갑자기 생각나네요..작년 겨울쯤에 여기 자게에 닥치고 현금이라고 엄청 게시판에 올라왓는데..거기에 현혹돼서 멀쩡한집 헐값에 넘긴분 몇있지요..그럼 다시 닥치고 현금인가요??

  • 15. 누가현혹?
    '09.6.22 3:54 PM (203.247.xxx.172)

    //님은 누구에게 현혹 되셔서 그런 말씀을...

    아니...세뇌되신건가?...

  • 16. 지금
    '09.6.22 4:21 PM (211.51.xxx.98)

    금리가 엄청 내린 상태예요. 저만해도 불과 몇달 전까지
    한달에 120만원 정도의 이자를 냈는데, 지금은 75만원 내고 있어요.
    어안이 벙벙할 정도로 이자가 많이 내렸죠. 다시 올린다 해도
    예전 수준이니 금리가 다소 (급격히 많이 올리지는 못해요 지금 상황이)
    오른다 해도 예전 수준 정도에도 못미치는 거죠.
    부동산이 절대로 폭락은 안될거 같고 아무래도 인플레 우려 땜에
    오를 것 같은 분위기예요. 이래 저래 집 한채 갖고 있는 사람은
    절대로 팔지 말고 보유하는 건 기본이죠.

  • 17. -
    '09.6.22 4:42 PM (221.251.xxx.170)

    교통때매 어쩔수없이 강남전세신세인데
    정말 넘 마니 오르고 있어요...ㅠㅠ 이게 언제 꺼질 불인가?
    내년 초에 선거가 있나요?

  • 18. .....
    '09.6.22 5:04 PM (124.53.xxx.90)

    이미 올랐어요..

  • 19. 머리 아픈
    '09.6.22 5:24 PM (218.153.xxx.186)

    직장이 강남인데 .. 전세 알아보다가 너무 많이 올랐거니와.. 물량도 없어서.. 못 가고 경기도로 나갔심다..ㅡ.ㅡ;;; 애 갖구 출퇴근 해야되는데 버스 40분 타야되요..ㅠ..ㅠ

  • 20. 암것두몰러
    '09.6.22 5:36 PM (123.215.xxx.117)

    지금님과 동감입니다.
    오만원권과 십만원권 나온다구 하는데
    우리들 지갑에 그것들이 지금의 천원과 만원권으로
    대신하여 그 차이만큼 값어치가 내가갈것 같다는 불길한 생각이 듭니다.
    그럼 있는놈은 치고 빠지는 거죠...
    이렇게 불안 불안 하여 집사고, 이래 저래 못난이들은
    뒷북 두들기고, 가난의 대 물림
    너무 슬프군요....

  • 21.
    '09.6.22 5:44 PM (211.189.xxx.103)

    전 솔직히요.. 3년내에 부동산 오를것 같아요.
    왜냐구요? 여론이 아주 끓어오르고 있잖아요. 무슨일이 있어도 3년내에 삽은 떠야 되니 대운하니 한강 르네상스니 건설 관련한 사업들을 다 시작할 테고
    그러다 보면 집값이니 땅값은 오를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정말 거품인거죠. 쓸데 없는 건설로 인해 환경은 파괴되고 쓰지 않는 시설들은 늘어나고 일용직 근로자들은 다시 일자리를 잃고.
    그렇게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 주변에 땅 많이 가진 땅부자들은 노나겠죠.
    참 슬픕니다. 이런 나라에서 살고 있다는 것이.

  • 22. 오를지
    '09.6.22 5:52 PM (86.96.xxx.93)

    믿건 안믿건 자유지만 대한민국에서 자기 살집 하나는 있어야 한다 아닌가요?
    적어도 재테크에서 앞서지는 못하더라도 발끝이라도 따라가려면 부자들 생각을 알아야합니다.
    너무 부정적인 얘기만 보고 불안불안해서 자기집 장만 하나 못하면 결국은 박탈감에 시달릴 뿐이죠.
    나만 모를 뿐이지 서울 부자 뿐 아니라 토지보상 등으로 지방에도 부자는 넘친다는 것

  • 23. 그런데요..
    '09.6.22 8:48 PM (121.138.xxx.46)

    요즘 한창 젊은 애들은 우리 세대처럼 그렇게 집에 대한 집착이 없겠지...했는데...
    아니더라구요...얘기하다 보면 거의 집장만에 상당한 의욕과 욕심들을 가지고
    있더만요 , 생각보다 의외였어요 -.-;;
    여러면에서 입지여건이 좋은 곳은 공급에 한계가 있으니 앞으로도 꾸준히 수요가
    초과할 듯 해요

  • 24. 음~
    '09.6.23 1:10 AM (220.76.xxx.164)

    문제는 인플레이션인 것 같아요. 미국은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었고, 우리나라도 슈퍼 추경이니 뭐니 비슷하고... 인플레이션이 오면 실물 경제에 투자하는 것이 정석이긴 하니까요. 화폐 가치가 계속 떨어지니까요.

    잘 모르겠어요. 어디 경제 연구소에서 발표하길 강남은 향후 3년간 최고가에서 10-20% 더 오를거라 하고... 그 후가 문제일 것 같아요. 이렇게 거품이 계속 커져가면 언젠가는 크게 터질 날이 오겠지요. 그게 언제일지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044 귀걸이요 3 귀걸이 2006/12/27 525
331043 고민입니다 고도비만인데 임신이됬어요 11 ㅠㅠ 2006/12/27 2,607
331042 네이버 블로그에요 3 몰라 2006/12/27 621
331041 [급질]전세계약에 집주인 안왔는데~~?? 4 계약서때문에.. 2006/12/27 599
331040 <홍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국제학교 보내고 생활할려면...^^ 봄바람 2006/12/27 285
331039 어머님 칠순이신데...여행 보내드리고싶어요.. 2 며느리 2006/12/27 292
331038 택시 기사님, 그러시는 거 아니죠. ㅡㅡ 16 짜증 2006/12/27 1,706
331037 임신증상인가요? 1 .. 2006/12/27 275
331036 초등학교 졸업하는 조카선물 뭐가 좋을까요? 2 선물 2006/12/27 281
331035 대구에는 테마열차없나요? 2 대구맘 2006/12/27 172
331034 밤중수유가 안좋은가요? 8 중이염..... 2006/12/27 430
331033 보일러 교체 권고안이 나왔는데, 집주인에게 말하면 갈아줄까요? 3 보일러 2006/12/27 390
331032 감기가 심한데 임신초기거든요. 4 괴로워요 2006/12/27 256
331031 중국어관련해서... 2 걷는게조아 2006/12/27 225
331030 컷코 칼갈이 skatnr.. 2006/12/27 293
331029 내 생각해서 한 말인줄은 알겠는데.. 11 우울 2006/12/27 2,069
331028 영어서점에서 파는 dvd보려면 한국 dvd플레이어로도 가능한가요? 4 .. 2006/12/27 223
331027 divx,코드프리,한글자막 이렇게 다 되는 dvd플레이어는 없나요?? 6 .. 2006/12/27 262
331026 일산 사시는 분들 함 보세요. (펌) 6 화나서.. 2006/12/27 1,162
331025 미국드라마 "위기의 주부들" 4 미드 2006/12/27 884
331024 베란다에 찌든 담배연기냄새..윗집 아저씨 정말 밉네요. 6 냄새제거? 2006/12/27 1,195
331023 강남역 근처 교회 4 ... 2006/12/27 761
331022 집때문에 우울합니다. ㅠ.ㅠ 13 ㅠ.ㅠ 2006/12/27 2,516
331021 나쁜 제 피부도 회복이 가능할까요? 12 피부나쁜 이.. 2006/12/27 1,321
331020 송년 잔치 준비 1 우째? 2006/12/27 220
331019 초등생 아이들이랑 태백 눈꽃열차를 타보려고 합니다.주의할점은?? 5 도와주세요 2006/12/27 678
331018 오늘 아침 울었어요. 4 아기엄마 2006/12/27 1,439
331017 강남 센트럴 시티내에 키즈미용실 있나요? 키즈미용실 2006/12/27 720
331016 20년을 사귄 가장 친한 친구에게서 거리감을 느낍니다. 5 가장 친한 .. 2006/12/27 1,754
331015 필립스나 소니 dvd는 프리코드 인가요?? 4 .. 2006/12/27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