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삼성을 불매 해야하는 이유(디피펌)

삼성불매 조회수 : 472
작성일 : 2009-06-13 19:59:01
이건희옹께서 그 귀한 아드님한테 경영권을 승계해 주려고 비자금을 조성하고 애버랜드 전환사채를 편법으로 증여하다가 기소되었었죠.
그리고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법원의 무죄 판결로 면죄부를 얻으셨습니다.

이 정부의 낯두꺼운 짓거리는 이미 이골이 날 정도지만 사실 더 서글픈 건 주위 사람들의 반응입니다.
주변에 보면 그런 분들이 계시죠.

왜 잘나가는 대기업의 발목을 잡느냐,
대기업이 잘돼야 나라 경제가 사는 것 아니냐,
회장을 고소하면 기업이 어떻게 정상적으로 경제활동을 하겠냐,
회장이 자기 회사를 자식한테 물려주는 게 뭐가 문제냐...

그런 분들의 논리가 결국 경제만 살릴 수 있다면 사기꾼 대통령을 뽑아도 된다는 상황까지 만든 것이긴 합니다만 그분들이 간과하는 게 있습니다.
대기업의 '발목을 잡는 일'이 과연 경기를 위축시키고 결과적으로 돈이 안되는 일이냐는 겁니다.

이건희옹이 조성한 비자금이 겉으로 드러난 것만 해도 조 단위입니다.
'조'라는 단위가 잘 와닿지 않으시겠지만 만약 그 돈을 불법으로 조성하지 않았다면 일반인들이 삼성 TV나 냉장고를 살 때 수십만 원씩 더 싸게 살 수 있는 금액입니다.
한마디로 기업의 투명성이 곧 소비자에겐 '돈'이 된다는 겁니다.
(물론 이것도 소비자에게 적당한 이윤을 받고 물건을 판매하는 양심적인 기업일 때의 이야깁니다만....-.-)

아시겠지만 우리나라의 소득대비 물가는 전세계 최고수준입니다.
미국이나 일본은 일 인당 국민소득이 우리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인데도 현지에서 판매되는 한국산 승용차와 전자제품의 가격은 한국내 가격보다 수십 %씩 저렴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은 자국의 국민들을 착취하는 기형적인 가격정책으로 성장해 왔기 때문입니다.

왜 선진국들에선 정치가나 기업가의 가장 큰 덕목을 '정직과 신용, 투명성'이라고 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너무 많습니다.

선진국 국민들이라고 돈을 싫어해서 정치가나 기업가의 정직함을 미덕으로 삼는 게 아닙니다.
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들이 정직하고 투명해야 그것이 국민들에게 더 많은 이득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오랜 역사를 통해 배웠기 때문이죠.

사회가 투명하면 그것이 바로 돈이 됩니다.
기업들이 불법으로 가격을 담합하지 않으면 소비자는 더 싼 가격으로 물건을 살 수 있습니다.
정부가 건설회사 먹여살리겠다고 쓸데없이 4대강 살리기(라고 쓰고 대운하라고 읽습니다) 같은 뻘짓을 하지 않으면 국민이 부담해야할 수십조 원의 세금이 절감됩니다.

돈 얘기를 좀 더 해볼까요?

4대강 살리기 예산이 22조 원입니다.
우리나라 인구를  5천만 명으로 잡았을 때 4인 가족 기준으로 한 가정당 176만 원 정도씩을 부담해야 그 예산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그 금액의 상당 부분을 민간자본의 투자로 충당하겠다고 하는데 이것도 참 눈가리고 아웅하는 짓입니다.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바보가 아닙니다.
기업체가 돈을 투자했다면 그 이상의 수익을 거둘  자신이 있기 때문에 투자하는 겁니다.

그 수익.....어디서 거둘까요?
바로 국민들의 호주머니입니다.
결국 세금이든 기업의 투자든 22조 원이란 돈은 국민들의 지갑을 털어서 충당된다는 얘깁니다.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닙니다.
서울시가 중랑천을 개발하는 데에 2020년까지 18조 원을 쏟아붓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물론 4대강 살리기에 투입될 22조 원과는 별도의 예산입니다.
서울시 인구가 대략 천만 명 정도니까 일인 당 180만 원씩 세금을 내야 충당되는 액수입니다.
4인 가정 기준으론 720만 원(!!)을 부담해야 한다는 거죠.

물론 국토개발 자체가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수질이 악화되거나 홍수 피해가 나는 하천은  세금을 모아서라도 반드시 정비를 해야 하겠죠.

그런데 혹시 중랑천 가보셨습니까?
지금도 충분히 잘 정비된 하천입니다.
중랑천 양옆에 조성된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그리고 잘 조성된 경관.....
여기다 18조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또 쏟아부을 이유를 전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중랑천 수질이요?
중랑천변 곳곳에서 낚시꾼들이 물고기를 잡고 있고 여러 종류의 오리와 백할미새, 왜가리가  중랑천의 물고기를 잡아 먹으면서 생태계를 이뤄나가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위로 수돗물이 흐르며 쥐새끼만 득실거리는 청계천과 대비되게 말입니다.
지리산 청정계곡의 수질을 목표로 삼는 것만 아니라면 중랑천은 지금 상태에서 조금씩만 보완해 나가면 될 겁니다.
18조 원씩이나 쏟아부을 이유가 없다는 얘기죠.

18조 원을 들여서 중랑천이 개발되면 주변 땅값은 오르게 될테고 그 개발의 이득에서 소외되는 사람들은 점점 더 외곽으로 쫓겨날 수 밖에 없습니다.
똑같이 수백만 원씩 세금을 내고 그 열매는 소수의 사람들만 따먹게 된다는 얘깁니다.

그래서 정부에 딴지를 걸고 기업체에 딴지를 걸어야 한다는 겁니다.
내 돈을 빼앗아 자기들의 배를 불리는 사람들을 눈앞에서 보면서 '그래, 당신들이 살아야 나라가 잘되지'라고 할 사람이 있을까요?

기업은 어디까지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한 집단입니다.
우리나라 기업 풍토에선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온갖 편법과 불법을 저지르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되어있죠.

그래서 딴지를 걸어야 하는 겁니다.
기업의 불법 행위를 강력히 규제하고 법대로 처리해야 기업이 부당한 이득을 올리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기업체의 부당한 이득이란 것은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갈 몫을 기업체가 훔쳐간 것입니다.
자신의 돈을 빼앗기면서도 '그래, 대기업이 잘돼야 나라 경제가 살지'라고 말할 사람이 있을까요?

이 와중에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선 최저임금 시급 4천원도 비싸다고, 그 임금을 깎아야 기업들이 산다고 관련법을 개정해 달라고 요구합니다.

시급 4천원이면 9시부터 6시까지 종일 일해야 3만 6천원 버는 겁니다.
일요일만 쉬고 토요일날도 평일처럼 똑같이 근무해야 한 달에 고작 90만원 벌 수 있는 돈이죠.
부부가 맞벌이를 해도 그 돈으론 아이 낳아 기르면서 교육 못시킵니다.
평생 가난이 대물림되는 거죠.

그런데 기업가들은 그 최저 임금마저 깎자고 합니다.
그래야 기업이 산다고 말합니다.
그런 주장에 반대하면 빨갱이라고 합니다.

강남에 아파트 몇 채씩 가지고 있고 여기저기 땅투기해 놓으신 분들이 기업가의 발목을 잡지말라는 말을 하면 이해라도 하겠습니다.
하지만 평범한 월급쟁이, 자영업자, 비정규직에 종사하는 분들이 그런 이야기를 하는 건 참 서글픈 일입니다.

그렇게 돈, 돈 하면서 정작 돈이 되는 일엔 반대하는 분들에게 꼭 말해주고 싶네요.
사사건건 트집을 잡아 기업의 경영에 딴지걸자는 게 아닙니다.
다만 기업의 잘못된 행위에 대해선 엄정한 처벌이 있어야 결국 여러분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돈'이 들어온다는 겁니다.

http://dvdprime.paran.com/bbs/view.asp?major=ME&minor=E1&master_id=172&bbsfwo...
IP : 211.48.xxx.21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참으로
    '09.6.13 8:14 PM (222.99.xxx.153)

    더러운 자본가들입니다.

  • 2. 한겨레신문
    '09.6.13 8:31 PM (211.215.xxx.254)

    고현정 전 남편이 얼마전 공개적으로 사업방향을 발표했는데요.
    동네 소규모 슈퍼 체인사업한다고 했답니다
    미국유학까지 갔다 와서 세계로 뻗지는 못할 망정 동네 잔돈푼까지 욕심낸다고 한마디 하더군요.

  • 3. ..
    '09.6.14 12:22 PM (114.204.xxx.208)

    원글에 원문을 복사해 두셨지만... ^^

    http://dvdprime.paran.com/bbs/view.asp?major=ME&minor=E1&master_id=172&bbsfwo...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8011 최근에 빕스나 씨즐러 다녀오신분들... 어디가 더 괜찮나요? 7 어딜갈까? 2006/12/08 1,123
328010 우리아기돌반지를 다른집돌잔치에 선물하고싶어요 6 고심 2006/12/08 1,159
328009 ㅋㅋㅋ월요일에 시사회 당첨 됏어여. 2 김명진 2006/12/08 278
328008 우울할땐 어찌들 하나요 ? 22 우울 2006/12/08 1,701
328007 개사료~~ 2 급질.. 2006/12/08 247
328006 도하~우리나라.. 아훔.. 2006/12/08 372
328005 액취증으로 고민하신분 계신가요? 3 소나무 2006/12/08 555
328004 가락동 올림픽훼밀리아파트 상가 어떤가요? 4 딸- 2006/12/08 747
328003 술이 좋아요. 7 잡담 2006/12/08 718
328002 지금 24평 팔고 31평 아님 41평 어느게 나을까요? 6 아파트 2006/12/08 1,678
328001 맞벌이 하시는 분들께 여쭈어 봅니다! 12 궁금 2006/12/08 1,455
328000 1학년 문제집은 어떤거? .. 2006/12/08 185
327999 곶감이.. 2 호랑이 2006/12/08 532
327998 샘플화장품 유통기한 3 궁금 2006/12/08 539
327997 사기 당한 것 같은데.. 어떡하죠? 6 어떡하죠 2006/12/08 2,303
327996 우편으로 왔는데... 1 도착 2006/12/08 490
327995 침대에다 항상 이불 깔아 놓으시나요 17 궁금 2006/12/08 2,294
327994 커피가 더 맛있는 날씨네여 3 딱서니 2006/12/08 421
327993 황수경 아나는 어릴때부터 퀸이었나봐요 23 프렌즈 2006/12/08 4,198
327992 미국에 계신 형님댁에 드릴 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5 도움 2006/12/08 504
327991 교대역 주변 원룸 구하는데.. 6 원룸 2006/12/08 1,127
327990 코스트코에 이거 파나요? 4 비즈 2006/12/08 1,313
327989 옷 수선비용 문의 10 비싸요 2006/12/08 3,177
327988 급질문!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내의 쇼핑센타 어떻게가나요? 3 급해요 2006/12/08 295
327987 홍이장군 먹이시는엄마들, 하루에한번 어느때먹이세요,아침?점심?저녁? 3 2006/12/08 871
327986 남편과 자연스럽게 따로 자는법.. 10 심각한고민 2006/12/08 2,600
327985 줄리엣님 연락처 4 하마 2006/12/08 777
327984 옷같은건 파는게 아닌데... 11 흠... 2006/12/08 2,220
327983 샌드위치맨 입금 2 팔락귀 2006/12/08 802
327982 자세히좀 알려 주세요 부모님보험 2006/12/08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