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부터 전업으로 전향했습니다...
이제부터 가계부 써가며 아껴며 살리라! 결심하고 착수들어갔는데 쓰다보니 아리까리한 부분이 있네요..
유치원아이 하나, 저, 남편 이렇게 단촐한 3식군데요, 한달 식비를 검토하다보니 이 식비의 범위를 정확히 어떻게 정해야하는건지가 헷갈리더라구요..
보통 장볼때 꼭 식품만 사는게 아니잖아요..
어떨땐 식품보다 다른 생활용품을 더 많이 살때도 있는데 그럼 보통들 말씀하시는 식비는 마트영수증 금액을 그냥 다 포함시키세요? 아님 일일이 식품비만 얼만가 따로 뗴어서 계산하시는 거에요?
그리고 가족들 외식비는 식비에 포함하시는 건가요? 아님 따로 분리?
전 한달식비를 계산해보니 외식비와 생활용품 포함한 모든 장보기 비용을 합하면 60~70만원 정도 되는거 같더라구요.
만약 순수식품비만 포함하고 외식비는 별도로 한다면 훨씬 더 줄어들겠죠?
(외식비는 25만원선/ 장보기비용은 40정도?)
82서 통상적으로 말씀하시던 식비와 비교해서 제가 나름 잘 살고 있나~함 비교해볼까 했더니 시작부터 헷갈리네요^^;
흔히들 말씀하시는 식비의 범주와 3식구 기준 대충 얼마정도씩 드는지 좀 알려주세용^^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식비의 범위가 어떻게 되나요?
흔히들 말씀하시는 조회수 : 638
작성일 : 2009-06-06 11:46:20
IP : 116.42.xxx.4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식비는
'09.6.6 11:51 AM (125.188.xxx.80)식재료만 넣습니다.
생활용품은 다른 항목으로 분류하고요...
친구만나서 밥먹거나 차마시는 건 모임회비 또는 용돈 항목으로 처리합니다.2. ...
'09.6.6 2:36 PM (211.243.xxx.231)가족들 입으로 들어가는건 다 식비로 쳐요.
단, 제가 친구들 만나서 쓰는 돈은 밥값이라고 해도 식비로 안하구요.
식구들끼리 외식한건 식비 항목에 넣어요. 외식비로 따로 계산을 하긴 하지만요.3. 저두
'09.6.6 3:25 PM (61.255.xxx.61)식비계산시 집에서 해먹는 건 다 식비에 포함되는데요
단,외식비는 따로 써요. 배달시켜먹은것까지두요.4. 각각
'09.6.6 4:06 PM (119.64.xxx.188)마트 영수증 놓고 주식(쌀), 부식( 식재료.고기 ,채소 등등), 간식(과자, 빵, 우유 등),
과일값(과일값도 요즘 너무 비싸서 따로 분류해서 계산합니다.), 외식비(밖에서 사먹는 음식-우리가족만 먹는 경우, 배달음식), 기호품(꼭 안 먹어도 되는 커피, 술 등) 다 따로 계산합니다.
한달 계산해보면 이달의 반성(?)...이 나옵니다. 역시 외식비가 과다지출의 원흉이라
항목별로 계산하면 잘 드러나서 지출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외식하고싶다가도 가계부가 아른거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