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제목] 한국 23억파운드 그린 딜로 탄소 방출에서 길을 열다.

가디언 번역(4/21) 조회수 : 486
작성일 : 2009-04-22 04:31:17
제목] 남한 23억파운드 그린 딜로 탄소 방출에서 길을 열다.
서울의 거대한 재무 장려 패키지 환경프로젝트 81%를 기약.
그러나 운동가들은 나라의 탄소 발자국은 건설의 물결을 증가할수도 있다고 두려워 한다.

미래 비전 비서실장은 얼마나 많은 한국인들 백만의 전구를 바꾸기에 들것인가를 생각하고 있다.

김상호, 대통령의 사치스럽게 붙여진 오른손 맨, 는 나라의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94만보다 많은 녹색 직업을 만들려고 노력중이다. 한국에서의 모든 공공빌딩의 벌브를 바꾸기는 올해 말까지, 아주 적은 기본 마스터 플랜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녹색적인 새로운 정책으로 묘사되어 왔다.

작년의 경제난의 시작 이래로, 전세계의 정부들은 지구를 살리기 위핸 노력에 의해서 판단되는 재무적인 자극프로그램의 환경적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해 왔다. 미국 대통령인 바락 오바마와 중국정부는  재생 전력, 깨끗한 운송 그리고 에너지효율적인 빌딩에 투자하기 위해서 그들의 야망적인 정책들을 칭찬해왔다. 반대로 영국은 녹색정책을 위해서는 지금까지 비교적 혹평받아 왔다. 알리스터 다링의 재정은 내일 같은 전망으로 세밀하게 조사될 것이다.

그러나 영국이 무엇을 약속하든지간에, 한국의 50조원의 녹색 정책과는 비교할 수 없다. HSBC에 의한 국제 등급에 따르면, 81%의 재정이 녹색 정책에 지정되었다. 쉽게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율이고 영국에서는 7% 보다 방대하다.

따라서, 어떻게 한국은 그 많은 돈을 쓸 수 있을까? 김의 첫번째 도전은 이 거대 금액, GDP의 2.6%에 달하는, 공동 계획하고 있다. 그는 급감하는 경제를 진정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반면 의심스런 환경단체와 매력 있는 건축산업 회사를 모두 만나야 한다. 많은 한국인들은 분명히 녹색 지출은 무겁게 회색이 될것이라고 전망한다

청와대의 사무실에서 그는 한국의 경제와 에너지 정책 , 즉 비싼 수입연료에 97% 의존하는, 을 기본적으로 재조정하는 일을 맡았다. "대통령은 지금이 변화의 시간 현실화한다." 고 말했다.

앞으로 4년간, 정부는 백만의 녹색 가정을 짓기를 약속한다. 백만의 에너지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12억 파운드를 저탄소 기술의 조사에 투자하고 고속철도와  "깨끗한" 의 또다른 운송방법에 48억파운드을 투자할 예정이다.

2500마일의 자전거 도로가 세워질 예정이고, 이는 북한과의 경계선을 따른 175마일도 포함된다.
2020년까지, 증대된 지하철, 기차 그리고 전기차 소유권은 20%가량으로 운송에 의한 녹색 가스가 줄여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전망치는 탄소 싱크 용량을 증가시키고 국가의 첫번째 나무 공 연료 제조공장을 짓기위해서  5만명을 추가로 고용할 것이다.

UN의 반기문장관은, 그의 국가에 의해서 계획된 예를 칭찬했다. 그러나 환경그룹들은 그 계획이 그렇게 녹색같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가장 크고 가장 논쟁의 여지가 있는 지출의 아이템은 4대강 개선이다. 표면상으로 가뭄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 프로젝트는 더많은 댐과 콘크리트 둑을 의미한다. 비판가들은 대통령의 목표인 국가의 중심을 따라서 운하를 진행하기 위한 커버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추측한다.

많은 사람을은 장거리 자전거 도로를 짓는 지혜는 환경보다는 시멘트 산업에 해택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새로운 제목으로 옛 방식의 재정을 지출하는 것 뿐이다. 녹색 정책의 끝은, 한국은 분명히 더 회색국가가 될 것이다." 라고 오성규 환경 정의를 위한 시민운동 모임의 비서실장이 말했다.


어떻게 돈이 쓰여질지에 대한 세밀한 내용도 없이, 카본방출에 영향의 추측도 없이, 환경 계획 감사는 어렵다. 외교부와 국내 기자들은 진실한 녹색 지출의 금액은 81%보다는 훨씬 적을 것이라고 말한다. 단기적으로, 어떤이들은 한국의 탄소 발자국은 건축의 증대결과로 증가하기조차 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김은 이런 고발을 부인한다. "우리의 프로젝트는 모두 탄소방출을 줄이는것에 연관되어 있다. 이는 분명히 탄소방출을 분명히 줄일 것이다."

이명박대통령은 개심하는 회의자들을 설득하기 전에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다. 이명박은 전 현대건설의 회장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시멘트 산업의 하나이다. 서울시장으로 그의 "녹색" 정책으로 알려진 청개천의 건축이다. 이는 콘크리트 침대위에 흐르고, 콘크리스 거리옆에 네온사인 콘크리트 벽이 있다.

환경에 대한 염려는 한국의 경제발전, 즉 에너지 중점 강철 산업에 중점이 있는, 에서 가장 적은 우선권이 있었다. 녹색 그룹은 세계에서 13번째, 일본의 시멘트의 거의 2배, 그리고 에너지 비효율의 3배나 최악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비지니스 중점의 대통령은 회사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가는 녹색으로 가야 한다고 말한다. 그의 녹색 발전을 팔기위해서는 국가의 회사들, 즉 재벌, 을 위해서 계획 한다.  낮은 탄소 기술로 미리 움직이는 것은 한국에 선두자리를 줄것이라고 강조한다.

하이테크 회사, 즉 삼성, 현대 그리고 SK는 중간전도자, 정보산업에 전문기술을 사용하는 에너지 절약 기술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보고와 발전을 부추기고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서 녹색 기술 발전소를 위한 움직임을 가속하길 희망한다. 현대와 기아는 전기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한 재정 보조를 받게 될 것이다. 한국은 또한 전기 수송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 스마트 국가 그리드"를 가지기 위해서 셰계에서 첫번째 국가가 되기를 겨냥하고 있다.

다른 지역에 거대한 지출을 주고, 한국의 녹색 새 딜 재생 에너지 지출은 실망스럽게도 8천만파운드 적다. 대부분 태양 에너지 가정, 광전지 히팅, 아파트 온도 파워이다. 정부는 적은 방출과 연료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12개의 핵발전소를 포함하며,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새 발전소에 37조원을 투자하기로 오래 전에 계획을 발표했었던 것이 이유이다.

정부 조언자는 한국은 비교적 작고 혼잡한 땅, 큰 지역의 바람을 위한 잠재, 태양열 프로젝, 강은 중국과 미국의 그것보다 훨씬 하이드로 파워 잠제가 적기 때문에 제한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녹색 새 정책 전 조차도, 기술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밀물 전력소를 만들기 시작했다. 올해 말에 끝날 때면, 시화에 있는 254MW 수용량의 전력소는 일년에 862,000 베렬의 석유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공급하게 될 것이다. 3배의 밀물 전력소가 강화에 계획된다.

다음 20년이 넘게, 정부는 2030년까지 110조원의 재생 에너지에 투자할 것이다. 이는 11%의 대부분의 에너지 혼합이다. 이는 중국,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서 비교적 적은 야망인 반면에 2007년의 2.4%의 큰 개선이다. 충래권, 한국의 기후변화 대변인은, 6월까지 정부는 녹색 가스를 줄이기 위해서 첫번째 타겟을 발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녹색 정책은 이제 시작일 뿐"

존 아쉬톤, 영국의 기후 변화 특별 대표, 한국이 빨리 움직인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적은 탄소 전환에서의 이른 움직임은 한국경제에 좋고 한국 회사에 좋다고 동의가 증대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청와대에서, 김은 한국은 1990 후반에 인터넷을 받아들여 지금과 같은 열정을 가지고 녹색기술을 포괄하는 시점이라고 말한다.

"2020년까지, 우리는 녹색기술을 위한 적어도 최고 5개 국가가 될 것이다"고 미래전망 대통령 대변인이 말한다. "국가로서, 우리는 경제 동물 보다는 매력적이고, 세계사회로 부터 존경받고 싶다"고  말한다.

"적은 탄소, 녹색 성장을 위해서 대통령이 연설한 이래로 7개월이 흘렸다. 그러나 너무 많은 것이 바뀌고 있다. 모든 사람들인 지금 녹색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이는 한국인들의 강점이나 약점일 수 있다. 그러나 한번 동의에 도달하면 우리는 아주 빠르게 움직인다." 고 말했다.


한번 번역해 봤습니다. 초보 번역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원본은 아래 있습니다.
---------------------------------------------------------------------------------------

outh Korea lights the way on carbon emissions with its £23bn green deal
Seoul's huge financial stimulus package pledges 81% for a swath of environmental projects. But activists fear a wave of construction may increase the country's carbon footprint
Digg it
Jonathan Watts in Seoul
The Guardian,         Tuesday 21 April 2009
Article history

Seoul's vision for a greener future includes changing a million lightbulbs Photograph: Chung Sung-Jun/Getty Images

The secretary for future vision is considering how many South Koreans it takes to change a million lightbulbs. No joke.

Kim Sang-hyo, the president's extravagantly titled right-hand man, is trying to create more than 940,000 green jobs and improve his country's energy efficiency at the same time. Switching every bulb in every public building in South Korea to light-emitting diodes by the end of this year is one, very small, element in the master plan of what has been described as the greenest new deal on the planet.


South Korea: Greenest new deal? Link to this audio
Since the start of the financial crisis last year, governments across the globe have been talking up the environmental content of their fiscal stimulus programmes and being judged by their efforts to save the planet. US president Barack Obama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ve been praised for their ambitious plans to invest in renewable power, clean transport and energy-efficient buildings. Britain, by contrast, has been castigated for the relatively miserly sums it has so far committed to green projects. Alistair Darling's budget tomorrow will be closely scrutinised from the same perspective.

But no matter what the UK promises, it will pale in comparison with the green boasts of South Korea's 50tn won (£23bn) plan. According to an international ranking by the bank HSBC, 81% of the money is earmarked for green projects, easily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world and vastly more than the 7% share in the UK.

So how will South Korea spend all that money? The first challenge for Kim is co-ordinating how this huge sum - equivalent to 2.6% of GDP - should be doled out. He must face both drooling construction industry conglomerates and suspicious environmental groups while creating jobs and lifting a nosediving economy. Many Koreans believe the apparently green spending will turn out to be heavily grey.

At his office in the presidential Blue House, Kim says he is tasked with a fundamental restructuring of the South Korean economy and energy structure, which is 97% dependent on expensive imported fuel. "The president realises that now is the time for change," he says.

Over the next four years, the government promises to build a million green homes,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a million more, invest £1.2bn on research into low-carbon technologies and spend £4.8bn on high-speed railways and other forms of "clean" transport.

More than 2,500 miles of bicycle expressways will be built, including a 175-mile stretch alongside the demilitarised zone boundary with North Korea. By 2020, expanded subway, railway and electric car ownership is expected to reduce greenhouse gases from transport by 20%. The forestry sector will employ an extra 50,000 people to increase carbon sink capacity and build the country's first wood pellet fuel mill.

The UN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has praised the example set by his homeland. But environmental groups warn the plan is not nearly as green as it seems.

The biggest and most controversial item of expenditure is the "renewal" of four rivers, ostensibly to reduce the risk of drought. The project is likely to mean more dams and concrete embankments. Critics suspect it will be used as a cover to push through the president's widely opposed goal of building a canal through the centre of the country. There are fears too that developers will use the excuse of "ecohome" building to tear up strips of green belt outside Seoul.

Many also question the wisdom of building long-distance cycle paths they think will benefit the cement industry more than the environment.

"This is just old-style fiscal spending with a new label. At the end of this 'green new deal', Korea will definitely be a greyer country," said Oh Sung-kyu, general secretary of the Citizen's Movement for Environmental Justice. "The problem is that in Korea, jobs equals concrete."

With few specific details about how the money will be spent and no estimate of the impact on carbon emissions, environmental auditing of the plan is difficult. Diplomats and local journalists said the true amount of green spending was likely to be far below 81%. In the short term, some suggest, South Korea's carbon footprint could even go up as a result of the burst of construction. But Kim denies these accusations. "Our projects are all related to lowering emissions. They will definitely reduce our carbon emissions."

President Lee Myung-bak may have a long way to go before he can persuade sceptics that he has turned over a green new leaf. Lee is a former head of Hyundai Construction, one of the world's biggest cement pourers. As mayor of Seoul, his best-known "green" project was the development of Cheongye stream, which was uncovered and now runs on a concrete bed, beside concrete walkways and neon-illuminated concrete walls.

Concern for the environment has traditionally been a low priority in South Korea's development, which has long centred on energy-intensive heavy industry. Green groups say the world's 13th biggest economy pours almost twice as much cement as Japan and is three times worse for energy inefficiency.

However, the business-oriented president says the country must turn green to improve its corporate competitiveness. To sell his green growth plans to the nation's conglomerates - known as chaebol - he has stressed that moving early on low-carbon technology will give South Korea a head start over rivals around the world.

Hi-tech companies, such as Samsung, Hyundai and SK, have already begun investing in energy-saving technologies that use their expertise in semi-conductor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government hopes to accelerate the move to green-tech powerhouses by offering incentives and support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Hyundai and Kia will get financial support to develop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South Korea also aims to be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have a "smart national grid" that uses information technology to maximise the efficiency of electricity transmission.

Given the huge sums spent in other areas, the renewable energy spending share of South Korea's green new deal is a disappointingly low £80m, mostly on solar-powered homes, photovoltaic heating and geothermal power sources for apartment blocks. Part of the reason is that the government had previously announced plans to invest 37tn won from 2009 to 2022 on new power plants, including 12 nuclear plants,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lower emissions.

Government advisers say South Korea's relatively small and crowded land area limits the potential for large-scale wind and solar projects and the rivers have far less hydro-power potential than those in China and the US. But even before the green new deal, engineers had begun work on the world's biggest tidal power plant. When it is finished later this year, the 254MW capacity plant at Siwha will supply the energy equivalent of 862,000 barrels of oil a year. A three times bigger tidal power plant is planned at Ganghwa.

Over the next 20 years, the government says it will invest 110tn won in renewables so that by 2030, they make up 11%of the overall energy mix. While this is far less ambitious than China, Europe or the US, it is a big improvement on the 2.4% share in 2007. Chung Rae-kwon, South Korea's climate change ambassador, said that by June, the government will announce its first target for reducing greenhouse gases: "The green new deal is just the start."

John Ashton, special representative for climate change for the UK Foreign Office, said South Korea was moving fast. "There seems to be growing consensus in Korea that being an early mover in the low carbon transition is good for the Korean economy, and good for Korean manufacturers."

At the Blue House, Kim says South Korea is on the point of embracing green technology with the same fervour that it adopted broadband in the late 1990s.

"By 2020, we'd like to be at least in the top five nations for green technology," says the presidential secretary for future vision. "As a nation, we want to be charming, to get respect from global society, to be seen as more than an economic animal.

"It has been only seven months since the president made the speech calling for low-carbon, green growth, but so much is changing. Everyone is now talking about green things. It may be a strength or a weakness of Korean people, but once we reach a consensus we move very quickly," he said.
IP : 91.104.xxx.11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5877 8개월 아기.. 빈혈이래요.. 5 빈혈.. 2006/04/17 592
    305876 테이블 세팅할때... 2 table 2006/04/17 257
    305875 "베베궁"에 보내시는 분 계신가요? 1 조언 2006/04/17 265
    305874 독일 뮌헨 요즘 기온 아시는 분 계세요? 3 뮌헨 2006/04/17 173
    305873 같이 사셔야 하나요? 2 친정부모님 2006/04/17 846
    305872 총명할 민: 한자 어찌 쓰는건지요? 4 급해요 2006/04/17 1,475
    305871 7세 유치원생활 12 유치원생활 2006/04/17 742
    305870 'pc 끄기'가 안돼요. 5 알려주세요 2006/04/17 408
    305869 산들, 대덕밸리 어린이집 어떤지 아시는분 조언좀...(대전) 어린이집 2006/04/17 237
    305868 임테기 예정일 전에 해보신분!!!! 2 궁금이 2006/04/17 268
    305867 어린이집 행사 다 참석시키시나요? 6 예민맘 2006/04/17 486
    305866 아이 혀가 헐었어요..ㅠㅠ 3 안쓰러워 2006/04/17 237
    305865 아가월드 빙뱅붐 어떤가요 4 빙뱅붐 2006/04/17 273
    305864 집이 있으면 의보나 국민연금 내나요? 5 설마.. 2006/04/17 634
    305863 보험가입시 검사 결과로 병원에서 재검사를 받으라고하네요. 2 보험가입 2006/04/17 252
    305862 이 노래 제목 아시는 분 계시나요? 2 궁금이 2006/04/17 659
    305861 사람을 만난다는 것 5 20대 2006/04/17 811
    305860 공동명의요..집살 때 7 ^-^ 2006/04/17 718
    305859 아기 입술 안쪽에 구멍이 있어요. 이게 뭘까요? 2 ? 2006/04/17 479
    305858 '하늘이시여'에 나오는 핸드백요~ 8 궁금해요 2006/04/17 1,878
    305857 답답한 심정.. 4 .. 2006/04/17 943
    305856 어깨통증에 좋은 방법 12 어깨아픈이 2006/04/17 863
    305855 메신져할때 마이크.. 3 컴퓨터 2006/04/17 208
    305854 인천에서 원룸을 구하려 하는데요.. 2 123 2006/04/17 171
    305853 <질문> 코스트코에서 파는 대용량 스타벅스커피 맛 괜찮은가요? 5 커피맛 2006/04/17 1,274
    305852 고민되네요 한글떼기 2006/04/17 179
    305851 미국 보스턴서 살 만한거..알려주세욤...ㅎㅎ 4 승범짱 2006/04/17 426
    305850 유치원에서 하는 행사.. 안보내시는분 계시는지.. 7 유치원생맘 2006/04/17 534
    305849 7세 남아 한글 학습지 추천해주세요. 4 아이맘 2006/04/17 362
    305848 밀레라 카는 청소기 6 청소기맘 2006/04/17 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