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저도 선생님이 될 수 있을까요?

제2의삶 조회수 : 1,280
작성일 : 2009-01-21 18:30:35
제가 제 힘으로 객지에서 대학 다니고 시집 자금까지 마련해야해서
적성이랑 상관없이 명문대 경영학과를 갔어요
단순히 급여를 많이 받을 수 있을거 같아서요


9년 회사에 충성하여 목표한만큼 돈도 모으고
신랑도 제가 하고 싶은 것을 해보라고해서 회사에 사직서를 냈어요


혼자만의 시간이 많아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되는데
어릴때부터 꿈이었던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
제가 아기들을 워낙 좋아하고 가르치는 것도 좋아해서
초등학교나 중학교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


서른 초반이란 나이와 제 전공...
어떻게 하면 제가 선생님이 될 수 있을까요?
인생 선배님들께 여쭈어봅니다.
IP : 211.189.xxx.119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9.1.21 6:38 PM (124.61.xxx.67)

    저는 교사 자격증을 따고 이런저런 이유로 임용을 보지 않은채 시간 강사와 기간제를 하고 있어요.
    일단 자격증을 따야하는데, 초등학교 교사는 교대를 나와야해요. 이대 초등교육과와 전국 교대를 가셔야 합니다.
    중등교사도 대학에서 교직 이수를 해야하는데 제가 학교 다닐때는 대학원에서 따는 방법도 있었습니다.
    교육 대학원을 먼저 알아보시고 교사 자격증을 주는지 확인해보세요.
    자격증 따시고 나서는 임용고시 보시면 되고요...^^
    저랑 나이도 비슷하시네요. 저도 아이 낳고 이제야 임용고시 도전할 생각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꿈을 이루세요^^

  • 2. ..
    '09.1.21 6:45 PM (121.188.xxx.96)

    요즘 젊은이 보면 안타까워요.
    우리 아이들 살날이 점점 힘들어지네요.
    저희땐 국립대 사대 나오면 바로
    교사되고-등록금 20만원대-
    교대는 2년만 다니면 되고
    사립대 나오고 교사 자격증 있으면
    임용시험 봐서 교사되기 쉬웠어요.
    제 친구는 태백가란다고
    발령 받고도 안갔죠.

    집값도 싸고 대학에 낭만도 있었고
    부모님도 고용이 확실했고
    먹을거리도 좋았고요.
    젊음이 부러우나 전 지금 태어나서
    치열하게 살 자신이 없네요.

    그나마 옛날에 태어나서 밥 안 굶고
    결혼도 한것 같아요.
    인구가 줄면 다시 그런날이 올까요?
    사는게 전쟁이네요.
    원글님 힘내서 좋은 샘 되세요.

  • 3. .
    '09.1.21 6:50 PM (121.136.xxx.182)

    요즘은 학부때 전공이나 부전공을 한 과목과 동일한 과목으로 교육대학원에 들어가야 중등 2급 정교사가 나온다고 들었습니다. 각과별로 학부에서 기본이수과목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요.
    초등교사가 되려면 교대나, 교원대 초등교육과, 이대 초등교육과를 수능을 통해 들어가셔야 하며(그동안은 편입이 있었는데 없어진다는 얘기가 있었고..현재 없어진건지는 모르겠네요), 중등은 원하는 사범대에 편입하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학교마다 다를 수도 있으니 원하는 학교 교학과에 문의해 보시는게 젤 빠를듯 하네요.

  • 4. 꿈은
    '09.1.21 6:54 PM (116.126.xxx.236)

    아름다우나........
    35세 이후에 교사생활 시작도 그리 만만치는 않을거예요.

    지금 하신 일을 기반으로 비슷한 일 쪽에서 찾아보시는게 즣을것 같습니다. 아니면 관련된 공부를 더 계속하셔서 전문직종 자격증에 도전하시던가.
    다시 대학, 대학원부터 시작해서 임용고시보고 어쩌고..........잘되면 다행이고 안되면 아무짝에도 쓸데없는 공부되기 딱 좋은 분야지요.

    별로 권해드리고 싶지 않아요. 정말 기가 많이 빠져나간다는 느낌이 드는 직종이예요.

  • 5. 열심히 하시면
    '09.1.21 6:55 PM (125.178.xxx.171)

    요즘 교대나 사대 좋은학과는 커트라인 엄청나죠, 교대도 서울 경기지역같은 경우에

    임용시험 경쟁률이 2.대 초반입니다.

  • 6. 교사
    '09.1.21 7:12 PM (218.51.xxx.38)

    학교 다니실때 교직이수 안하셨으면,
    다시 돌아돌아 그 길을 다시 밟는것은 정말 너무너무 어려워요.
    교직 이수 할수 있는 과는 입학도, 편입도, 교육대학원도 너무 치열하구요.
    설령 교사 자격증 받았다 하더라도
    다시 임용 봐서 시험 합격 할때 까지는 너무너무 힘들답니다.

    단순히 어렸을때 꿈이 선생님이었다..
    애들이 너무 이쁘다..
    이런 생각으로 그 힘든 과정을 다시 하신다면,
    전 진심으로 말리고 싶네요.

    막상 교사 되고 보니,
    애들 아무리 이뻐도...
    똑같은 사회 생활이예요.
    교사들 사이에서 이상한 사람들도 진짜 많구요.
    학부모한테 시달리기도 하구요.
    잡무도 얼마나 많은데요.
    단순히 애들 이쁘고, 어렸을때 하고 싶었다는 생각으로 시작하신다면,
    전 정말 말리고 싶습니다.

  • 7. 막연히
    '09.1.21 7:21 PM (211.106.xxx.231)

    아이가 좋아서 하고 싶다라는 마음으로 하기에는 힘든 직업입니다. 위 댓글에도 있듯이 되기까지의 과정도 정말 길고 험난합니다.

    사람을 좋아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사람을 좋아해도, 이상한 사람 한 두 명과 만나면 완전히 다운 되는 직업입니다. 그런데 이상한 학부모, 관리자 많습니다.

    현실적으로 생각해보시고요. 교사될 노력으로 다른 것도 얼마든지 하실 수 있을 겁니다.

  • 8. 동감
    '09.1.21 7:31 PM (121.136.xxx.182)

    차라리 학원쪽이 어떠신지...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위 두분들의 의견 절대 공감합니다.
    아이들만 열심히 가르치면 되는 줄 알지만,,,
    그게 다가 아니거든요. 사회생활이라는 말 그대로여서
    이상한 관리자, 잡다한 행정적 업무들 밖에서 보는 거 이상으로
    스트레스 많이 받습니다. 소진된다는 표현이 딱 옳은 것 같아요.
    특히 창의적이고 자기주장 확실한 분들은 이 경직된 교직사회에서
    버티기 힘들어요.

  • 9. 교사생활
    '09.1.21 7:32 PM (121.169.xxx.32)

    예ㅅ날처럼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전문적인 지식은 둘째더라도 요즘 아이들이
    얼마나 힘들고 피곤한 생활인지 그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도 많아 (학생이라고 생각할수 없을정도로)
    대담하고 희생적인 마음가짐 절대적입니다.
    단순한 직업으로 생각하고 임한다면 아이들도 다 알아먹어
    말발 안통합니다.

  • 10. 단아
    '09.1.21 7:49 PM (121.161.xxx.99)

    교육대학원이나 사범대, 이대 초등교육과에 편입하셔야 합니다
    아니면 수능을 다시 보거나요
    편입할 실력이 되신다면 임용고시가 비교적 수월한 초등교사를 권하고 싶네요
    서른 초반이시면 아주 늦는 것도 아닙니다
    꿈 찾아가는 데 늦는 게 어디 있나요 ^^
    물론 현실적인 문제(윗분들께서 말씀하신..)는 감안하셔야겠죠
    어느 직업인들 어렵지 않겠어요

  • 11. 강석
    '09.1.21 7:56 PM (221.121.xxx.143)

    학교생활 만만치 않습니다.
    아이들이 이쁘시면 학원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학교는 가르치는 것 외에 너무 너무 잡무가 많습니다.
    수업시간이 제일 행복하고 점심도 제대로 먹지 못할 정도로 일이 너무 많아요
    (학교마다 다르지만)
    저는 때때로 제가 교사가 아니라 채무 독촉원, 취조원, 회계원. 여행사직원, 사무직원인것만
    같아 속상합니다.

  • 12. 어린이집 추천이요
    '09.1.21 9:15 PM (59.23.xxx.53)

    어린이집 원장님하시면 서른 초반이라니 지금부터 방통대나 유아교육과 쪽으로 공부시작해도 늦지 않을것 같은데요?
    아이들이 예쁘고 마음이 고우시면 적성에 맞을것 같아요.
    사실 우리 어머니께서 다른 일 하시다가 자격증발급 대상이 되는걸 알고(예전에 대학을 가정과 나오니 되더라구요) 여성부에서 자격증 받고 어린이집 차렸거든요..
    50세가 넘으신 분께서 어찌하려고 걱정 했는데..
    정말 신나게 일하셔요~~아기들도 예뻐하고 학부모님들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말씀도 해주시는거 보고 잘하고 계시구나 생각하거든요.
    학교라는 사회조직안에서 꿈을 펼치시면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이 많을 것 같아요
    어린이집이나 학원처럼 작은 테두리 안에서 꿈을 펼쳐보시길 바래요.

  • 13. ....
    '09.1.21 9:25 PM (114.201.xxx.221)

    저 아는 분이 뒤늦게 공부해서 교대나와 30대 중반에 교사가 됐습니다.
    본인도 죽어라고 공부했다. 좋은 선생님이 되겠다면서 엄청 기뻐했습니다.
    그리고 몇 년 뒤 만났더니... 후회하고 있던데요.
    아이들도, 학부모들도, 동료교사들도, 교육제도와 실정도, 주어진 업무도...
    어느하나 생각했던 것 같지 않고, 체력도 많이 딸린답니다.
    늦게 교사가 되려고 모든걸 참고 공부만 한 몇 년이 아깝다고까지 하더군요.
    님이 생각하시는것처럼 '귀여운' 아이들 사랑으로 가르치기만 하면 되는 직업은 아니라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

  • 14. ㅎㅎㅎ
    '09.1.21 10:30 PM (121.55.xxx.242)

    다른거 제쳐두고요.. 여기 게시판에서 교사 관련된 글올라올때 찬찬히 읽어보세요. 그런 사회적 의식과 냉대 받으면서까지 교사를 하고 싶은지요.

  • 15. 진행중
    '09.1.22 6:33 AM (121.191.xxx.197)

    페이지가 많이 뒤로 넘어가서 읽으실지 모르지만 비슷한 처지라 남겨봅니다.
    저는 결혼, 출산 후에 저도 교육대학원에 진학해서 공부 중인데요.....
    위에서 현실적인 어려움들 잘 말씀해 주셨네요. 모두 구구절절 옳은 말씀입니다.

    조금 보태자면, 경영은 교육대학원 진학이나 학부 전공 살리는 쪽은 힘드실 것 같고요.
    예전에 상업교육(?)이 있었는데, 선택과목하는 학교도 많지 않고,
    요즘 상고가 많이 줄어드는 상황이라서요.

    결혼하셨으면 살림, 출산, 시댁 등 결혼 생활과 더불어 따라오는 일들이 공부와 병행하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본인은 육아/살림/공부 병행하느라 힘들어 죽지만, 다른 사람들은 집에서 놀면서, 할일이 없어 학교도 다닌다(?)라고 생각하기 십상이거든요. 실제로 맞벌이 였을 때보다 육아나 집안일에 대한 남편의 분담도 줄어들었고요. 정말 엄마가 해주는 밥 먹고 학교 다닐 땐 그 많은 시간 다 뭐 했나 싶을 정도랍니다. ^^;;

    현실적인 어려움에 경제적으로도 기회비용(투자 시간/비용+공부하는 동안 포기하는 수입/경력) 대비 나중에 돌아올 현실적인 댓가에는 많은 의문점이 있지요.
    사기업 9년차시면 받으셨던 연봉(+사회적 대우)도 어느 정도 되실텐데,
    교사로 임용이든 사교육이든 처음 시작하는 단계에선 지금의 수준에는 훨씬 못 미칠 테니까요.

    혹시 직장/사회생활로 심신이 지치신 상태는 아니신지?
    자신에 대해 진지하게 점검해 보시고....현실적으로는 현재 직업에서 행복을 찾으시고
    더 전문적으로 커리어를 쌓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정말! 이 모든 것을 감수하시고 원하신다면...하셔야지요!
    내인생 누가 대신 살아주는 것도 아니고, 앞날이 창창한데요!

    저도 현실적으로 참 쉽지 않지만(체력/경제/시간 등) 힘듭니다만,
    배워서 남 주고 싶어...나름 열공모드인 아줌마입니다.

    어떤 선택을 하셔도 님의 결정을 응원하는 많은 주위 분들이 계실테니까요~ 화이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2669 당근쥬스 미리 갈아놓아도 저녁까지 변질안되나요? 4 . 2009/01/21 554
432668 미래사진관 10 으음 2009/01/21 691
432667 Martin Niemller 목사의 "그들이왔다(They came)" 2 이젠 내차례.. 2009/01/21 446
432666 재개발...(부끄러운 고백) 2 함께 맞는 .. 2009/01/21 1,026
432665 목격자의 생생한 증언 "용산 철거민사건" 24 오마이뉴스 2009/01/21 1,435
432664 속상해요.. 6 미국산 시른.. 2009/01/21 490
432663 230V 제품을 220V 콘센트에 사용할 수 있나요? 1 230V 2009/01/21 551
432662 10개월 아기가 아파서 5일째 암것도 못먹어요 어쩌죠? 9 아기엄마 2009/01/21 785
432661 연금저축 연말정산 반영 금액 물어보신 분.. 4 오지랖 2009/01/21 638
432660 [이 와중에..-_-;;]저번에 공구했던 쯔비벨무스터 8 ኽ.. 2009/01/21 968
432659 이번에도 꾼들이라니...-_-? 3 2009/01/21 545
432658 저같은 이유로 교회를 안나가시는 분이 계신가요?! 27 교회를 안나.. 2009/01/21 2,348
432657 비정규직근로자 능력개발카드 신청하세요. 도움이되시길.. 2009/01/21 1,009
432656 연말정산 첨으로 합니다. 3 햇살 2009/01/21 454
432655 자식때문에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슬픔때문에... 67 어떻게 풀까.. 2009/01/21 12,340
432654 앙프라는 기저귀 아시나요?어떤지요? 1 궁금 2009/01/21 309
432653 촛불 집회 이후 사라진 전경 가족을 찾습니다~~~ 7 전경 가족을.. 2009/01/21 1,081
432652 재개발시 세입자에게 보증금 안 돌려주나요? 5 완소연우 2009/01/21 754
432651 발신자에 찍힌 전화하면 없는 번호라 하는데요 6 누구세요? 2009/01/21 1,236
432650 서울시청근처.. 1 부산궁금이 2009/01/21 571
432649 이번 설 연휴, 강추위가 예상된다는데 어떻게 입어야 따뜻할까요?? 3 추위 대비 2009/01/21 656
432648 용산구 사는데요 5 용산구민 2009/01/21 1,145
432647 아.. 시부모님 돈 요구.. 정말. ㅠㅠ 69 .. 2009/01/21 7,780
432646 딸아이의 이상한..행동 (맘들도움요청해요) 14 고민맘 2009/01/21 2,558
432645 혹시 성경과 관련된 동화책이나 그림을 찾고 있는데요 무엇이 좋을까요? 5 쭌이맘 2009/01/21 434
432644 19년된 아파트 ..잘 사는걸까요? 16 내집장만 2009/01/21 2,422
432643 아기 이유식 먹이기 너무 힘든데요.. 도와주세요~ 2 초보맘 2009/01/21 356
432642 꺼진 눈꺼풀 자가지방 이식해보신분... 1 .. 2009/01/21 497
432641 아파트 올 가을쯤에 사면 괜찮을까요? 2 아파트 2009/01/21 774
432640 원산지 표시가 전혀 없는 갈비셋트가 선물로 왔네요! 6 기분나뻐! 2009/01/21 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