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멸치 푹 고아서 육수 내시는 분들 계신지요?

멸치 조회수 : 3,292
작성일 : 2009-01-02 14:51:06
보통 멸치는 오래 끓이면 쓴 맛이 난다고 일찍 건져내지요.

저도 그렇게 배워서 멸치 육수는 언제나 맑고 투명하게만 끓여 왔어요.

그런데 이번엔 머리, 내장을 뗀 멸치를 흐물흐물해 질 때까지 오래 고아봤어요.

멸치 양을 많이 해서요.

색은 불투명하고 뿌연 색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맛이 너무나 마음에 듭니다. 아주 달고 진한 국물이 되었어요.

맑은 육수도 좋지만 뿌옇고 진한 육수의 맛도 아주 좋아요.

혹시.. 이렇게 해 드시는 분들 계시는지요?




IP : 114.205.xxx.3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맘
    '09.1.2 2:58 PM (121.148.xxx.90)

    저도 뿌옇게 우려요...열심히..그리고 양파도 넣고 오늘도 넣고 육수내서
    김치넣고 빚은 만두 넣어 먹었어요...방학이니 애들이 감탄해서 고마워요..
    엄마가 한게 젤 맛있다는데,,,이제 서서히 지쳐가요..
    나도 누가 해준 밥좀 먹었으면...

  • 2. 저두요..
    '09.1.2 3:07 PM (125.188.xxx.27)

    사골 우리듯 해요. 멸치를 좀 비싼걸 써서 그런지
    머리랑 내장 제거 안해도 쓴맛 거의 없어요.
    잠깐 끓이면 왠지 멸치에 영양성분이 그대로 있는듯 해서..^^;;
    근데 아무리 오래 끓여도 멸치 영양분이 3%(?) 정도밖에 안 나온다고
    어떤 요리 선생님이 그러시더라구요. 웬만하면 통째 먹으라더군요.

  • 3. 쉰훌쩍
    '09.1.2 3:11 PM (118.34.xxx.85)

    저역시 전문가들 몇마리넣고 슬쩍 끓여 내는것은 따라하지
    않아요 님처럼 많이 넣고 한참 우려서 국수말면 기가 차지요
    웬지 멸치영양가를 버리는듯 해서 흐물거리게 고아요.
    언젠가 옆지기가 그육수에 국수를 말아 주었더니
    "당신 안만났으면 이 맛을 못봤을거아냐" 하면서 극찬을 하더군요
    멸치국물덕이죠.

  • 4. 존심
    '09.1.2 3:13 PM (211.236.xxx.142)

    멸치 내장을 빼면 역시 쓴맛은 적어지겠지만 맑은 국에는 역시 너무 강하면 별로입니다. 그리고 국물이 뿌옇게 되는 것은 끓이는 방식과 관련되어있습니다. 즉 강한불에 펄펄 끓이면 육수가 탁해 집니다. 하지만 약한 불에 육수 표면이 약간씩 움직일 정도로만 육수를 내면 오래 끓여도 육수 색깔은 맑게 나오는 것입니다. 이는 육수의 기름기가 펄펄 끓으면서 공기와 함께 육수에 녹아 들어가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육수를 맑게 낸다고 덜 진하고, 뿌옇게 된다고 더 진한 것은 아닙니다...

  • 5. 국물
    '09.1.2 3:23 PM (222.111.xxx.227)

    하니 저도 어제 멸치국물 내어서 떡국을 끓여 줬지요..
    맑은 물 받아서 멸치 7~8개 넣구요(국물용 멸치 큰거),
    양파 반쪽, 청양고추 2개, 대파 1쪽, 무우 한조각, 생마늘3개, 소금, 국간장조금 이렇게
    제 생각대로 그냥 넣고 푹 30분 끓였는데요
    맑고 구수한 국물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에 계란을 풀어 넣어서 맑은 색은 허옇게 되었답니다. ㅎ ㅎ

  • 6. 아줌마
    '09.1.2 3:29 PM (211.232.xxx.125)

    전 고추장 멸치 정도 크기를 국물 낼때 씁니다.
    언제인가 식품공학과 교수가 말하는걸 들었는데
    멸치의 대가리에 칼슘의 창고이고
    멸치똥은 칼슘이 몸에 흡수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통째로 먹어야 좋다고 해서
    큰 멸치는 아무래도 약간 비릿해서 작은 멸치로 국물을 냅니다.

  • 7. ..
    '09.1.2 3:38 PM (118.221.xxx.139)

    저희 동네 수제비 가게는 멸치국물을 아침마다 4시간 끓여요. 일단 한 시간 끓인 후에 멸치 살을 다 발라낸대요. 그런 후에 뼈만 다시 넣고 세 시간 더 끓인다고 하더라구요. 향신야채도 넣구요.
    국물 맛이 일품입니다. 근데 집에서는 따라 할 엄두가 안 나대요.

  • 8. 코스코
    '09.1.2 5:23 PM (222.106.xxx.83)

    전 그냥 갈아서 육수를 내먹어요
    갈아서 먹으니까 그냥 통째로 다 먹어버려서 좋던데요

  • 9. 저두요!
    '09.1.2 5:28 PM (122.36.xxx.221)

    멸치 육수에 환장하는 여인네입니다.
    육수가 필요하다 싶으면 냄비에 물을 받아 미리부터 담가둡니다.
    그리고 보통 30분 이상 약불에 끓입니다.
    15분으로는 육수가 충분히 우러나지 않아요.
    멸치만 좋은 넘 쓰면 비린내 쓴 내 안 납니다.

  • 10. 슬로우쿠커
    '09.1.2 7:06 PM (116.121.xxx.45)

    슬로우 쿠커에 멸치 많이 넣고, 다시마,말린생우,홍합말린거 넣고 하룻밤두면 국물은 약간 노란빛을 띄면서 맑은 멸치육수가 많들어져요..
    존심님 글대로 슬로우쿠커라섀 약하게 오래끓어서 국물이 맑았나봐요..
    새로운사실 하나 배워갑니다~

  • 11. 저는
    '09.1.2 8:14 PM (59.8.xxx.92)

    아예 큰통에
    무우,멸치,다시마, 새우, 파, 양파, 버섯,호박, 배추,,,넣을수 있는건 그냥
    넣고 그냥 푹 끓입니다
    어느정도 우려놨다 싶으면 밖으로 내다놨다가 거기서 퍼 쓰면서 계속 끓여요
    이틀에 한번씩
    무가 물러질때까지 그렇게 해서 오래우려먹습니다

  • 12. 알밤엄마
    '09.1.2 9:24 PM (211.212.xxx.62)

    저는 애들을 위해 된장찌개 끓일 때나 국수를 삶아 줄때는 작은 멸치(한 2센cm정도)를 그냥 통채로 넣어 끓여 같이 먹게 합니당.

  • 13. 그런데
    '09.1.2 10:11 PM (211.176.xxx.169)

    슬로우쿠커에 끓인 육수랑 뽀얗게 우러나도록 끓인 육수랑은 맛이 달라요.
    끓이는 방법에 따라 맑을 지는 몰라도 뽀얗게 끓인 게 훨씬 달고 맛있어요.

  • 14. 1시간정도
    '09.1.5 2:31 PM (58.237.xxx.148)

    우려냅니다. 거의 한시간반정도.
    큰 냄비에 무우 하나 대충 썰어넣고 파머리부분 집어넣고 안먹고 굴러다니는 말린 버섯도 넣고 새우도 넣고 멸치두 넣고 뒤포리두 넣고 다시마두 넣고
    아주 진국으로 뽑아냅니다. 약간 씁슬하게..
    그래서 먹을땐 물을 약간희석합니다.
    맛나요..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4519 ↓↓↓↓ 쌍제이글 닥치고 분리수거,,,, 10 쌍제이글 2009/01/02 392
264518 촛불지지자들의 코메디... 3 ... 2009/01/02 453
264517 여긴 해외구요 한약 지으려 하는데요... 2 몸아파 2009/01/02 174
264516 초등학교 3학년 되는 여자아이의 설선물.. 8 후원자 2009/01/02 1,626
264515 겨울의 터키여행 많이 추울까요? 5 겨울 2009/01/02 631
264514 도와주세요..아데노이드 비데증 6 아이맘 2009/01/02 712
264513 하루만 좀 참아보지 7 12월 31.. 2009/01/02 1,023
264512 거기 아메리카노커피가 일반 커피보다 더 비싸거든요 12 스타벅스 커.. 2009/01/02 1,656
264511 2월에 신혼여행지 추천부탁드려요(3박4일 정도요) 2 부탁 2009/01/02 431
264510 전혀 맘에도 없는 사람 어떻게 거절 할까요? 5 ... 2009/01/02 816
264509 악플러를 대처하는 방법 3 ... 2009/01/02 271
264508 한복을 맞추러 다니면서 놀라웠던일들..... 16 아는게 힘이.. 2009/01/02 7,071
264507 맛없는 김치로 만두를?? 6 ㅡ.ㅡ 2009/01/02 780
264506 모두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4 하늘을 날자.. 2009/01/02 145
264505 맞벌이하면서.. 아이 둘 잘 키우는것 가능한가요? 11 직장맘 2009/01/02 1,287
264504 오늘 동영상으로 운세 무료로 볼 수 있는 곳 찾았습니다~ ^^ 2 외로운임산부.. 2009/01/02 713
264503 친정엄마 떔에 너무 속상해요 4 속상해 2009/01/02 1,095
264502 LPG 난방 저렴하게 사용할수있는 노하우 있을까요? 3 시골아줌 2009/01/02 513
264501 육아도우미 비용 이럴 경우에는 어떨지 여쭤볼께요 1 비용 2009/01/02 399
264500 선 볼예정인데 피부트러블이 -.- 2 .. 2009/01/02 338
264499 타미힐피거. DKMY. ROOTS 중에서.. 9 남성옷 브랜.. 2009/01/02 1,339
264498 저 입좀 누가 꼬매버렸으면 24 흠냐 2009/01/02 2,135
264497 무즙(?) 먹을 수 있는 기한이 어떻게 되는지요?? 감기 2009/01/02 157
264496 정초부터 떡국먹고 체해서 밤에 잠을 못 잤네요... 4 정초부터체... 2009/01/02 301
264495 성인싸이트 2 걱정 2009/01/02 1,289
264494 2주간 본 4편의 간단 영화관람기.(스포는 거의없음) 11 .. 2009/01/02 1,964
264493 ... 5 첫아이의 초.. 2009/01/02 602
264492 갈치조림 냄비 6 냄비 2009/01/02 726
264491 어제 김연아 스페설에 신봉선이 입고나온 옷 어디서 파는지 아시나요? 4 봉선 2009/01/02 1,492
264490 모두모두 감기조심.. 건강조심.. 2 새해인사 2009/01/02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