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저희나라"

솔이아빠 조회수 : 684
작성일 : 2008-12-23 16:42:05
오늘 맞춤법에 대해 많이들 말씀나누시길래
저도 평소 답답해 하던 부분을 올리고자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우리나라"를 "저희나라"라고 하는 사람들이 정말 밉고 화가 난답니다.
TV에서 나오는 많은 사람들이 특히 교수나 학자 등 고등교육을 받고 남에게 가르치는 사람들이
너무도 뻔뻔(?)하게 그럴땐 그사람의 다른 얘기들이 아무것도 들리지 않을 정도로 싫더군요.
아래글을 보시고 "우리"와 "저희"의 바른 사용법을 배워보실까요?


<질문>
"저희~ " 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어떤 경우에 적합한 것인가요?
저희 라는 말은 상대방에 대해 나를 낮추는 말인데, 학교나 나라를 사용함은 같이 낮추어 지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는 건가요? 저희 가족이라는 말은 적합한가요?
"우리 나라나 우리 학교" 라고 사용함은 상대방과 같이 공유함인데, 상대방이 우리 나라 사람이 아니어도 사용함이 적합한가요?
그럼, 상대방이 같은 가족인 아닌 경우, "우리 가족, 우리 엄마 등"을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것인가요?
" 저희" 와 " 우리" 라는 말의 사용에 정확하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우리나라
질문하신 내용은 1인칭 대명사 '우리'와 '저희'에 관한 것이죠? 먼저, 이 대명사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 세세한 질문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대명사 '우리'에는 크게 두 가지의 의미가 있습니다. 다음의 예문을 보시죠.

예문  (1) 우리는 너희들과 의견이 달라서 행동을 같이할 수 없다.
예문  (2) 우리 모두 힘을 합쳐 이 난관을 극복합시다.

보시다시피, (1)에 쓰인 '우리'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지 않고 자신을 포함한 주위의 사람들을 집단적으로 가리킵니다. 이에 비하여 (2)의 '우리'에는 화자와 청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희’는 ‘우리’의 낮춤말[겸양어]입니다. 상대방의 지위가 높아서 대우를 해야 할 경우에 화자 스스로를 낮출 때, ‘나’ 대신 ‘저’를, ‘우리’ 대신 ‘저희’를 씁니다. 그러나 언제나 ‘우리’를 ‘저희’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1)의 경우입니다. 다음 예문이 그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문  (3) 저희는 여러분들과 의견이 달라서 행동을 같이할 수 없습니다.
예문  (4) *저희 모두 힘을 합쳐 이 난관을 극복합시다. (*는 틀린 문장을 나타냄)

(3)의 ‘저희’는 ‘여러분들’이라는 상대방에 대해서 화자와 그 집단을 낮춘 것이기 때문에 가능하지만, (4)의 경우는 상대방인 청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낮춰 말할 수 없습니다.

자, 그럼  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을 살펴볼까요?

예문  (5) 우리나라 사람들은 부지런하기로 이름이 나 있다.

(5)에서 ‘우리’는 청자를 포함합니까, 그렇지 않습니까? 대개, 한국인 화자가 한국인 청자에게 말할 때 이런 표현을 쓰게 됩니다. 따라서 이때의 ‘우리’는 청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희 나라’로 낮춰 표현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청자가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라면 어떨까요? 이럴 경우에는 ‘저희 나라’라고 해야 맞는 걸까요? 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상대방이 외국인이어서 청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일개인이 낮추어 말하기에는 ‘나라’나 ‘민족’이라는 집단은 너무 큽니다. 또, 다른 나라나 민족에 대하여 우리의 나라나 민족을 낮추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나라’와 ‘민족’은 상대적 존재가 아니라 절대적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건 여담입니다만, 1인칭의 복수 표현을 ‘우리’와 ‘저희’라고 상황에 따라, 상대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는 언어는 극히 드뭅니다. 이것은 한국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지요. 외국어에는 이런 표현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러니까 외국인들은 이런 관념 자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굳이 이렇게 스스로를 겸양하여 나라 전체, 민족 전체를 깎아내릴 필요는 없겠지요.

다음으로, ‘우리 학교’, ‘우리 가족’, ‘우리 엄마’ 등을 사용하는 것이 잘못인가를 물으셨는데, 이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이것은 ‘우리’의 단수적 용법에 해당하는 것인데요, 의미상으로 명백히 단수이지만 복수 형태를 쓰는 경우입니다.

예문  (6) 우리는 지금까지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6)은 논설문이나 논문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인데, 서술을 객관화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 ‘우리 학교’, ‘우리 가족’, ‘우리 엄마’ 등의 ‘우리’는 이와 같은 단수적 용법에 해당합니다. 이것은 왜 가능할까요? ‘학교’, ‘가족’, ‘엄마’ 등 ‘우리’의 꾸밈을 받는 말이 ‘나’ 개인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공유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우리’를 ‘저희’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우리 학교’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와 유사하면서도 또 다른 점이 있습니다. 같은 학교 구성원, 예컨대 교장선생님이 학생들에게 훈시를 한다면 그때는 청자가 같은 집단에 속하기 때문에 (4)와 같이, 낮추면 틀린 표현이 됩니다. 그러나 청자가 그 학교의 구성원이 아닐 때는 청자에 따라서 ‘우리 학교’나 ‘저희 학교’가 선택적으로 쓰일 수 있는 것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중, 상대방이 같은 가족이 아닌 경우에도, ‘우리 가족’, ‘우리 엄마’를 쓸 수 있고, ‘저희 가족’, ‘저희 엄마’를 쓸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누구이며, 상황이 어떤가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다를 뿐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IP : 121.162.xxx.9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12.23 4:43 PM (116.39.xxx.70)

    이거 명박씨가 알아야 하는데 말이죠...

  • 2. 솔이아빠
    '08.12.23 4:47 PM (121.162.xxx.94)

    맞아요. 특히 한나라당 의원들이 주로 "저희나라"를 많이 쓰더라구요.ㅎㅎㅎ

  • 3. 맞아요
    '08.12.23 5:00 PM (211.229.xxx.223)

    저도 TV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특히나 연애인들 스포츠 선수들 심해요.
    자신을 낮추는건 좋은데 나라를 표현할때는 생각좀 하고 말했으면 좋겠습니다.

  • 4. 이런것도
    '08.12.23 5:14 PM (121.146.xxx.147)

    우리나라사람이 우리나라를 말할때 한국에서 어쩌고 저쩌고....가 아니고,우리나라에서 어쩌고...해야 하는것 아닌지요? 또 공부를 가르키고 하는 말도 많이 쓰는걸 봤어요.^^

  • 5. ..
    '08.12.23 5:15 PM (121.188.xxx.131)

    입을 찢어놓고 싶어요.
    참 이승복 사건 진실이 모예요?

  • 6. 쟈크라깡
    '08.12.23 6:52 PM (119.192.xxx.176)

    한나라당은 영어 몰입을 너무 해서 모국어는 잘 몰라요.
    저희나라라고 해도 국어 몰입한 우리가 이해합시다. 대운하만 안 판다면.

  • 7. 상식적으로도..
    '08.12.23 8:02 PM (58.229.xxx.27)

    다른 나라에 대하여 우리 나라를 낮추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그 이유까지
    생각하지 않더라도요.

    우리 나라 사람끼리 TV나와서 저희나라라고 하는데...
    뭐~화가 난다기보다는 듣기가 참 어색해요.
    저희가 입에 붙어서 한두번 실수하는 것도 아니고 매번 그러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1879 울 아들 어린이집 고맙네요 5 흐뭇 2008/12/23 696
261878 공인중개사 아기까지 미루면서 공부해야 할까요? 16 공인중개사 2008/12/23 1,427
261877 고추장만들때 집에서 된장 만드는메주 갈아서 넣어도되나요 3 고추장할때 2008/12/23 334
261876 정말 황댱해요 7 황당해 2008/12/23 1,491
261875 뉴라이트, ‘명예훼손, 손괴 등’으로 민주당 검찰 고발 2 막강 뉴라이.. 2008/12/23 205
261874 아이가 먹질 못해 그런건지 축 늘어져 잠만 자고 있어요... 10 엄마는 엄만.. 2008/12/23 744
261873 김이태 연구원의 아내글 이랍니다 15 ㅠ.ㅠ 2008/12/23 1,535
261872 3주된 아기-손타는거요. 13 아기엄마 2008/12/23 1,641
261871 개인사업자유가환급금 8 궁금이 2008/12/23 773
261870 백태가 너무 많은데 어떻하죠? 8 2008/12/23 645
261869 "당신들이 흉부외과 의사들의 어려움을 알어?" ... 2008/12/23 623
261868 원래 이렇게 늦나요? 4 아직 2008/12/23 477
261867 부루마블게임 재미있나요? 성탄 선물로 어떨까요? 7 선물 2008/12/23 504
261866 40대 남자 반코트 추천좀 해주세요. 3 추천해주세요.. 2008/12/23 509
261865 혹시 임금삭감이나 미집급 되신분 계세요? 직장 현재 어떠신가요? 5 .. 2008/12/23 996
261864 미국에서 받을 5학년 선물(급해요) 2 선물 2008/12/23 200
261863 수도가 누수되는것 같대요~ 3 - 2008/12/23 360
261862 이름이.... 1 갱년기장애 2008/12/23 234
261861 우리 아이 유치원친구와의 대화. 11 웃음 2008/12/23 1,246
261860 나라 꼴 하고는... 1 늘푸른청년 2008/12/23 290
261859 가습기를 틀고 자면 코가 막혀요. 4 코코코 2008/12/23 741
261858 보드게임 "러시아워"선택문의 6 초보 2008/12/23 418
261857 아직 건강검진 안 하신 분들 계시면... 6 오늘 2008/12/23 1,455
261856 저승사자가 찾아온 꿈을 꿨어요 5 꿈풀이 2008/12/23 1,636
261855 모네타 회원이신분.. 3 ^^ 2008/12/23 483
261854 가입한 보험내역 4 강씨부인 2008/12/23 364
261853 닭튀김 맛있게 하는법좀 알려주세요 7 엄마로서 2008/12/23 1,403
261852 일제고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51 익명으로할까.. 2008/12/23 1,347
261851 중3딸의 행동이 걱정돼요 13 요나 2008/12/23 2,036
261850 대한민국에서 초딩으로 산다는것 2 아이들이행복.. 2008/12/23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