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인터뷰-체험학습 허가로 중징계 대상 된 전북 장수중 김인봉 교장

힘내십시오 조회수 : 637
작성일 : 2008-12-23 10:40:14
"수능결시 징계 안하면서 일제고사 징계?
23일 일제고사 학교 전체가 응시 안한다"
[인터뷰] 체험학습 허가로 중징계 대상 된 전북 장수중 김인봉 교장

    장재완 (jjang153)  

  
  
▲ 서울시 교육청의 일제고사 방침을 어기고 현장학습을 지도했던 7명의 교사에 대해 최근 파면·해임 조치를 취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전교조 소속 교사들과 시민들이 해임 교사의 복직과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 퇴진을 요구하며 20일 저녁 서울시 교육청 앞에서 촛불시위를 벌이자 경찰이 해산을 종용하며 시위대를 에워싸고 있다.  
ⓒ 남소연  일제고사


일제고사 대신 현장체험학습을 허락했다는 이유로 교육청으로부터 중징계 대상이 된 전북 장수중학교 김인봉 교장이 교육청을 상대로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 교장은 또 23일 실시되는 일제고사도 학교 전체가 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 교장은 지난 10월 교과부가 시행한 일제고사에 반발하며 현장체험학습을 신청한 8명의 학생들에게 이를 허락했다는 이유로 교육청으로부터 중징계 대상에 올랐다.



전북 장수중 김인봉 교장 "중징계되면 행정소송 불사"

    


김인봉 장수중 교장  
ⓒ 장수중  김인봉


그는 현재 교육청의 출석요구에 불응하면서 중징계가 결정될 경우, 행정소송 등 법적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김 교장은 22일 <오마이뉴스>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23일 실시되는 일제고사도 학교 구성원 간 회의를 통해 학교 전체가 응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일제고사는 모든 학생들을 똑같은 시험지를 통해 서열화하고, 그들이 가진 잠재력을 파괴하는 것으로 반대한다"면서 "그러나 이러한 생각을 학생들에게 강요할 생각은 전혀 없고, 그들의 선택이 존중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 정부와 교육당국의 태도에 대해 "100%의 찬성을 바라는 유신시대를 보는 것 같다"면서 "겨우 1만분의 1의 반대도 포용하지 못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인봉 장수중학교 교장과의 전화인터뷰 일문일답이다.


"현장체험학습 허가, 교직원회의 통해 결정"
  
  
▲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학부모, 학생,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2월 23일 진행될 일제고사 거부와 부당한 중징계처분이 내려진 교사들의 중징계 철회를 요구하며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 유성호  일제고사


- 어떻게 해서 일제고사 대신 현장체험학습을 허락하게 됐나?

"현장체험학습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48조 5항에 '학교장이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허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2008학년도 장수중 학업성적관리규정 제23조'에는 현장체험학습으로 인해서 출석하지 못한 경우, 출석으로 인정한다고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적법한 규정에 따라 지난 10월 일제고사 당시 체험학습실시 여부에 대해 교직원회의에 정식 안건으로 상정했고, 그 결과에 따라 실시하게 됐다.


당시 우리학교 3학년 61명 중 15명이 현장체험학습을 신청했다. 신청한 학생들에 대해 일일이 학부모 동의를 확인했고, 그 중 명확치 않은 6명은 시험을 보게 했고, 1명은 중도에 마음이 변해서 총 8명만이 체험학습을 하게 됐다."


- 일제고사에 대해서 반대하나?

"개인적으로는 반대한다. 그러나 나 자신의 생각을 학생들에게 강요할 생각은 전혀 없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일제고사에 대한 판단은 전적으로 학생과 학부모에게 맡겨야 한다. 그들의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


- 왜 반대하나?

"일반적으로 일제고사가 서열화를 유발하고 사교육비를 증가시킨다고 하는데, 내가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육의 본질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얼굴과 이름, 성격, 특기, 적성 등 모든 것이 다른 학생들을 똑같은 시험을 통해 한 줄로 세우는 것이 바로 일제고사다. 교육의 본질을 파괴하는 행위다. 모든 학생들을 똑같은 시험지를 통해 서열화하는 것은 그들이 가진 잠재적인 소질마저 모두 무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반대한다."


"수능시험도 빠지는데 왜 일제고사만 징계하나?"
  
  
▲ 서울시 교육청의 일제고사 방침을 어기고 현장학습을 지도했던 7명의 교사에 대해 최근 파면·해임 조치를 취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20일 저녁 서울시 교육청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전교조 소속 교사들과 시민들이 해임 교사의 복직과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 퇴진을 요구하며 촛불시위를 벌이고 있다.  
ⓒ 남소연  일제고사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교육당국은 일제고사를 강제로 시행하고 있다. 심지어 일제고사를 거부한 교사에게 중징계를 내리기도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인터넷을 통해 확인해 보니 올해 수능 결시생이 2만 9000명이나 됐다고 한다. 그렇다고 해서 결시생 담임교사나 그 학교 교장을 징계하지 않는다. 고입시험에서도 마찬가지다. 전북에서만 이번 고입시험에서 100명이 넘게 시험을 보지 않았다. 그렇다고 그 학생들 담임을 징계하나? 학생과 학부모들의 응시여부 판단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가 모두 존중하고 있다. 그런데 왜 일제고사만 응시여부에 따라 징계를 해야 하나? 정말 납득할 수가 없다. 일제고사가 그러한 시험들보다 중요한가?

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볼 때, 고입시험이나 수능시험이 일제고사보다 몇 배는 중요하다. 일제고사는 내신에도 반영이 안 된다. 학생에게 불리한 것도 없다는 말이다. 특히, 이번 일제고사를 거부한 학생들 중에는 결석으로 처리된 학생들도 있다. 자신들의 불이익을 스스로 감수한 판단이었는데, 왜 교사를 징계하나?


(정부의 태도는) 유신시대나 다름없다. 100% 찬성을 강요하는 것과 같다. 전체 학생 대비 일제고사 거부 학생은 1만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겨우 그 정도의 반대도 포용하지 못한다는 게 말이 되나? 우리 학교 학생들만 봐도 61명 중에서 53명이 시험을 봤으니까 87%가 응시한 것이다. 거부한 학생 8명, 겨우 13%다. 13%의 반대도 포용하지 못하고, 이를 허락한 교장을 징계하겠다는 것을 어떻게 납득할 수 있겠나?


이러한 징계를 통해 유지하는 일제고사는 교사나 학생, 학부모들의 저항에 부딪쳐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


- 징계 통보는 받았나?

"지난 12일경에 교육청으로부터 나를 중징계 요구했다는 통보가 왔다. 또한 장수교육청에서 4번이나 조사하러 나왔다. 처음 왔을 때 경위서를 써 주고, 나머지 3번의 조사는 거부했다. 이 후 도교육청 감사담당관실에서 두 번의 출석을 요구했지만 모두 거부했다."


- 거부 이유는?

"법적 근거에 의한 학교장의 정당한 직무행위는 비판의 대상은 될 수 있어도 징계의 대상은 될 수 없다. 근거가 명확한데 왜 징계를 받아야 하나? 그래서 협조할 수 없다."


- 그래도 징계를 강행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법적으로 대응하겠다. 행정소송을 제기할 생각이다."


"2학기에만 12번, 시험은 결코 부족하지 않다"

  
  
▲ 일제고사에 반대해 학생들의 대체수업을 허락한 교사들에 대해 중징계처분이 내려진 가운데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초등학교 앞에서 학생들이 부당한 징계에 반대하며 손피켓을 들어보이고 있다. 김윤주 청운초등학교 6학년 4반 담임선생은 지난 10월 일제고사 대신에 체험학습과 대체수업을 허락했다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해임통보를 받았다.  
ⓒ 유성호  일제고사


- 내일(23일) 있을 일제고사는 어떻게 하기로 했나?
"학생들은 이미 많은 시험을 보고 있다. 우리학교 3학년의 경우 이번 2학기에만 학생에 따라 다르지만,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도학력평가, 모의고사, 일제고사, 고입선발고사 등 적게는 7번, 많게는 12번까지 시험을 봤다. 결코 시험이 부족하지 않다.


내일의 일제고사는 학교 구성원 간에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서 학교 자율적으로 결정하라는 공문을 받았다. 그래서 학교 운영위원회의 간담회와 교직원회의를 거쳐 이번 시험은 보지 않기로 결정했다. 학교 전체가 보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조금 아쉬운 면도 있다. 왜 학교별로 응시여부를 결정하게 했는지 모르겠다. 다만 몇 명이라도 시험을 보고 싶은 학생이 있을 수 있는데, 그 들의 선택을 보장해 줘야 하지 않겠나? 희망학생을 조사해서 실시하도록 하면 될 텐데…."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얘기가 있다면?


"적법한 규정에 의해 현장체험학습을 허락하고,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한 학생들을 출석 처리한 게 왜 잘못인가? 왜 징계를 받아야 하나?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출석 처리한 교장은 징계대상이고, 결석 처리한 교장은 일을 잘한 교장인가? 납득할 수 없다."


2008.12.22 21:59 ⓒ 2008 OhmyNews
출처 : "수능결시 징계 안하면서 일제고사 징계?
23일 일제고사 학교 전체가 응시 안한다"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36362&PAGE_CD=N...


선생님...
선생님이란 단어가 전혀 아깝지 않을 분이시네요...
IP : 125.178.xxx.8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시대
    '08.12.23 10:44 AM (59.7.xxx.84)

    진정한 스승님이시네요. 힘내세요. 응원합니다.

  • 2. 정말
    '08.12.23 10:45 AM (222.239.xxx.35)

    휼륭한 선생님이십니다 ,,다른교장들은 뭐하는건지,,

  • 3. .
    '08.12.23 10:46 AM (124.137.xxx.130)

    추천1

  • 4. 정말
    '08.12.23 10:46 AM (121.179.xxx.100)

    나라꼴이 어찌되려는지..
    그래도 김인봉교장선생님 같은 분이 계셔서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네요..
    우리가 어떻게 해야하죠..
    아고라에 참여하고 탄원서 보내고 그래봤자인데..
    뭔가 할 수있는 일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 5. 이런...
    '08.12.23 11:03 AM (221.147.xxx.21)

    울 아이도 중2라 오늘 일제고사를 봅니다.
    일찌감치 학교에서 23일은 체험학슴을 받아주지 않겠다는 가정통신이 왔어요.
    아이와 참 많은 고민을 하였는데, 담임선생님께서 부모님과 잘 상의하여 체험학습
    신청하고 싶으면 하라고 하시더군요... 너무도 고마웠습니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정부의 행동에 담임선생님께서 이와같은 피해를 입으실까봐
    소심한 행동이라도 보여주고자 백지나, 일괄 답체크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왜 이런 고민을 해야하는지 서글픕니다.

  • 6. 아직도
    '08.12.23 1:51 PM (119.197.xxx.78)

    이나라엔 희망이 남아있는거 맞죠?
    아줌마인 우리도 분명 할일이 있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1744 저같은 아줌마 또 있을까요?? 11 아줌마는 아.. 2008/12/23 2,317
261743 나는 희망이다 - 많이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7 권태로운창 2008/12/23 543
261742 기모내의 4 ... 2008/12/23 440
261741 치과 견적 좀 봐주세요 13 이가 말썽... 2008/12/23 1,001
261740 이번주 독일여행 조언구합니다 4 이러글 죄송.. 2008/12/23 426
261739 왜? why? 설거지를 설겆이로 쓰십니까? 다들?? 89 아 불편해 2008/12/23 2,274
261738 남편도시락싸기 3 아일랜드 2008/12/23 912
261737 집에서 중국요리를 만들어보고 싶은데요... 5 중국요리 2008/12/23 395
261736 누구는 한번에 잘만드는데 난... 9 손이 저질... 2008/12/23 724
261735 정호진니트... 상설할인매장은 없나요? 1 .... 2008/12/23 641
261734 가슴이 두근거려요. 5 두근두근 2008/12/23 670
261733 검은콩 볶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7 밤참 2008/12/23 1,391
261732 김정문알로에 알카리온스페셜 쓰시는분 필.. 2008/12/23 228
261731 속도가 82쯤 되는데 찍힌것 같아요 15 춥따~ 2008/12/22 725
261730 넷북 혹은 노트북 조언 부탁드려요 4 조언구합니다.. 2008/12/22 352
261729 이런 시아버지 계실까여? 21 어렵군여,,.. 2008/12/22 1,755
261728 대구 주택가가 어디 있나요? 3 주택살고파 2008/12/22 384
261727 다시 촛불의 부활을 꿈꾸며 4 권태로운창 2008/12/22 294
261726 곰국 끓이는 방법좀 자세히 가르쳐 주세요 2 갓난이 2008/12/22 301
261725 한살림 이용시 유통기한? 8 고민 2008/12/22 400
261724 골뱅이 무침. 5 ... 2008/12/22 1,477
261723 남편의 카드 명세서에 찍힌 병원이름.... 4 두근두근 2008/12/22 1,682
261722 저 어떻해요... 4 2008/12/22 598
261721 정관수술에 대해서.. 13 ... 2008/12/22 811
261720 헌재, 26일 '미쿡쇠고기' 헌법소원 결정 4 -_- 2008/12/22 302
261719 자궁암검사후에...(산부인과 질문입니다~) 흑흑 2008/12/22 434
261718 사교육 형편은 안되고 공부는 해야겠고.. 4 고1영어 2008/12/22 1,019
261717 가미의 주먹밥과 수박빙수와 우동이 그리워요! 19 가미.. 2008/12/22 981
261716 순금 팔고싶은데 시세 괜찮은곳 추천해주세요 1 !! 2008/12/22 1,054
261715 I am sorry but.. 106 Dear F.. 2008/12/22 7,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