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두바이를 배우자

배우자 조회수 : 281
작성일 : 2008-12-08 12:56:33
“대통령·기자가 ‘두바이 배우자’는 건 우리나라 뿐”
입력: 2008년 12월 08일 11:41:43
  


보수 성향의 논객으로 알려진 중앙대 법대 이상돈 교수가 이명박 대통령이 개발 모델로 제시했던 두바이가 위기에 직면했음을 지적하며 이 대통령과 국내 언론을 비판했다.

이 교수는 8일 자신의 홈페이지에 띄운 ‘MB의 모델 두바이, 드디어 무너지나’라는 글에서 ’우리나라에서 대통령과 신문기자가 함께 ‘두바이 찬양가’를 부르는 동안 두바이는 속으로 곪을대로 곪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제 두바이의 운명이 다 한 것으로 보인다”며 “전 세계에 걸친 금융위기에서 두바이가 빠져나갈 수 없을 뿐더러, 두바이는 거품이 가장 심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심지어 두바이라는 도시국가 전체가 ‘엔론’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며 ‘더 타임스’, ‘이코노미스트’ 등 외신들의 보도를 통해 “도시 국가 전체가 엔론”이라 불리는 두바이의 상황을 전했다.

이 교수는 또 “두바이 정부의 채무가 100억 달러이고 공영기업의 채무가 700억 달러로 국가 총생산에 대한 부채 비율이 148%이며 두바이 국민 한 명이 4만 달러씩 외채를 지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자신과 더불어 ‘세계적인 탁월한 CEO’라고 했던 두바이의 통치자의 허황된 돈 놀음에 세계가 속았던 것”이라며 “바로 한달 전에 세계에서 가장 큰 쇼핑센터, 그것도 사막에 올림픽 사이즈 실내 아이스링크를 설치한 쇼핑몰을 개장한 것이 두바이 정부다. 그런 정부는 사실상 ‘미친 정부’이고, 그런 나라는 존재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교수는 “대통령은 물론이고 온 나라의 정치인과 사업가, 그리고 언론이 두바이를 배우자고 아우성 친 나라는 아마도 우리나라 밖에 없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9월 23일 새만금 연구단체 발족식에 보낸 축사에서 “새만금이 ‘동북아의 두바이’를 넘어 세계인이 감탄하는 메카”로 성장하도록 해달라고 당부 한 바 있다. 또 지난해 4월 한나라당 대선경선 후보 당시 두바이를 방문해 두바이 지도자인 세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 막툼을 만나 “(우리 두사람은) 세계적 CEO로 인정받는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 교수의 글 전문

‘MB의 모델’ 두바이, 드디어 무너지나?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이 무르익을 무렵인 2007년 4월 중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몇몇 계파 의원과 교수를 대동하고 두바이를 방문했다. 두바이가 추진하는 대형공사현장을 방문하고 두바이의 통치자인 세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막툼을 만나 환담했다. 이 전 시장은 자기와 두바이의 빈 라시-막툼 통치자가 “세계적 CEO로 인정받는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2007년 4월 12일자)

그 후 우리나라엔 난 데 없는 두바이 붐이 불었다. 인천 송도 신도시도 ‘한국의 두바이’이고, 부산의 신항만 개발도 ‘한국의 두바이’라고 둘러댔다. 전라북도는 새만금을 ‘동북아의 두바이’로 만들겠다고 하더니,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9월 23일 새만금 연구단체 발족식에 보낸 축사에서 “새만금이 ‘동북아의 두바이’를 넘어 세계인이 감탄하는 메카”로 성장하도록 해달라고 부탁했다. 기업인들의 두바이 탐방이 이어졌고, 대학생을 상대로 한 두바이 인턴 프로그램까지 생겼다. 하도 두바이 두바이 하니까 두바이가 되려면 그렇게 말로만 하는 게 아니라고 훈계하는 신문 칼럼이 등장했다. 지난 8월 6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두바이에 관한 오해’라는 사내 칼럼은 “두바이의 오늘은 30년간 일관된 외국 기업 유치정책,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과 관용, 치밀한 국가 마케팅 전략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점잖게 타일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대통령과 신문기자가 함께 ‘두바이 찬양가’를 부르는 동안 두바이는 속으로 곪을 대로 곪고 있었다. 그러더니 이제는 완전히 와해되는 길로 접어 든 것 같다. 지난 11월 8일 두바이에서 문을 연, 600개의 상점과 올림픽 규모의 실내 아이스링크를 갖춘 세계에서 가장 큰 쇼핑 몰은 ‘대와해(great implosion)’의 시작을 알리는 종소리였다.

두바이의 무리한 건설과 부동산 붐은 버블이라는 우려는 몇 년 전부터 있어 왔다. 그런 말이 나올 때마다 잠시 부동산 가격과 주가가 떨어졌지만 반등하기를 반복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석유가격이 올라갔던 것이 버블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고, 도널드 트럼프와 조르지오 아르마니 같은 세계적 투자자가 두바이에 호텔을 건설한 것도 두바이에 신뢰를 보태 주었다. 그러나 이제 두바이의 운명이 다 한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에 걸친 금융위기에서 두바이가 빠져나갈 수 없을뿐더러, 두바이는 거품이 가장 심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두바이라는 도시국가 전체가 ‘엔론’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영국 언론의 보도

지난 9월 29일자 <더 타임스(The Times)>는 전세계적 유동성 위기로 인해 타격을 입은 두바이의 부동산 가격이 붕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랍 에미레이트 중앙은행이 73억 9천만 파운드(130억 6천만 달러)를 투입했지만 주택 시장 침체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는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Reality bites for Dubai Property market boom’)

11월 21일자 <가디언(The Guadian)>에는 스티브 로즈 기자의 두바이 현지 보도 기사가 실렸다. 로즈 기자는 “두바이 버블이 자금 막 터졌다(The Dubai Bubble has burst.)”고 전했다. 그가 전하는 소식은 다음과 같았다. (‘How Dubai‘s fantasy skyline tumbled to earth’)

“두바이가 짓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버즈 두바이의 주관사인 에마르(Emaar)를 위시한 모든 업체가 직원을 해고하고 있으며, 한때 500만 파운드 나가던 팜 주메라이의 별장은 2달 전에 270만 파운드로 떨어지더니 이제는 180만 파운드로 추락했다. - - 두바이의 주가는 금년 초의 6,315에서 2,112로 추락했다. 에마르의 주가는 1년 전에 비해 79% 하락했다. - - 두바이는 이제 이미지만 남아 있을 뿐이다.”

11월 25일자 <더 타임스>는 두바이 정부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두바이 정부의 채무가 100억 달러이고, 공영기업의 채무가 700억 달러이고, 국가 총생산에 대한 부채 비율이 148%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두바이 국민 1인이 4만 달러씩 외채를 지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서 아랍 에미레이트의 중앙정부가 새로운 개발은행을 만들어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Dubai discloses details to assuage fears’)

‘걸프版 엔론’, ‘파티는 끝났다’

11월 27일자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도 현지 취재기사를 실었다. 현지의 관계자는 부동산 가격이 내년까지 80% 추락할 것이고, 개발회사의 주가도 80% 추락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걸프 지역 전체가 ‘엔론’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고 기자는 전했다. (‘Has the Bubble Burst?’)

11월 30일자 <더 타임스>는 ‘두바이에서 파티는 끝났다(The Party’s Over in Dubai’)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현지를 취재한 존 알리지 기자는 “신용경색이 걸프 지역을 경제 쓰나미로 덮쳤다”고 했다. 어떤 현지인은 “두바이는 모든 분야에서 1위가 되고자 했지만, 두바이는 붐과 폭발(boom and burst)에서 1위인 것을 내가 몰랐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기자는 두바이라는 “도시 국가 전체가 붕괴할 위험에 처했다”고 했다. 유일한 희망은 보수적으로 재정을 운영해 온 사우디 아라비아와 아부다비가 구해주는 것이나, 석유가격 폭락으로 적자 재정을 겪고 있는 이들 나라가 과연 어떤 조치를 할지는 기다려 보아야 하며, 그 구제책은 결코 공짜가 아니라고 했다. 즉, 두바이는 끝난 것이다.
두바이를 배우자고 외쳤던 우리나라

이명박 대통령이 자신과 더불어 ‘세계적인 탁월한 CEO’라고 했던 두바이의 통치자의 허황된 돈 놀음에 세계가 속았던 것이다. 바로 한달 전에 세계에서 가장 큰 쇼핑센터, 그것도 사막에 올림픽 사이즈 실내 아이스링크를 설치한 쇼핑몰을 개장한 것이 두바이 정부다. 그런 정부는 사실상 ‘미친 정부’이고, 그런 나라는 존재해야 할 이유가 없다.

대통령은 물론이고 온 나라의 정치인과 사업가, 그리고 언론이 두바이를 배우자고 아우성 친 나라는 아마도 우리나라 밖에 없는 것 같다. 심지어 두바이가 운하를 판다면서 우리도 운하를 파야 한다고 했고, 두바이를 따라서 잠실에 초고층 건물을 세워야 한다고도 했다. 도무지 무모한 것인가, 아니면 무지한 것인가?


IP : 121.187.xxx.12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휴..
    '08.12.8 1:59 PM (121.125.xxx.91)

    MB가 모델로 삼을 만 하네요. MB의 이상과 정확히 맞아 떨어지네요...

  • 2. .....
    '08.12.8 2:07 PM (124.49.xxx.141)

    어쩌다..우리가 이런지경까지...부끄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4764 사골 2kg 고으면 양이 얼마나 되나요? 1 멋쟁이호빵 2008/12/08 471
424763 꼴불견일 수 있다는 거 아세요? 26 당신도 2008/12/08 4,583
424762 양평 근처 사시는분 비오나요? 계절학습 2008/12/08 131
424761 내 아이들이지만 너무 예뻤어요. 14 고슴도치엄마.. 2008/12/08 1,341
424760 맛있고 달지 않은 초코케이크 대구 2008/12/08 235
424759 상속하는 법 좀 가르쳐 주세요 3 도와주세요 2008/12/08 428
424758 글 내립니다. 5 지인.. 2008/12/08 1,831
424757 양재 하나로클럽 좋네요 7 굿굿 2008/12/08 751
424756 해법을 구합니다 어려운 변액.. 2008/12/08 121
424755 가게부 추천해주세요 3 초보주부 2008/12/08 343
424754 이제 촛불집회는 친일파 청산이다 3 리치코바 2008/12/08 190
424753 "꽃보다 아름다워" dvd 구할 수 없나요? 보고파 2008/12/08 134
424752 이거 아시는분~ 유산균 2008/12/08 164
424751 코스트코에서 파는 홀리데이 쿠키세트 맛이 궁금해요 11 궁금해서 2008/12/08 895
424750 전자렌지가 왜 안좋죠? 9 ? 2008/12/08 1,047
424749 제과제빵 배우는데...무슨빵 제일 좋아하세요? 16 빵순이 2008/12/08 961
424748 오늘 첫출근 했어요~(경리일 하시는 분들 좀 도와주세요~) 5 초보 2008/12/08 741
424747 어린이집 관련 고견을 구합니다.. 2 고민중..... 2008/12/08 287
424746 보일러 안틀면 안돼겠지요? 6 보일러 2008/12/08 1,031
424745 급식비 2 중딩엄마 2008/12/08 409
424744 권력, 그 임계점의 한계는 언제가 될까? 6 사랑이여 2008/12/08 394
424743 옥소리 “가장 후회되는 것은 행복한 척 그 긴 세월을 살았다는 것” 32 리치코바 2008/12/08 5,157
424742 미국에 책과 소소한 것들을 부칠때.. 5 동생 2008/12/08 241
424741 돈이 아깝지않은 꼭 필요한 장난감은 뭘까요? 10 장난감없는1.. 2008/12/08 961
424740 토지개발 금지인것을 회사는 알고 직원은 모르나요? 1 기획부동산 .. 2008/12/08 166
424739 우리반 엄마들 얄미워요 44 녹색어머니회.. 2008/12/08 5,210
424738 눈이 왔다구요? 지금의 남편을 어떻게 만나셨는지요(설문조사?) 15 토토 2008/12/08 658
424737 조지루쉬보온병 싸게파는곳 알수 있을까요? 1 문의 2008/12/08 530
424736 일부 몰지각한 대형교회 목사들의 행태 1 리치코바 2008/12/08 424
424735 스케이트장 도시락요.. 2 엄마 2008/12/08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