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살아서 다시 만납시다

그 날 다시 만나죠 조회수 : 1,424
작성일 : 2008-11-08 00:28:37
경제학자들이 침묵하니 돌들이 소리치는 형국입니다. 왜 경제학자들이 말을 아낄까요. 혹시 우리 생애에 듣도 보도 못한 전대미문의 사태에 그들도 뭐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개뿔도 모르고 있는 게 아닐까요. 아니면 그들이 예측 가능한 데이터가 입 밖으로 꺼내기 어려운 가공할 시나리오들뿐이기 때문일까요. 그래서 우리가 정말 무서워해야 할 것은 공포 그 자체다라는 루즈벨트의 말이 그들의 들썩이는 입을 다물게 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지요.



그 오만 방자한 미국의 GM이 드디어 오바마 당선자에게 무릎을 끓고 ‘한 푼 만 도와달라’고 손을 벌렸습니다. “We don’t have much time”(시간이 너무 없습니다) 라는 말과 함께 말 입니다. 크라이슬러는 지배주주회사인 다임러가 손을 털 준비를 하고 있고, 포드의 파산은 시간 문제입니다. 미국 최대의 investment banks인 골드만삭스와 JP Morgan마저 위험하다는 소문은 이미 몇 주전부터 파다했습니다. 세계최대의 보험회사인 AIG는 무려 850 억 달러를 긴급 수혈 받고도 또 다시 중환자실에서 ‘Code Blue’(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간호사가 누르는 비상벨) 소리가 요란합니다.



세계 전 지역의 자산가치 하락으로 불과 수 주 사이에 수 십조 달러가 허공에 날아갔고, 날아가는 액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도 이를 보정할 유효수요를 창출할 나라도 없고 방법도 없다는 게 전 세계를 공포와 패닉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정부의 보증아래 기축통화로서의 달러를 증발해서 메울 수 있는 액수는 연간 수 천억 달러 정도이지 그 이상은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의견입니다.



모기지 파생상품들이 부동산 시장에 끊임없는 버블을 창출해내고 있을 때, 불과 수 년 안에 이런 사태가 오고야 말리라는 일부 학자들의 경고에 귀를 기울인 사람이 거의 아무도 없었다는 게 참 아이러니합니다.



더 아이러니한 것은 배를 잘못 몰아 밑창에 구멍을 낸 넘은 미국인데 꼴 난 기축통화국이라는 이유 때문에 아마 가장 나중에야 빠져 죽을 것 같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원자재를 수입해 가공해서 수출하는 것으로 먹고 사는 한국 같은 나라입니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내년 중반부터 전 세계적인 대량 실업사태(아직 아무도 그 규모를 예측할 수 없는 전대미문의)가 시작되고 국가간 교역량이 급감하리라는 데 이견이 없는 것 같습니다.



오바마는 취임하자마자 자국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고강도 보호무역주의로 방향을 잡을 것이 불을 보듯 명확합니다. 석유, 곡물, 원목, 광물 등 원자재 수출국들 역시 식량과 원자재를 무기화할 것 입니다.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OECD 국가들이 비슷한 정책을 펼 것 입니다. 미국을 비롯한 OECD국가들은 다만 생필품에 한해서는 자국의 저렴한 생활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예외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한국이 생필품 수출국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변화의 파고속에서 심각한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엄청난 설비투자가 들어간 자동차, IT, 조선, 기타 중공업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런 산업들은 대공황기에는 가장 심각한 직격탄을 맞게 되어 있습니다. 암담한 이야기지만 사실입니다.





IMF 당시에는 다른 OECD 국가들의 경기가 좋았습니다. 그를 바탕으로 고환율에 물타기해서 수출이 순조로웠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외환을 확보하고 위기를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멀쩡한 기업이 해외투기자본에 팔려나가기도 했지만 불필요해진 설비를 매각해서 달러를 확보할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어느 누구도 한국의 불필요해 진 생산설비를 사려고 하지 않을 겁니다. 너도 나도 돈을 털린 마당에 지갑을 열 넘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교역길이 막힌 고단위 생산자본을 누가 인수할 넘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명박 정권의 부동산 규제 완화정책을 보고 있노라면 깨진 독에 물 퍼내기를 열심히 하고 있는 모습이 너무 보기 안쓰럽습니다. (오늘은 강부자 정책 비판하려고 꺼내는 말이 아닙니다. 지금 한가하게 강부자 정책 비판하고 있을 여유가 없습니다) 지금 강만수 팀은 세계 교역시스템의 붕괴야 어찌되던 그건 내년 문제고, 당장 시중은행들의 파산을 결사적으로 막기 위해 부동산 자산가치가 한 순간에 붕괴되는 것을 막아 보려고 규제완화를 밀어 부치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도 재경부 관리들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비율이 40-60 % 에 불과하기 때문에 아직 안전하다고 국민들을 안심시키려고 하지만, 이걸 믿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습니다. 혼이 반쯤 나간 얼굴로 허둥지둥하면서 아무 일 없을 거라니 그걸 누가 믿겠습니까. 소득대비 부동산 버블비율이 미국의 4-5 배가 넘는 상황에서 담보비율이라는 게 아무 의미도 없을 뿐 만 아니라 수신 대비 여신 비율도 높고 무엇보다 대출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엄청난 규모의 해외 단기채를 끌어다 썼다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환율이 지랄방정인 것은 세계 곳곳에서 너도 나도 달러를 챙기려고 혈안이 돼서 날뛰는 마당에 한국 시중은행들이 짊어지고 있는 단기채에 대한 불안감도 큰 작용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월 스트리트 저널이 한국에 무슨 억하심정이 있어 없는 소리를 지어내겠습니까?    



‘깨진 독에 물 퍼 내기’건 ‘하루 뒤에 망할 세상에서 사과나무를 심는 일’이건, 강만수 팀의 노력은 가상하지만 그건 순전히 시간을 벌기 위한 사기극에 불과하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경제에 문외한인 저 같은 사람도 내년에 세계무역의 급감으로 한국의 모든 자산가치가 어느 순간 붕괴하리라는 것을 불을 보듯 예상하고 있는데 ‘내가 경제는 좀 안다’는 대통령 밑에서 일하는 졸개들이 그걸 모르겠습니까? 그러나 한국의 경우 부동산 가치의 붕괴는 은행파산으로 이어지고 은행파산은 곧 공권력의 붕괴까지 초래할 것 이므로 현재로서는 그들이 강부자 정책을 쓰건 여운계정책을 쓰건 토를 달고 싶은 마음이 없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경우 집값이 반 토막 난 곳이 허다 합니다. OECD 국가 지역 중 아직까지는 그래도 가장 나은 편인 캐나다 알버타 주 캘거리 시 의 주택가격도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0 % 이상이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의지의 대한민국은 아직 정신력으로 버티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한국의 부동산 자산가치는 거품이던 어쨌던 대한민국 중산층의 자존심 같은 것입니다. 그 자존심이 지금 눈물과 한을 품고 악으로 버티면서 나락으로 떨어지려는 집값을 움켜쥐고 있는 처참한 형국입니다. 한국에 딱 일 주일 있으면서 그걸 느꼈습니다. 이런 말 정말 하고 싶지 않은데, 소용없는 일일 것 입니다. 아마 악으로 깡으로 그리고 지난 40 년 세월이 응축된 눈물과 한으로 버틸 수 있는 한계는 몇 달 안 남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누가 먼저 익사하느냐는 별로 중요한 게 아닌 것 같습니다. 미국이건 한국이건 캐나다건 EU 건 일본이건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이 전대미문의 시련에서 비껴갈 수 있는 나라는 하나도 없는 것 같습니다.



“We should stay on the ship as long as possible”



(-구조될 때까지-가능한 한 오래 이 배에 남아 있어야 해요: 침몰하는 타이타닉에서 Jack이 Rose에게 한 말)



깜깜한 밤바다의 차가운 물 속에 서서히 가라앉고 있는 세계금융자본주의라는 거대한 배에서 우리가 서로에게 해 줄 수 있는 말이 아닐까요?



얼마의 세월이 걸릴지 모르지만 모두 어금니를 악물고 살아남아서 옛말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IP : 121.187.xxx.12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11.8 12:44 AM (124.49.xxx.204)

    지난 여름. 촛불 집회 나갔다가 낯선 아주머니와 헤어지며 좋은 세상에서 다시 뵙자고 인사했었습니다.
    가끔 그 기억이 나며 .. 멀었지.. 싶습니다.
    참 힘들군요.

  • 2. @@
    '08.11.8 12:46 AM (203.229.xxx.213)

    정확하고 간결하게 핵심만 짚어서 잘 쓰셨네요.
    요즘 정말 걱정이 이만 저만 아닙니다.

  • 3. 라잇
    '08.11.8 12:49 AM (125.185.xxx.65)

    살아 남는것 만이 의미가있다..

  • 4. ...
    '08.11.8 1:03 AM (211.55.xxx.178)

    어떻게 살아 남느냐가 문제겠죠.
    이 어두운 시기를 거치고 그 시기를 어떻게 버텨나왔냐에 따라
    결과는 엄청나게 달라질 겁니다.
    역시..교육은 유일한 희망입니다.
    사회복지..우리 모두를 하나로 묶어주며 살아갈 힘을 주는 것입니다.
    소외된 자에 대한 배려는 그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미래를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자연과 땅에서 나는 것을 소중히 여기는 기본정신이겠죠.
    노동의 가치와 노동자에 대한 존중은 나라의 미래라고 봅니다.

    그래서...한국이 더욱 절망스럽습니다.

  • 5. 구름이
    '08.11.8 7:29 AM (147.47.xxx.131)

    예.... 아직도 사태파악을 못하는 사람들 이나라에 엄청 널려 있습니다.
    이제 이쯤 사태를 얘기해 주었으면 지금쯤 모든 준비가 끝나고 버티기에 들어갔어야 하는데
    아지도 주식에 투자할까요 부동산을 살까요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도대체 무슨 말을 더해 주어야야 하는지....

  • 6. @@
    '08.11.8 8:08 AM (203.229.xxx.213)

    구름이님. 그렇지요?
    저도 동창들 모임 나가고 깜짝 놀랐습니다.
    상황이 어떤지 아는 친구가 아예 없더군요.
    목동, 분당 사는 친구들은 집 값이 심하게 떨어진 것과 들고 있던 주식이 80~90% 폭락하여 현금이 거으 남아있지 않다고 하면서도 그리 걱정을 안하는 거예요.
    그런 아이들에게 남편의 수입이 없어도 2~3년은 버틸 수 있는 현금이 있어야 한다고 말해주면 그저 일종의 악담처럼 들릴 것이고..
    저는 주식을 안해서 몰랐는데 요즘에야 확실히 안게, 주식하는 사람들은 일종의 중독 상태라는 것..
    장에 상관없이 어떤 변명을 갖다 붙여서라도 주식을 하고 싶어 하는 거 같아요.
    그러니 너무 속상해 하지 마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1449 이명박, 간악하기가 귀신도 혀를 내두르겠다. 5 리치코바 2008/11/07 978
421448 이젠 남의 일에 신경쓰지 말아야겠어요 14 기분별로네요.. 2008/11/07 2,015
421447 시어머니 생신상 외식.. 어떻게들 하세요. 23 부부쌈 2시.. 2008/11/07 2,970
421446 버스기사아저씨와한판.. 54 ... 2008/11/07 2,881
421445 아고라 논객인 '미네르바'님의 추천도서와 동영상 2 nowmea.. 2008/11/07 676
421444 피아노다닌지 1년 좀 못되었구요 청음력 7 딸아이 2008/11/07 636
421443 지금 비오는데 있나요? 3 날씨 2008/11/07 264
421442 뭐 드시고 싶으세요? 17 허기 2008/11/07 1,092
421441 오바마 당선에 되살아나는 DJ 2 리치코바 2008/11/07 504
421440 살인범도 인권이 있다던 검찰, 그들은 다 어디갔나? 2 구름이 2008/11/07 548
421439 후라이팬은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4 ... 2008/11/07 735
421438 38살너무추워요 20 추운겨울 2008/11/07 3,259
421437 시험관으로 출산후 배가 아직도 남산입니다.이거 부작용일까요? 5 dk 2008/11/07 635
421436 국산 친환경세제 슈가버블말고는 없나요? 3 주부 2008/11/07 520
421435 촛불은 배후세력 가스통은 순수 2 순수한가스통.. 2008/11/07 171
421434 노무현과 오바마는 닮은 꼴?! 5 리치코바 2008/11/07 317
421433 주말..3살된 아이와 덕수궁 나들이 힘들까요? 2 휘민맘 2008/11/07 371
421432 물을 얼마나 넣어야 되나요 1 식빵믹스 2008/11/07 141
421431 국민주택기금 갚는게 나은가요? 1 고민.. 2008/11/07 209
421430 양수조기파수로 첫째 낳았는데 둘째는 정상으로 낳을수 있을까요? 1 아기맘 2008/11/07 301
421429 큰돈은 아니지만 하고싶어요 10 기부 2008/11/07 906
421428 직장여성용 기본스타일 옷이 의외로 찾기 힘들어요.. 도와주세요;;; 11 커리어우먼... 2008/11/07 1,660
421427 전세가 안나가요... 8 일산 2008/11/07 1,512
421426 요즘 남편에게 받고 싶은 선물.. 11 궁금.. 2008/11/07 1,127
421425 노무현이 빚을 많이 져서 나라가 요꼴 이라고 우긴다는 사람에게 6 정직진실 2008/11/07 613
421424 교회를 다니면 꼭 교패를 붙여놔야 하나요? 14 짜증나는 전.. 2008/11/07 879
421423 남자와 여자의 입맛 8 ㅡ,.ㅡ 2008/11/07 999
421422 이번 폴로 가을세일쿠폰코드 9 폴로 2008/11/07 1,003
421421 명성산 억새 아직 있을까요? 1 자유여행 2008/11/07 627
421420 떼쟁이 엄마가 되어가요. 5 왜이럴까.... 2008/11/07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