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초등자녀 두신분들 가베교육에 대해 필요성을....

궁금이 조회수 : 1,925
작성일 : 2008-11-01 08:59:08
올해 6살 딸아이 입니다.  여자아이 인데도.. 블럭갖고 노는걸 아주 좋아라 한답니다.
작년에 문화세타에서 레고수업을 6개월 받았는데..  그후 둘째 출산땜에 그만두고 올해 유치원에 들어갔어요.

그리고... 지금까지도  블럭을 꺼내서 이것저것 혼자서 잘 가지고 놀아요.
현재  바우처수업으로 구몬 완전국어 하고,,, 구몬수학도 같이 하고 있네요.
사교육은 이걸로 끝~~~~

내년 7세때  구몬바우처가 2월로 끝이라서... 일단  홈스쿨은 그만 접을려고 해요.
대신 기탄 문제집 사서 하루 한장씩이라도 제가 봐줄려구요..


현재 인성위주의 유치원이라 영어수업도 없어요. 방과후 수업도 없구요.
그래서.. 내년엔  영어 홈스쿨, 창의 가베 정도 해줄려고 하는데..

초등 자녀 두신분들  어떻게 생각하세요..  초등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가베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하던데....    꼭 가베를 해야될까요?  가베를 해서 창의성, 이해력에 정말 도움이 될까요?
가베를 가르쳐야 되는  이유가 뭔가요?  정말 무진장 궁금해요.

초등가기전에...  피아노, 미술은 정말 기본으로 하던데...
어떤식으로...  사교육(?)을  하고 들어가야 될까요?
제목은 가베... 로 해놓고...  너무 광범위하게 질문을 올렸네요^^

선배님들...  몇마디 조언 좀 해주세요...
가베, 영어, 피아노, 미술....  어떤수업을 7세에 먼저 하고...
초등 들어가서 해도 늦지 않는 수업은 어떤건지...

이렇게 적고 보니 대단히 열성엄마인것 같은데... 전혀 그렇진 않답니다^^
그래서 유치원도 인성을 중요시 하는 곳으로 보냈구요^^

그래도... 나름  계획을 세워두는 것이 시행착오를 덜 격지 않을까 싶어...
선배님들의  조언 한말씀  기다립니다^^
IP : 59.22.xxx.17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초등2
    '08.11.1 9:07 AM (121.159.xxx.60)

    학년 엄마예요 일단 초등학교 들어가서 해도 될 수업은 제 경험으로는 피아노인것 같아요
    그리고 가베도 2학년 2학기 부터 나오니깐(쌓기놀이) 가베도 초등학교 들어가서 시작해도
    될듯 싶어요 영어도 7살때 하면 될것 같구 그런데 6살인데 수학이랑 국어까지 하니 제 아이 6살땐
    그냥 놀기만 한것 같은데 천천히 생각하면서 하세요 그래도 아이들 잘 따라하니깐 걱정하지마시구요^^^

  • 2. .
    '08.11.1 9:09 AM (220.92.xxx.178)

    우리 아이
    어릴때부터 좋다는 학원을 꼼꼼하게 체크하면서 보냈더니
    지금 중3인데
    자율적인 공부가 안되고있어요...

    추천도서---나는 리틀 아인슈타인을 이렇게 키웠다(진경혜)---홈스쿨링성공사례입니다.

  • 3. 쌍기놀이
    '08.11.1 10:14 AM (121.165.xxx.246)

    초등2학년 2학기 수학에 가베 나옵니다.
    저는 몬테소리 가베를 선물받아놓고 수업없이 아이랑 가지고만 놀았거든요 ^^;
    혼자서 가베책을 보면서 만들어보고 했는데 ,
    수학책에 나오니까 그래도 금방 이해하더군요.
    같은반 아이가 윗층에 사는데 그아이는 가베 수업중인데요
    울애보다 더 금방 받아들이고
    좀더 고난도의 문제도 척척 풀더군요.

    가베는 초등 들어가서 시키셔도 무방할듯 싶구요 ,
    저는 울애 7살때 운동,미술을 보냈구요,1학년에 입학하면서 피아노를 배웠습니다.
    영어는 6~7살무렵에 문화센터나 동사무소,도서관에서 하는 무료수업같은데 데리고 다녔고,
    학원을 1학년부터 보내기 시작했어요.

  • 4. 뱅뱅이
    '08.11.1 10:24 AM (58.225.xxx.19)

    뭔가 배운다는거 참 신나는 일예요
    부모가 능력도 되고 아이도 신나 한다면 정말 더이상 좋은일이죠

    하지만 부모님 마음에 돈이 아깝다는 생각들고 아이도 싫증내면 서로에게 상처죠
    엄마는 본전생각나서 아이에게 좀 더 잘해주길, 아님 뭔가 성과가 있길 기대하니까요

    지금당장 효과가 나타나길 원한다면 하지마시구 조금 먼 미래에 아 이걸해서 다행이다라고 느끼시려면 해도되요

    6살 아이는 스폰지처럼 모든걸 빨아들이지만 한꺼번에 쏟아 나오진 않아요
    하지만 기억주머니에서 불현듯 꺼내지죠
    본인도 모르게....

    놀이처럼 지루하지않게 시키세요
    본인이 좋아하면

    피아노도 본인이 싫어하면 체르니까지 다해놓고도 전혀 효과없어요.
    칭찬 많이 해주고 남들앞에서 우리아긴 이런것두 잘해하면서
    용기 북돋아 주시구요

    지금 시작이니까 홧팅!

  • 5. 쭈니사랑
    '08.11.1 11:05 AM (125.187.xxx.162)

    전 교육이라고까진 할 거 없고 그냥 인터넷에서 싼거 사서 가지고 놀라고
    쫙~~ 깔아줬어요. 거실에....
    초등학교 가서 도형때문에 그러시는거라면 문방구 가도 간단한 도형모양 팔아요.
    가베사서 투자한 돈만큼 효과를 보겠다고 하면 서로 스트레스고 그냥
    놀잇감정도로만 생각하심 좋을 것 같아요.
    집도 만들고 기차도 만들고.... 그냥 쬐금 교육정인 원목 놀잇감 정도?...

  • 6. 큰아이
    '08.11.1 12:07 PM (116.126.xxx.216)

    6학년되는데, 가베 했지만 큰 효과 없는데요.
    처음 도형개념이 나올땐, 조금더 알고있겠지만요.(초2무렵? 그러나 그땐 대부분 수학이 만점맞지요..^^)
    블럭류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편이었어요. 하지만, 지금 수학 잘하는편이고..
    공간개념,도형쪽에 강한편이예요.

    위에 어떤분 말씀처럼.. 아이가 좋아하고 조금더 호기심갖는 만큼만 생각하고
    그이상 욕심내시면..나중에 후회하실듯해요. 가베뿐 아니라 무엇이든요..

    초등가기전엔..예체능 학원들 두루보내심이..좋을듯해요.

  • 7. 가베 안했습니다.
    '08.11.1 3:35 PM (124.50.xxx.21)

    아이가 초6학년인데요.
    솔직히 돈이 없어서 가베 못했습니다.
    어릴때( 10년 전쯤에는 전집도 굉장히 비쌌지요)책도 많이 사주지 못해서
    솔직히 미안함도 있었어요.
    그런데, 다행이 아이가 리더쉽도있어서 전교회장이고,
    시험도 올백 맞았습니다.
    가베를 못해본 입장에서 할말은 없지만
    제 생각에는 어릴때. 친구들과 집앞에서 열심히 뛰어 놀게한 것이
    효과가 있었던 것 같아요.
    사회성도 같이 좋아지니까요.
    놀면서배우는 것이 최고의 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학년때는 예능교육위주로 학원 보냈습니다.

  • 8. 그냥
    '08.11.1 3:38 PM (220.117.xxx.22)

    위의 어느 분처럼 저렴한 교구사서 아이스스로
    즐기면서 자유롭게 가지고 놀도록 하세요~
    그맘때 엄마들 은물이니 가베니 그런 종류의 사교육
    필수과정인것처럼 많이들 하던데 솔직히 이해불가...
    저학년때나 반짝 효과 볼 뿐이지 고학년되면 티도 안
    납니다...수학 성적에 별 영향없습니다
    차라리 그 비용으로 책읽고 맘껏 뛰어놀게 하세요~

  • 9. 가베 오르다
    '08.11.1 3:57 PM (58.140.xxx.132)

    다 필요없삼. 돈 GR 임. 큰애에게 별거 다 시켜봤는데 한개도 여태 기억 못합니다. 차라리 그 돈으로 내 옷 구두 살걸 하고 후회 합니다.
    어릴때 유아교육은 국어교육만 시키면 됩니다. 책 읽기는 오랜 훈련이 되어야 하니까요.
    가베 안시켰지만, 2학년수학가베? 그거 잘만 합니다. 정육면체 에닐곱개 가지고 몇번 쌓아올리기 연슴하니까 잘 합니다.

  • 10. ..
    '08.11.2 12:03 AM (124.62.xxx.41)

    5학년- 어렸을때 은물 1년 반 가까이 했는데 초등수학때 딱히 도움이 되는지 잘 모르겠어요.
    대신 도형문제를 어려워하진 않네요(어려워하지 않는다는거지 답이 다 맞다는 건 아닙니다)
    터울이 많은 둘째 집에 은물 있어도 은물 수업 안 시킵니다.투자에 비해 나오는게 너무 약해요.

  • 11. 원글녀
    '08.11.2 8:21 AM (59.22.xxx.174)

    정말 너무나도 많은,,, 그리고 자세한 답변 감사드려요^^
    역시... 선배님들 댓글 읽어보니 가베, 오르다.... 암튼... 안해도 되겠네요..
    주위에 너무 열씨미 많이들 시키니 저또한 살짝 흔들려서.. 82쿡에 질문드렸는데.. 다행입니다..^^
    책을 가까이 할수 있도록 많이 읽혀주고,,, 친구들과 즐겁고, 행복하게 시간 보낼수 있도록 해야겠네요....^^ 내년엔... 그냥 미술수업만 하나 해야겠어요^^

  • 12. ㅋㅋ
    '08.11.2 10:02 PM (211.222.xxx.205)

    칠교, 소마큐브, 펜토미노등등 요런것들도 좋아요..
    창의력해법수학도 좋구요...
    탐구블럭도 좋아요..
    아직 어리니깐 조금씩 조금씩 접해보세요..
    유아가베 초등가베 첫애 하고나니 둘째애는 안시킬거에요..
    아깝지는 않지만 만족스럽지도 않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5604 분위기 있는 재즈 한곡 들어볼까요? 7 La bel.. 2008/10/31 651
245603 하나님 미워요 4 건조기 2008/10/31 1,371
245602 아~배고파.. 8 ㅠ.ㅠ 2008/10/31 675
245601 마른 고사리 얼만큼 불려야해요? 4 처음 2008/10/31 491
245600 초등 1학년 영어 수준이... 12 궁금해요 2008/10/31 1,352
245599 20평 사무실에 난방기기 사려는데요... 2 추천해주세요.. 2008/10/31 363
245598 대통령 ‘펀드 가입’ 이제야 실행검토 13 솔이아빠 2008/10/31 915
245597 전요 한나라당 계속 득세하고 명박이가 임기 꼭 마쳤으면 좋겠어요 30 돌팔매도 좋.. 2008/10/31 1,495
245596 오늘 미네르바님의 글을 읽고... 17 2008/10/31 6,738
245595 유가환급금 말인데요~ 2 유가환급금 2008/10/31 752
245594 패션감각 살리기? 4 ... 2008/10/31 1,035
245593 왼손잡이 아기 이대로 괜찮을까요? 19 18개월 2008/10/31 1,068
245592 우엉채칼 어깨보호 2008/10/31 350
245591 대구에서 이혼전문 변호사 찾아 가려면... 1 문의드립니다.. 2008/10/31 637
245590 갖고있는 미국은행수표 어떻게해야 좋을지 조언 좀... 2 도움요청 2008/10/31 542
245589 sk우승! 15 한국시리즈 2008/10/31 597
245588 미네 할배 오셨네요 10 미네 2008/10/31 2,977
245587 아무래도 제가 재수가 없는 녀 ㄴ 인가봐요 13 아무래도 2008/10/31 3,225
245586 학예회때 수화를 한다는데 넘못하네요 ㅠㅠ 2 1학년 2008/10/31 254
245585 엄마는 집에서 빈둥거려요 19 우울해요 2008/10/31 4,394
245584 버버리 가방요... 10 안목없어요 2008/10/31 1,604
245583 현관문 열면 13 ... 2008/10/31 2,905
245582 이나영이하는 맥심커피 CF 너무 성차별적인것같아요. 8 커피 2008/10/31 1,689
245581 이제서학교찿아가는거 좀 그런가요? 4 하늘 2008/10/31 516
245580 친정에 남편이 소홀한 것 같아요. 33 .. 2008/10/31 1,711
245579 mbc뉴스데스크 기상캐스터, 넘 예쁘지 않나요? 21 예쁘다 2008/10/31 3,158
245578 은행 선택에 따라 90만원이 왔다 갔다 합니다. 6 ... 2008/10/31 3,307
245577 적벽대전 2 양조위 ㅠㅠ.. 2008/10/31 465
245576 장터 토마토 보고싶다는 분들을 보니... 토마토 2008/10/31 1,103
245575 강남차병원도 특진의 대신 레지가 수술하는 경우가 있나요? 5 제왕절개 2008/10/31 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