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구름이님~

궁금 조회수 : 1,541
작성일 : 2008-10-23 08:50:51
구름이님이 어떤 글에 이렇게 댓글을 달아놓으셨더라구요.

나는 디츨레이션이 짙어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마니터리스트들의 정책과 케인지언 정책을 구분없이 마구쓰는 현정부를 보면 80년대 남미에서보던 하이퍼도 전혀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 때 남미의 정책을 주도한 사람들이 마니터리스트들이거던요.


갑자기 마니터리스트랑 케인지언 정책이 궁금해서요..

케인지 학파는 많이 들어봤는데 뭔지는 모르는 아짐입니다.

간단하게라도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
IP : 115.138.xxx.3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구름이
    '08.10.23 9:05 AM (147.47.xxx.131)

    예... 1930년대 공황이후 케인지언이 경제학의 주류를 이루었습니다. 즉 정부의 직접 경제활동(재정지출)확대로 디픞레이션에 대응해야 한다는것이지요. 이러한 주장이 1960-70년 초반까지 소위 고원경기(미국경제이 최고 정점)까지 이어지다가, 73년 제1차 오일쇼크와 79년의 2차오일쇼크를 겪게 되지요. 소위 물라는 올라가고 경기는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오게 되는데, 이시기부터 다시 고전주의(신고전주의라고하죠)가 부활하게 되지요. 즉 정부의 역할을 축소(재정지출감소로 작은정부)하는 것과 당시 신고전주의의 핵심인 프리드먼을 주축으로하는 금융론자(금리와 지불준비율 등 금융정책 중심으로 경기조절)들의 논리가 경제학계의 주류를 끌고가게 되지요. 이들은 신자유주의 또는 시장주의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당시 이들은 미국의 앞뜰인 중남미의 사회주의(네오맑시즘: 종속이론)를 붕괴시키고 시장주의를 전파하기 위해 직접 진출하게 됩니다. 노벨상 수장자인 프리드먼이 칠레의 경제고문을 맡게 되는 것도 이시기인데, 결국 칠레의 경제를 악화시켜놓고 급기야 80년대에서 90년대 중반까지 중남미에 하이퍼인플레이션(살인적인 물가상승과 경기호퇴)를 불러오고 실패를 자인하기에 이르지요.
    대충 이런 스토리입니다.

  • 2. @@
    '08.10.23 9:15 AM (203.229.xxx.213)

    음음 점점 학구적으로 변모해가는 82.. ㅠㅠ
    정권 바뀌고 (강제로) 공부하는게 얼마나 많아졌는지 모릅니다.
    광우병, 프리온, 도축시설 상태, 무역수지, 물대포 속의 화학성분비, 집시법 ...
    이제는 디포트, 디플레, 하이퍼인플레까지 구분하고 분류하고 대비하고
    환율에 환율고시, 엔케리...

  • 3. ..
    '08.10.23 9:30 AM (125.177.xxx.52)

    윗님 심히 공감합니다.
    정치 경제 식품 정말 골고루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알면 알 수록 미래가 두렵습니다..
    우리나라 어디까지 가서야 브레이크가 걸릴까요?

  • 4. gondre
    '08.10.23 9:32 AM (220.70.xxx.114)

    국민들이 이렇게 똑똑해 지는데
    정부는 자꾸 멍청한 짓만 하고 있군요.

  • 5. @@
    '08.10.23 9:37 AM (203.229.xxx.213)

    점 두개님.
    브레이크가 이미 파열된거 아닐까유?
    아차, 이렇게 이야기 하면 또 불안감 조성한다고 야단 맞겠네...

  • 6. 다시 구름님께~~
    '08.10.23 9:39 AM (61.36.xxx.3)

    구름님의 댓글을 읽다가 저도 더 궁금해졌는데요 ^^
    그럼,, 쓰신글중에 나온 '마니터리스트'는 뭐죠?
    현 정부가 캐인지언 정책과 마니터리스트들의 정책을 마구 쓴다고 하셨는데
    그 의미는 재정지출로 경기를 부흥하려는 정책과 ?? 의 정책을 구분없이 마꾸 씀으로 인하여
    남미의 하이퍼(살인적인 인플레..로 이해중..) 현상이 여기서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정도로
    이해하고 있거든요

    마니터리스트 의 뜻을 몰라서 문맥이 정확하게 해석이 안되어서요..
    검색해도 잘 안나오고..ㅠㅠ
    혹시 댓글 보시면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 7. 궁금
    '08.10.23 9:40 AM (115.138.xxx.39)

    제가 영어가 짧아서 마니터리스트를 못알아 들었답니다. 암튼 한 30분 헤매고 찾았습니다. ^^

    머니터리즘
    케인스적 총수요관리정책(總需要管理政策)이 점차 재정정책으로 기울어가는 상황 속에서 ‘화폐는 중요하다’ 하여 화폐정책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일련의 경제학자들의 주장.

    구름이님 이거 맞지요?
    저 경제 공부가 완전 잼있어 질려고 합니다. 구름이님, 경제에 대해 제대로된 나의 시선을 갖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사실 요즘 너무도 많은 글이 넘쳐 나고 있는데 기초없이 주워듣다보니 나만의 확신이 없이 정보의 바다에서 부유하고 있는 기분입니다. 우선 신문 정독해서 요약노트를 간간히 만들고 있는데 도움이 될까요? 추천도서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8. Monetarist
    '08.10.23 9:43 AM (213.121.xxx.206)

    Monetarist

  • 9. 앗 감사해요
    '08.10.23 9:49 AM (61.36.xxx.3)

    통화주의학파로군요^^ 프리드만이 나왓는데 왜 그생각을 미처 못햇을까..
    댓글주신분들 감사드려요
    책에서만 보던 내용와 이렇게 실물경제가 연결되어 말씀해주시는 분이 계셔서
    얼마나 재미있는지 모릅니다..
    감사드려요 ^^*

  • 10. 구름이
    '08.10.23 9:49 AM (147.46.xxx.168)

    마니터리스트가 바로 금융론자 입니다. 책은 글쎄요.... 나는 제일 처음 읽은 책이 국내에서 나온 경제사이고, 그다음이 Age of Economist라는 소책자인데... 그다음에는 경제사상사를 원서로...

    국내에 나온책드를 제가 잘 몰라서리...

  • 11. 용어를
    '08.10.23 9:51 AM (213.121.xxx.206)

    이해하고 경제사의 기본을 알고 싶으시면 좀 오래된 책인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경제 이야기,,인가,,
    그책이 괜찮습니다.

  • 12. 궁금
    '08.10.23 9:53 AM (115.138.xxx.39)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6724 휘트니 휴스턴-가장 만개했을때의 라이브.. 7 휘트니 2008/10/22 714
416723 1가구 2차량시 세금은 많이 나오나요? 3 궁금 2008/10/22 961
416722 부모님 건강검진... 어디가 좋을까요? 2 이젠정말 2008/10/22 317
416721 부동산 소개료의 카드결제. 1 복비 2008/10/22 448
416720 연락이 끊긴 친구가 너무 보고 싶네요. 여러분은 그런 친구 있으세요? 16 보고싶다 친.. 2008/10/22 2,724
416719 정말 골로 가는구나.... 할말이 없어진다..... 2 경방 2008/10/22 1,265
416718 양문형 저렴한 냉장고도 좋은가요? 5 음매 2008/10/22 816
416717 닭불고기를 하려는데 냄새가 너무 많이 나요.. 3 chicke.. 2008/10/22 387
416716 오늘의 백미는 역시 신 브레튼우즈 찬성발언 11 조심조심 2008/10/22 907
416715 청국장 사려구요 3 청국장 2008/10/22 447
416714 지중해11박크루즈여행 해보신분 10 조언구합니다.. 2008/10/22 1,208
416713 구입한지 1년 7개월 정도 지났는데, 부품이 깨진걸 발견 1 냉장고 2008/10/22 270
416712 블루독 행사한다네요.. 6 오지랖여사 2008/10/22 1,917
416711 소리가 안나요! ^&^ 2008/10/22 201
416710 농협중앙회와 단위농협 차이점은? 3 수요일.. 2008/10/22 1,204
416709 시댁의 돈 요구... 11 너굴 2008/10/22 1,840
416708 이사관련 질문있어요~(업체소개,식기세척기,에어컨 이사~) 음매 2008/10/22 241
416707 임신했는데 4살 큰애때문에 넘 힘들어요.. 6 현이맘 2008/10/22 607
416706 역외환율 1414원 9 레인 2008/10/22 951
416705 저는 할로윈 챙기는 거 이해가 안 가요 37 고리타분한가.. 2008/10/22 2,123
416704 해외자산 488억달러 쌓아둔채 정부에 손 벌려 4 .... 2008/10/22 644
416703 어린이집 셔틀버스 내린 우리 아이 동네 아줌마에게 인계했네요. 13 걱정맘 2008/10/22 1,511
416702 [기사] "경찰이 시민을 연행해 용역깡패에 넘겼다" 4 김민수 2008/10/22 304
416701 냉온 정수기 전기세 7 정수기 2008/10/22 1,189
416700 와코비아 섶프라임으로 350조 손실 11 조심조심 2008/10/22 742
416699 친구야 나도 가방들기싫어 47 가방싫다구요.. 2008/10/22 5,186
416698 보통 남편분들 일주일 근무 시간이 얼마정도 되나요? 12 생과부 2008/10/22 820
416697 시댁의 돈 요구 5 너굴 2008/10/22 826
416696 이자율 알려주세요 궁금이 2008/10/22 174
416695 드럼 배울 수 있는 곳 4 초등1학년 2008/10/22 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