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8억5천만원에 팔린 은마아파트… 시세는 왜 8억8천만원?

왜 그럴까요 조회수 : 1,681
작성일 : 2008-10-16 09:27:00
8억5천만원에 팔린 은마아파트… 시세는 왜 8억8천만원?


은행.국토부, 싸게 팔린 매물정보는 비공개
급매 쏟아져 통계 착시 심화…소비자 혼란

"얼마 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102㎡(31평)형이 8억5000만원에 팔렸는데 국민은행은 시세에 반영하지 않고 있습니다. 국민은행이 제시한 일반거래가는 여전히 9억4000만원으로 나와 있고 하한가도 8억8000만원입니다. "(대치동 A부동산중개업자)

주택거래가 급매물 위주로만 이뤄지는 등 거래건수가 급감하면서 국민은행과 부동산정보업체,정부 등이 내놓는 부동산 시세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조사기관이 시세보다 싼 급매물 거래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도 매월 실거래가를 발표할 때 일정 기준보다 주택이 너무 싸게 팔렸다고 추정되면 공개를 하지 않고 있어 주택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




◆시세보다 1억원 이상 싼 아파트도

서울 서초구 잠원동 A아파트 106㎡형의 국민은행 시세는 7억7000만~8억7500만원으로 조사됐다. 적당한 시세라고 제시하는 일반거래가는 8억3500만원이다. 하지만 이 아파트는 지난달 7억1000만원(2층)에 팔렸다. 하한가보다 6000만원이나 싸다. 급매물은 최근 6억7000만원까지 떨어졌다.

잠원동 B공인 관계자는 "국민은행 시세만 보고 집을 내놓으면 언제 팔릴지 모른다"며 "집주인이 눈높이를 많이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집값 하락폭이 커지는 수도권 남부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분당신도시 서현동 B아파트 109㎡형의 경우 국민은행 일반거래가가 5억3500만원(하한가 5억원)이지만 급매물 호가는 4억6000만원이다. 용인시도 국민은행 시세와 비교해 수천만원씩 낮은 금액에 급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이처럼 국민은행 시세와 실제 집을 살 수 있는 가격이 차이나는 주택거래건수가 줄어서다. 거래가 줄면 통계가 현실을 반영하기 어려워진다. 지난 8월 서울지역 주택거래건수는 1만1324건으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만3288건 보다도 적다. 게다가 매수자 우위 시장이 형성돼 웬만큼 싼 가격이 아니면 집이 팔리지 않는다. 시세보다 저렴한 급매물이 쏟아질 수밖에 없다.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아파트 입주민들의 눈치를 봐야 하는 것도 원인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정부공인 통계를 작성하는 중개업소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집주인들의 압력에서 자유롭지만 시세 제공 부문은 중개업소 이름이 노출돼 정확한 값이 올라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급매물 가격 공개 제한

국토해양부는 급매물 거래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수도권의 경우 1주일에 한 번 감정평가를 거쳐 주택의 가격 기준을 만드는데 이보다 10% 이상 싸면 다운계약서 등이 의심돼 실거래가를 제공하지 않는다"며 "요즘에는 거래건수가 적어 비공개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급매물만 거래되는 상황을 비춰보면 상당수 거래가 공개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2007년에 은마아파트 112㎡형이 당시 시세보다 1억원 이상 싼값인 10억원에 팔렸을 때도 공개대상에서 제외됐다.

업계 관계자는 "통계와 현실 사이에 괴리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거래가 끊긴 요즘에는 특히 더 심한 것 같다"며 "매수자는 직접 발품을 파는 수밖에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

IP : 119.196.xxx.1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요즘
    '08.10.16 9:43 AM (125.252.xxx.71)

    위기 상황에 동의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요...

    이건...기사화 거리가 되는 지는 모르겠네요.
    예전에도 분명 급매물은 몇 건씩 있었겠지만, 그걸 일반 '시세'라고 하지는 않았거든요.

  • 2.
    '08.10.16 9:55 AM (202.136.xxx.5)

    아파트 판거 잔금날이었는데요.
    서울 강북지역이에요.아주 대단지이고 호재도 많고 가격이 저평가되었던 지역이라 절대 내리는 일은 없을거라고 하는 곳이거든요..
    4억대인데 시세로 나와있는것보다 5천만원 사게 팔았고 그 가격에 나와있는 집 무지많았어요.
    급매로 나온건 더 싼것도 많다고 구입한 사람이 비싸게샀다고 무척 투덜대서 그자리에 있는것이 참 민망했지요..
    에전엔 국민은행 시세보다 약간식 비싸게 거래되는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요즘은 실거래가가 훨신 싸네요..
    시세가 얼마건 상관없이 파는 사람이 얼마받고싶다고 내놓고 살 사람이 구입하면 그것이 시세이지 활자화되고 조사하고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나요..거래가 안되는 시세는 아무 의미가 없는거죠..

  • 3. caffreys
    '08.10.16 10:54 AM (203.237.xxx.223)

    집 사려면 시세 알아보기 위해 부동산에 얼마에 팔수 있냐고 먼저 물어봐야겠네요

  • 4. 파는 사람이
    '08.10.16 11:28 AM (119.69.xxx.105)

    급하게 팔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서 그 가격에 팔았더라도 그 가격이 바로 시세가 될수는 없지요.
    같은 아파트의 같은 평수를 가진 다른 주인들이 절대 그 가격에 팔지 않는다면 못 사는 거죠.

  • 5. 반대로
    '08.10.16 12:21 PM (121.130.xxx.29)

    생각하면 사는 사람이 없으면 집 주인들이 고수하는 가격은 아무 의미가 없죠.
    버티는 데까지 버티는 사람은 버티는 것이고 견디지 못하면 급매물이라도 내놓은 것인데

    지금은 아무도 산다는 사람이 없으니 급매물조차 사실 의미가 없죠.

  • 6. ..
    '08.10.16 1:19 PM (211.202.xxx.19)

    시세가 7억, 시세 대로 팔고 싶어 내놓는 사람이 있구요,
    급매는 이자든 분양받아 팔고 가야 되든 급한 사람은 6억에 내놓고 거래가 되기도 한다.
    근데 이런 급매만 거래가 되고 시세로 나온 물건은 거래가 안된다 하면
    시세는 어찌 될까요?
    시세를 낮추지 못하는 것은 단지의 부녀회, 주민들 전화를 걸어와 시비를 건다더군요.
    무서워서 낮추지 못하지요.
    오히려 시세보다 한참 올려 놓기도 하구요.

  • 7. 시세
    '08.10.16 6:14 PM (116.34.xxx.177)

    시세가 8억8천이라고 모든 아파트가 8억8천에 팔려야 하는건 아니지 않나요.
    같은 아파트라도 동이나 층수에 따라서 가격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거고 시세는 평균가격이 그 즈음이라는거쟎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4819 김밥집 계란지단은 어떻게 부치나요? 15 김밥집 2008/10/16 3,006
414818 어떤 것이 있을까요? 3 자원봉사 2008/10/16 256
414817 상가는 시간 지날수록 가치가 떨어지나요? 3 상가분양 2008/10/16 738
414816 머리카락을 뜯는 습관 6 ... 2008/10/16 1,302
414815 외국에 계신분들 돌 답례 어떻게 하셨나요? 4 잔치는 안하.. 2008/10/16 246
414814 애들이 선생님을 만만하게 대할때 대처하는법 5 고민상담 2008/10/16 1,391
414813 아이키우기 좋은가요? 2 마포 2008/10/16 341
414812 우면동 대림아파트 살기 어떤가요?(유치원생 자녀있음) 4 궁금이 2008/10/16 703
414811 누가 잉글리쉬무무가 좃선일보계열이라하는지? 2 잉글리쉬무무.. 2008/10/16 414
414810 화재보험하나 암보험으로 화재하나..들었는데요.. 2 화재보험. 2008/10/16 310
414809 다리가 아파요 병원 2008/10/16 165
414808 컴퓨터 질문-마우스로 스크롤 5 답답한 컴맹.. 2008/10/15 223
414807 자꾸 자식욕심이 납니다..T_T 13 이구 2008/10/15 2,380
414806 어떻게 해야할지 4 이런 딸에게.. 2008/10/15 378
414805 우울증인가요? 어느병원을 가야하나요?? 도움 좀 주세요... 7 애기엄마 2008/10/15 954
414804 영어 교육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3 7세맘 2008/10/15 551
414803 90년대...추억..그리고 2 신승훈 2008/10/15 425
414802 영화 드림걸스의 오리지날 캐스팅 제니퍼 할리데이의 원곡... 4 좋은노래 2008/10/15 529
414801 담배 끊게하는 비법에 대하여 6 성질맘 2008/10/15 741
414800 부모님께 효도합시다... 1 불효녀 2008/10/15 363
414799 아기를 바닥에서 재울때 어떻게 깔아주는게 좋을까요? 3 아기맘 2008/10/15 441
414798 유두가 간지러워서요.. 3 유두 2008/10/15 1,004
414797 인생 살면서 가장 큰 고난은 뭐가 있었나요? 10 잠못이루는... 2008/10/15 1,659
414796 궁금합니다.. 가을밤 2008/10/15 158
414795 발가락 감각이 없어요.. 4 알려주세요... 2008/10/15 735
414794 그냥 한번 보세요 3 재미 2008/10/15 467
414793 절임배추 1 로라 2008/10/15 566
414792 30대 미혼, 친구 사귈만한 곳이 어딜까요? 7 30대 2008/10/15 2,370
414791 최진실 사망 수수께끼, 진실은? 13 이상해 2008/10/15 6,956
414790 이혼 꿈꾸는 내 인생 7 카라맘 2008/10/15 1,205